Original Article / 원저

돌발성 난청 치료 한약 처방의 네트워크 분석

이규영1https://orcid.org/0000-0001-9893-5506, 박인화2,*https://orcid.org/0000-0002-1590-4702
Kyou Young Lee1https://orcid.org/0000-0001-9893-5506, In Hwa Park2,*https://orcid.org/0000-0002-1590-470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교실 (교수)
2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학교실 (교수)
1Dep.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2Dep.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In-Hwa Park, Dep.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Sangji University, 83, Sangjidae-gil, Wonj u-si, Gangwon-do 26339, South Korea (Tel : 033-730-0894, E-mail : skrm2020@sangji.ac.kr)

© 2025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l 07, 2025 ; Revised: Aug 02, 2025 ; Accepted: Aug 09, 2025

Published Online: Aug 25, 2025

Abstract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network analysis of herbal prescriptions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SSNHL) used in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to explore the central herbs and herbal combinations that play a role in SSNHL, the groups of herbs that are closely connected and exhibit key efficacy within the prescriptions, and the prescriptions related to each group.

Methods : We searched OASIS with the title SSNHL. The publication dates were 1965 to 2025, and a total of 12 papers were selected.

Results

  1. The most frequent herb was Poria Sclerotium, which was used in 28 prescriptions.

  2. The most frequent herb combination was Rehmanniae Radix-Poria Sclerotium, which was included in 32 prescriptions.

  3. Poria Sclerotium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at 6.1.

  4. The results of the cohesion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two networks

  5. Using the K-HERB NETWORK, prescriptions such as Yugmijihwang-tang, Palmijihwang-tang, Gamisoyo-san, and others were derived.

Conclusions : This study is the first network analysis study on SSNHL, which increases understanding of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SSNHL and provides objective basic data to help with clinical application or follow-up research.

Keywords: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Network analysis; Herbal medici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Ⅰ. 서 론

돌발성 난청은 72시간 이내에 순음청력검사(pure tone audiometry, PTA)상 연속된 3개 이상의 주파수에서 30㏈ 이상의 청력손실을 나타내는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정의된다1). 돌발성 난청의 정확한 원인과 발생기전은 아직 불명확하나, 여러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감염, 혈관장애, 자가면역 반응, 내이의 외상 등을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2,3). 혈관장애의 경우, 내이로의 혈류 감소가 청력 손실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내이 혈관 분포의 제한성, 대체 혈류 결여로 허혈에 특히 취약한 것과 관련된다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통계에 따르면 돌발성 난청 환자 수는 2016년 75,937명에서 2020년에는 94,333명으로 24% 가량 증가하였고,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2020년에는 환자 중 30-50대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50.8%(47,983명)로 나타나 비교적 젊은 연령대 환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5).

현재까지 돌발성 난청에 대한 한의계의 연구는 증례보고나 후향적 차트리뷰, 문헌연구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분석은 아직까지 시행되지 않았다. 네트워크 분석이란 분석 대상이 되는 개체를 노드(node)로, 노드들 간의 관계를 에지(edge)로 나타내어 관계 구조를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을 보다 단순하게 모델링함으로써 구조적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기법이다6). 처방에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적용하면 처방 패턴을 시각화하여 처방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본초와 주요 효능을 나타내는 본초 조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7). 최근 한의학에서도 네트워크 분석 연구가 점차 활성화 되고 있는데 주로 한의학 고전에 등장하는 처방이나 특정 질환과 관련된 처방의 본초를 분석하거나 네트워크 약리학적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의 임상에서 사용되는 돌발성 난청 치료 한약 처방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돌발성 난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본초와 본초 조합, 긴밀하게 연결되어 처방 내에서 주요 효능을 나타내는 본초 그룹군을 탐색하고 각 그룹군과 관련된 처방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 선정 및 제외기준
① 선정기준

연구 대상은 돌발성 난청에 대해 한약 경구 투여를 시행한 연구로 구성 약재 및 치료 결과가 명시되어 있는 증례 보고(case report), 연속증례보고(case series)를 대상으로 하였다.

② 제외기준
  • - 연구 설계가 증례 보고(case report), 연속증례보고(case series)가 아닌 경우

  • - 치료에 경구 한약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 - 한약 처방의 구성과 치료 결과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 - 사상, 상한 처방과 같이 후세방의 일반적 본초개념과는 다르게 특정 진단기준에 의해 처방된 경우

  • - 중복 논문

  • - 본문 제공이 되지 않는 경우

  • - 돌발성 난청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경우

  • - 돌발성 난청 증상에 호전을 보이지 않은 경우

2) 문헌 검색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에서 돌발성 난청과 관련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검색어를 '돌발성 난청', 발행일자는 1965년-2025년으로 하여 총 37편이 검색되었다(검색날짜: 2025년 6월 7일 - 2025년 6월 17일). 이 중 돌발성 난청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경우 1편을 제외하고 36편 중 문헌연구 5편, 후향적 차트리뷰 연구 5편, 치료에 한약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4편, 사상, 상한 처방과 같이 후세방의 일반적인 본초개념과는 다르게 특정 진단기준에 의해 처방된 경우 8편, 돌발성 난청 증상에 호전을 보이지 않은 경우 2편을 제외하고 총 12편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Fig. 1).

jkmood-38-3-16-g1
Fig. 1. PRISMA Flow Diagram for This Study
Download Original Figure
2. 데이터 정제

연구 대상 논문에서 추출한 총 33개의 처방과 구성 본초를 Microsoft Excel 2021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약재의 구성이 같으면 같은 처방으로, 다른 경우 처방명이 같아도 다른 처방으로 정의하였다. 본초는 동속근원식물인 경우 OASIS의 약재백과의 대표명으로 입력하였으며 포제 방법이 있는 경우 이를 제외하고 입력하였다. 甘草는 대부분의 처방에서 調和諸藥을 위해 사용되고 처방 내 출현빈도가 다른 본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분석에 포함시킬 경우 네트워크 상에서 매우 많은 노드(본초)들과 연결되면서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어 기존 연구들8-12)과 같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Table 1).

Table 1. Standardization of Herbs used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Prescriptions
Before Change After Change Scientific Name
赤茯苓 白茯苓 茯苓 Poria Sclerotium
生乾地黃 生地黃 乾地黃 熟地黃 地黃 Rehmanniae Radix
唐木香 木香 Aucklandiae Radix
牡蠣粉 牡蠣 Ostreae Testa
川黃連 黃連 Coptidis Rhizoma
植柴胡 柴胡 Bupleuri Radix
當歸尾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白何首烏 何首烏 Polygoni Multiflori Radix
赤芍藥 白芍藥 芍藥 Paeoniae Radix
Download Excel Table
3. 데이터 분석
1) 돌발성 난청 치료 처방 내 다빈도 본초 분석

Microsoft Excel 2021을 이용하여 입력한 처방과 구성 약재를 바탕으로 각 본초들의 출현빈도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다빈도 본초를 파악하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2) 돌발성 난청 치료 처방 내 다빈도 본초 조합 분석

Excel sheet의 A열에는 처방명을 B열에는 본초명을 하나씩 나열하는 long format 형식으로 입력하였으며 이는 ‘처방’과 ‘본초’라는 2-mode network로서 ‘본초’들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Netminer 4(CyramInc., Seoul, Korea)를 이용하여 1-mode network로 변환하여 본초-본초 간의 조합 횟수를 계산하였다.

3) 네트워크 분석
① 연결중심성 분석(Degree centrality analysis)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은 각 노드(본초)들이 네트워크에서 몇 개의 연결을 가지고 있는지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13) 노드의 중요도에 대한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지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14). Netminer 4(CyramInc., Seoul, Korea)의 Analyze-Centrality-Degree를 이용하였으며 measure는 빈도수의 합(sum of weight)을 기준으로 하였고,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② 응집성 분석(Cohesion analysis)

응집성 분석(Cohesion analysis)은 네트워크 안의 노드들을 그룹화 한 것이다. 각 그룹 내의 노드들은 그룹 외 노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밀한 연결을 갖는다15). 응집성 분석을 통해 돌발성 난청에 사용되는 고빈도 본초 조합들의 본초 그룹군을 파악할 수 있다. Netminer 4(CyramInc., Seoul, Korea)의 Analyze-Cohesion-Community-Louvain을 이용하였다.

③ K-HERB NETWORK 활용

응집성 분석을 통해 얻어진 본초 그룹군을 K-HERB NETWORK (https://oasis.kiom.re.kr/kmedi/main.jsp, 한국한의학연구원)(이하 K- HERB)의 대시보드에 입력하면 본초 각각이 노드가 되어 본초 간의 링크를 형성하여 공통된 처방, 효능, 주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16). 이를 통해 본초 그룹군 별 활용 처방을 도출해 낼 수 있다.

Ⅲ. 결 과

1. 돌발성 난청 치료 처방 내 다빈도 본초

총 33개 처방에서 102개 본초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최다빈도 본초는 茯苓으로 총 28개의 처방에서 사용되었다. 15회 이상 사용된 본초는 총 9가지로 茯苓, 地黃, 山藥, 山茱萸, 牧丹皮, 澤瀉, 黃柏, 陳皮, 生薑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Frequency of Herb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Rank Herb Scientific Name Frequency
1 茯苓 Poria Sclerotium 28
2 地黃 Rehmanniae Radix 27
3 山藥 Dioscoreae Rhizoma 19
4 山茱萸 Corni Fructus 18
5 牧丹皮 Moutan Radicis Cortex 17
澤瀉 Alismatis Rhizoma
黃柏 Phellodendri Cortex
6 陳皮 Citri Unshius Pericarpium 15
生薑 Zingiberis Rhizoma Recens
7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14
麥門冬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知母 Anemarrhenae Rhizoma
枸杞子 Lycii Fructus
8 川芎 Cnidii Rhizoma 13
五味子 Schisandrae Fructus
9 芍藥 Paeoniae Radix 11
半夏 Pinelliae Tuber
防風 Saposhnikoviae Radix
大棗 Zizyphi Fructus
石菖蒲 Acori Graminei Rhizoma
10 黃芪 Astragali Radix 10
遠志 Polygalae Radix
11 桔梗 Platycodonis Radix 9
木香 Aucklandiae Radix
12 人蔘 Ginseng Radix 8
香附子 Cyperi Rhizoma
獨活 Araliae Continentalis Radix
13 柴胡 Bupleuri Radix 7
砂仁 Amomi Fructus
酸棗仁 Zizyphi Semen
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麥芽 Hordei Fructus Germinatus
Download Excel Table
2. 돌발성 난청 치료 처방 내 다빈도 본초 조합

총 1,998가지 본초-본초 조합이 도출되었으며 이중 최다빈도 본초 조합은 地黃-茯苓으로 총 32개 처방에 포함되었다. 30회 이상 등장한 본초 조합은 4가지로 地黃-茯苓, 地黃-牧丹皮, 地黃-澤瀉, 茯苓-山藥 순으로 나타났다. 1회 등장한 본초 조합은 1,008개였으며, 2회 등장한 본초 조합은 305개, 3회 등장한 본초 조합은 170개, 4회 등장한 본초 조합은 134개, 5회 이상 등장한 본초 조합은 381개였다(Table 3).

Table 3. Frequency of Herb Combinations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Rank Herb Scientific Name Frequency
1 地黃-茯苓 Rehmanniae Radix-Poria Sclerotium 32
2 地黃-牧丹皮
地黃-澤瀉
茯苓-山藥
Rehmanniae Radix-Moutan Radicis Cortex
Rehmanniae Radix-Alismatis Rhizoma
Poria Sclerotium-Dioscoreae Rhizoma
30
3 地黃-山茱萸
地黃-山藥
Rehmanniae Radix-Corni Fructus
Rehmanniae Radix-Dioscoreae Rhizoma
29
4 茯苓-牧丹皮
茯苓-澤瀉
Poria Sclerotium-Moutan Radicis Cortex
Poria Sclerotium-Alismatis Rhizoma
27
5 地黃-枸杞子
地黃-五味子
茯苓-山茱萸
山茱萸-牧丹皮
山茱萸-澤瀉
牧丹皮-澤瀉
Rehmanniae Radix-Lycii Fructus
Rehmanniae Radix-Schisandrae Fructus
Poria Sclerotium-Corni Fructus
Corni Fructus-Moutan Radicis Cortex
Corni Fructus-Alismatis Rhizoma
Moutan Radicis Cortex-Alismatis Rhizoma
26
6 地黃-黃柏
山茱萸-山藥
山藥-牧丹皮
山藥-澤瀉
Rehmanniae Radix-Phellodendri Cortex
Corni Fructus-Dioscoreae Rhizoma
Dioscoreae Rhizoma-Moutan Radicis Cortex
Dioscoreae Rhizoma-Alismatis Rhizoma
25
7 地黃-麥門冬
地黃-知母
茯苓-枸杞子
Rehmanniae Radix-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Rehmanniae Radix-Anemarrhenae Rhizoma
Poria Sclerotium-Lycii Fructus
24
8 山茱萸-枸杞子
山藥-枸杞子
山藥-五味子
牧丹皮-枸杞子
澤瀉-枸杞子
Corni Fructus-Lycii Fructus
Dioscoreae Rhizoma-Lycii Fructus
Dioscoreae Rhizoma-Schisandrae Fructus
Moutan Radicis Cortex-Lycii Fructus
Alismatis Rhizoma-Lycii Fructus
23
9 茯苓-黃柏
茯苓-五味子
山茱萸-五味子
牧丹皮-五味子
澤瀉-五味子
黃柏-知母
枸杞子-五味子
Poria Sclerotium-Phellodendri Cortex
Poria Sclerotium-Schisandrae Fructus
Corni Fructus-Schisandrae Fructus
Moutan Radicis Cortex-Schisandrae Fructus
Alismatis Rhizoma-Schisandrae Fructus
Phellodendri Cortex-Anemarrhenae
Rhizoma
Lycii Fructus-Schisandrae Fructus
22
10 茯苓-麥門冬 Poria Sclerotium-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21
11 茯苓-知母 Poria Sclerotium-Anemarrhenae Rhizoma 20
Download Excel Table
3. 네트워크 분석
1) 연결 중심성 분석(Degree centrality analysis)

총 102개 본초 중 茯苓이 6.1로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냈으며 4.0 이상의 연결 중심성을 보인 것은 모두 5개 본초로 茯苓, 地黃, 山藥, 澤瀉, 黃柏 순으 로 나타났다(Table 4. Fig. 2). 연결 중심성의 평균은 1.2, 중앙값은 0.7로 나타났다.

Table 4. Centrality of Herb in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Rank Herb Scientific Name Degree Centrality
1 茯苓 Poria Sclerotium 6.1
2 地黃 Rehmanniae Radix 5.7
3 山藥 Dioscoreae Rhizoma 4.7
4 澤瀉 Alismatis Rhizoma 4.1
5 黃柏 Phellodendri Cortex 4.0
6 牧丹皮 Moutan Radicis Cortex 3.9
山茱萸 Corni Fructus
7 麥門冬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3.7
知母 Anemarrhenae Rhizoma
8 枸杞子 Lycii Fructus 3.6
9 五味子 Schisandrae Fructus 3.5
10 生薑 Zingiberis Rhizoma Recens 3.1
11 防風 Saposhnikoviae Radix 3.0
12 陳皮 Citri Unshius Pericarpium 2.6
石菖蒲 Acori Graminei Rhizoma
13 大棗 Zizyphi Fructus 2.5
14 獨活 Araliae Continentalis Radix 2.4
遠志 Polygalae Radix
15 半夏 Pinelliae Tuber 2.2
黃芪 Astragali Radix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Download Excel Table
jkmood-38-3-16-g2
Fig. 2. Centrality Analysis of Herb Combinations
Download Original Figure
2) 응집성 분석(Cohesion analysis)

총 1,998가지 본초 조합 중 돌발성 난청에 활용하는 본초군을 적절하게 보여주는 분석 대상을 선정하

기 위해 등장횟수 9회 이상-20회 이상까지의 본초 조합에 대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중 20회 이상의 본초 조합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대상으로 응집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총 2개의 네트워크로 분류되었으며 네트워크 1은 枸杞子, 五味子, 山茱萸, 山藥, 澤瀉, 牧丹皮의 6개 본초로 구성되었으며 네트워크 2는 地黃, 茯苓, 麥門冬, 知母, 黃柏의 5가지 본초로 구성되었다. 네트워크 1의 본초 중에서는 收澁藥이 33.3%로 가장 많았으며 네트워크 2의 본초 중에서는 淸熱藥이 50%로 가장 많았다(Table 5, Fig. 3).

Table 5.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Each Network
Group Network Herb
G1 jkmood-38-3-16-i1 枸杞子, 五味子, 山茱萸, 山藥, 澤瀉, 牧丹皮
G2 jkmood-38-3-16-i2 地黃, 茯苓, 麥門冬, 知母, 黃柏
Download Excel Table
jkmood-38-3-16-g3
Fig. 3. Cohesion Analysis of Herb Combinations Appearing 20 or More Times
Download Original Figure
3) K-HERB NETWORK 활용

응집성 분석을 통해 얻어진 네트워크 별 구성 본초를 K-HERB에 입력하여 본초들이 공유하는 공통 처방을 도출하였다. 이를 본초와의 연결 횟수가 높은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네트워크 1에서는 六味地黃湯, 八味地黃湯, 地黃飮子가 도출되었으며, 이 중 六味地黃湯과 八味地黃湯이 연결 횟수가 3회로 가장 높았다. 네트워크 2에서는 加味逍遙散 《東醫寶鑑》, 滋陰降火湯, 消風散, 酸棗仁湯, 半夏白朮天麻湯, 炙甘草湯, 牛黃淸心元, 加味溫膽湯(1), 加味溫膽湯 《方藥合編》, 地黃飮子, 分心氣飮, 釣藤散의 처방이 도출되었으며 이 중 加味逍遙散 《東醫寶鑑》이 연결 횟수가 3회로 가장 높았다(Table 6).

Table 6. Network-Specific Herbal Prescriptions fo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alyzed through K-HERB
Network Herbal Prescriptions
Network 1 Yugmijihwang-tang (六味地黃湯), Palmijihwang-tang (八味地黃湯), Jihwangeumja (地黃飮子)
Network 2 Gamisoyo-san 《Donguibogam》 (加味逍遙散 《東醫寶鑑》), Jaeumganghwa-tang (滋陰降火湯), Sopung-san (消風散), Sanjoin-tang (酸棗仁湯), Banhabaekchulcheonma-tang (半夏白朮天麻湯), Jagamcho-tang (炙甘草湯), Uhwangcheongsim-won (牛黃淸心元), Gamiondam-tang (1) (加味溫膽湯 (1)), Gamiondam-tang 《Bangyakap-pyeon》 (加味溫膽湯 《方藥合編》). Jihwangeumja (地黃飮子), Bunsimgi-eum (分心氣飮), Jodeung-san (釣藤散)
Download Excel Table

Ⅳ. 고 찰

돌발성 난청은 이비인후과적 응급 질환으로 수 시간 또는 2-3일 이내에 갑작스럽게 뚜렷한 원인 없이 감각신경성 난청이 발생하며, 때로는 이충만감, 이명, 어지러움 등을 동반하기도 하는 질환이다. 대부분은 한 쪽 귀에 증상이 나타나나, 간혹 양측성으로도 발생한다. 돌발성 난청의 초기 치료로는 고용량 스테로이드 경구요법, 스테로이드 고실 내 주입술이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스테로이드제제의 작용기전은 청신경과 와우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나, 그 효과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17). 다만 중등도 이상의 난청인 경우 부신피질호르몬제제의 사용이 효과적이며18), 가능한 발병 직후 치료를 시작하도록 권고하고 있다19). 그 외에도 혈관 확장제, 혈액순환개선제, 항바이러스제, 이뇨제, 고압산소치료 등 여러 치료가 시행되고 있지만20,21) 아직까지 치료에 대한 근거가 불충분한 상황이다.

돌발성 난청의 예후는 전체 환자의 1/3은 정상으로 회복, 1/3은 40-60㏈ 가량의 청력을 소실하며 나머지 1/3은 청력을 완전히 소실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자연 회복률은 완전 회복과 부분 청력 회복을 포함하여 약 47-63%로 추정되고 있다22). 돌발성 난청의 예후는 치료 시작 시기, 초기 청력 손상 정도, 연령, 어지럼증 동반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된다23). 특히 1-2주 이내의 치료 시작 시점을 회복에 대한 양호한 예후로 보고 있으며 난청 발생 이후 치료 시작이 지연될수록 치료 효과가 감소한다는 보고가 많아 조기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다24).

《東醫寶鑑》25)에서는 耳聾을 風聾, 濕聾, 虛聾, 勞聾, 厥聾, 卒聾의 6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 風聾, 濕聾은 外邪로 유발되어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 되는 돌발성 난청과 유사하며, 虛聾, 勞聾, 厥聾, 卒聾은 氣滯血瘀, 腎精虧虛, 心氣不足으로 인한 耳聾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혈관장애로 인한 돌발성 난청과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26). 또한 이 중 돌발성 난청과 病名과 病態상 가장 유사한 것은 暴聾, 卒聾, 厥聾으로 보고 있다27). 돌발성 난청은 邪遏少陽證, 肝鬱化火證, 氣血瘀阻證, 心脾兩虛證, 陰精虧虛證으로 辨證할 수 있으며 邪遏少陽證은 淸解少陽, 導滯通竅하는 柴胡聰耳湯加減을, 肝鬱化火證은 舒肝解鬱, 淸火開閉하는 丹梔逍遙散加減을, 氣血瘀阻證은 活血化瘀, 通絡開竅하는 通竅活血湯合通氣散加減을 心脾兩虛證은 補益心脾, 升淸通耳하는 歸脾湯加減을, 陰精虧虛證은 補腎益精, 降火通耳하는 滋陰地黃湯加減을 사용한다28).

본 연구에서는 한의 임상에서 돌발성 난청에 사용하는 한약 처방과 구성 본초에 대해서 분석하였는데 총 33개 처방에서 102개 본초가 사용되었으며 최다빈도 본초는 茯苓으로 총 28개의 처방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연결 중심성 분석에서도 총 102개 본초 중 茯苓이 6.1로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냈다. 또한 陳皮, 生薑은 출현 빈도는 모두 6위였지만 연결 중심성은 각각 12위, 10위로 출현 빈도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연결 중심성은 특정 본초가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본초들과 얼마나 많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연결 중심성의 값이 높을수록 그 본초는 다른 여러 본초들과 연결성이 강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특정 노드의 연결 중심성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평가할 수 있다11). 茯苓은 다른 본초들과의 긴밀한 연결을 통해 주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陳皮, 生薑은 다빈도로 사용되지만 주요 역할보다는 처방에서 좌약(佐藥) 또는 사약(使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총 1,998가지 본초-본초 조합이 도출되었으며 이 중 최다빈도 본초 조합은 地黃-茯苓으로 총 32개 처방에 포함되었다. 茯苓과 地黃은 출현 횟수와 연결 중심성에서 모두 각각 1, 2위로 높게 나타났다. 茯苓은 잔나비걸상과에 속한 진균인 茯苓의 바깥층을 거의 제거한 菌核이다. 利水滲濕의 要藥으로 小便不利, 水腫脹滿, 痰飮內停證에 寒熱虛實을 막론하고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脾虛하여 水濕이 생기는데 茯苓은 健脾작용으로 標本을 모두 치료하는 효과가 있어 특히 脾虛濕勝證에 더욱 적합하다. 또한 安神 작용도 가지고 있는데 이는 健脾의 효능과 관련된다. 地黃은 현삼과 地黃의 뿌리로서, 生地黃과 乾地黃을 포괄하여 일컬으며 모두 養陰涼血한다. 다만 生地黃은 淸熱涼血에 더욱 효과가 좋으며, 乾地黃은 滋陰養血의 효능이 더욱 양호하다29). 이러한 본초의 효능뿐만 아니라 약리 작용도 돌발성 난청의 치료와 관련되는데 茯苓과 地黃은 모두 면역 촉진과 진정 작용을 가지고 있다. 茯苓 다당체인 pachyman, carboxymethyl, pachyman, hydroxyethyl pachyman 등은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carboxymethyl pachyman은 pentothal sodium으로 mouse에서 유발되는 중추억제 작용을 증강시킨다고 보고되었다. 地黃 역시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며 망상내피계의 탐식기능을 증가시키고 地黃 水抽出物은 말초혈관 T세포 수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alcohol 抽出物은 hemolysin(숙주세포의 세포막 인지질 공격)에 대한 항체형성을 촉진시켜 면역 촉진 작용을 가진다30).

응집성(Cohesion) 분석에는 Netminer 4(CyramInc., Seoul, Korea)의 Louvain Clustering Algorithm를 적용하였다. Louvain Clustering Algorithm은 네트워크의 모듈성(modularity)을 극대화하여 가장 적합한 클러스터링 결과를 이끌어낸다. 이 과정에서 각 노드의 연결 패턴을 파악하여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각 클러스터 내의 노드들이 다른 클러스터에 비해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조정한다. 따라서 이 분석을 통해 노드들이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별 네트워크가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16). 응집성 분석 결과 총 2개의 네트워크로 분류되었으며 네트워크 1은 枸杞子, 五味子, 山茱萸, 山藥, 澤瀉, 牧丹皮의 6개 본초로 구성되어 收澁藥이 33.3%로 가장 많았으며 네트워크 2는 地黃, 茯苓, 麥門冬, 知母, 黃柏의 5가지 본초로 구성되어 淸熱藥이 50%로 가장 많았다. 응집성 분석을 통해 얻어진 네트워크 별 구성 본초를 K-HERB에 입력하여 본초들이 공유하는 공통 처방을 도출하였는데 네트워크 1에서는 六味地黃湯과 八味地黃湯이 연결 횟수가 3회로 가장 높았고 네트워크 2에서는 加味逍遙散 《東醫寶鑑》의 연결 횟수가 3회로 가장 높았다. 六味地黃湯은 滋陰補腎의 효능이 있으며 약리학적으로 면역기능 증강 작용, 항종양 작용, 補肝 및 혈중 지질 저하 작용, 혈당 저하 작용, 청신경 장애에 대한 작용을 가진다. 六味地黃湯은 補腎治聾의 효능으로 gentamycin으로 청신경 장애를 유도한 ginea pig에서 독성을 경감시키고, 耳廓에서 반사역치 증가의 억제와 와우소관 확성전위(cochlear microphonic potential)와 청신경 활동전위(auditory nerve action potential)의 감소를 억제시키는 것이 보고되었다30). 八味地黃湯은 腎陽을 補하는 대표방으로 알려져 있으며 mouse를 이용한 한 실험 연구에서는 八味地黃湯을 투여한 경우 NK세포나 탐식세포가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선천적 방어기능을 증가시켰고 T세포에 의한 접촉성 피부반응은 억제시킨 반면 B세포에 의한 항체형성반응은 증가시켰으므로 八味地黃湯을 임상적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질환에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고하였다31). 加味逍遙散은 逍遙散에 牧丹皮와 梔子 등을 가미한 처방으로, 逍遙散의 疏肝解鬱 작용보다는 淸熱凉血, 活血祛瘀 효능이 강조된 처방으로 逍遙散의 主治에 火鬱이 겸한 경우에 적용된다32) 加味逍遙散은 여러 연구를 통해 항스트레스 효과33,34) 및 항산화, 항염증 효능 등35)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약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는 응집성 분석을 통해 도출된 네트워크를 각 질환의 대표 변증이나, 기본방, 본초 분류 상의 패턴으로 다양하게 해석하였다8-10). 본 연구에서도 네트워크 1을 陰精虧虛證, 네트워크 2를 肝鬱化火證, 氣血瘀阻證과 같이 돌발성 난청의 대표 변증으로 보거나 또는 돌발성 난청 처방의 기초가 되는 기본 처방 구성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돌발성 난청에 대한 최초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로 최근 증가 추세인 돌발성 난청의 치료 한약 처방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돌발성 난청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본초와 본초 조합, 긴밀하게 연결되어 처방 내에서 주요 효능을 나타내는 본초 그룹군을 탐색하고 각 그룹군과 관련된 처방을 도출하여 돌발성 난청 치료 한약 처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객관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임상 적용이나 후속 연구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대상 논문이 증례 보고(case report), 연속증례보고(case series)에 한정되어 대상 논문 수가 적고 국내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추후 국외 저널 및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등의 임상 연구를 포함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돌발성 난청에 대해 한약 경구 투여를 시행한 증례 보고(case report)와 연속증례보고(case series) 12편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33개 처방에서 102개 본초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최다빈도 본초는 茯苓으로 총 28개의 처방에서 사용되었다.

  2. 총 1,998가지 본초-본초 조합이 도출되었으며 이 중 최다빈도 본초 조합은 地黃-茯苓으로 총 32개 처방에 포함되었다.

  3. 연결 중심성 분석에서는 茯苓이 6.1로 가장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냈다.

  4. 응집성 분석 결과 총 2개의 네트워크로 분류되었으며 네트워크 1은 枸杞子, 五味子, 山茱萸, 山藥, 澤瀉, 牧丹皮의 6개 본초로 구성되었으며 네트워크 2는 地黃, 茯苓, 麥門冬, 知母, 黃柏의 5가지 본초로 구성되었다.

  5. K-HERB NETWORK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1에서는 六味地黃湯, 八味地黃湯 등의 처방을, 네트워크 2에서는 加味逍遙散 등의 처방을 도출하였다.

References

1.

Chandrasekhar SS, Tsaido BS, Schwartz SR, Bontempo LJ, Faucett EA, Finestone SA,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udden hearing loss (update).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9;161(1):1-45. .

2.

Park SY, Jea HK, Min YE, Kang JH, Hong EB. Therapeutic effect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hreshold sound conditioning on bilateral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 case repor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22;35(2):72-81.

3.

Lee HS, Lee YJ, Kang BS, Lee BD, Lee JS. A clinical analysis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cases. Korean J Audiol. 2014;18(2):69–75. .

4.

Kim HB, Oh SJ. The Role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4; 67(1):1-8. .

5.

Medical News. 2021[cited 2025 June 18]. Available from: URL: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9072&utm

6.

Cho ID, Kim NG, Kwahk KY. Recommending Core Research Keywords Using Social Network and Data Mining Analysis.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2012; 11(1):87-99.

7.

Choi SR, Shin JW, Park SM, Baek JH, Lee MJ, Choi JY, et al. Network Analysis of the Herbs in Prescriptions from “Biwiron (脾胃論)”. J Int Korean Med. 2024;45(6):1196. .

8.

Kim A, Kim HJ, Song BY, Lee SH, Cho YH, Oh YT. Network analysis on herbal combinations in Korean medicine for insomnia. J Korean Med Classics. 2018; 31(4):69-78.

9.

Kim A. Study on core herbs and herbal prescriptions from Internal medicine on Spleen system in Korean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22;30(3):145-54.

10.

Oh YT, Kim HJ, Kim A. Study of structural analysis on formulas from Onbyungjobyun using network analysis. Herbal Formula Science. 2019;27(1):65-71.

11.

Kim TH, Kim HY, Han JH, Bang MR, Chang GT, Lee JY, et al. Network Analysis of Epilepsy Formulas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9 Herbal Manuscripts. J Pediatr Korean Med. 2024;38(3):53-65.

12.

Jeong YK, Kim HS, Kim HH, Park YJ, Park YB. Exploratory Structural Analysis on Eight Positions for New Formulations in Jingyuequanshu by Network Analysis. J Korean Med. 2014;35(3):49-59. .

13.

Shin SM, Ko H. Network Analysis of Herbs that are Frequently Prescribed for Osteoporosis with a Focus on Oasis Platform Research. J Int Korean Med. 2021;42(4):628-44. .

14.

Kwak KY.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Crbooks. 2019:185.

15.

Kim AN, Seo SM, Kim SK, Lee SH, Oh YT. Study on core herbs and herbal prescriptions from Internal medicine on Liver system in Korean Medicine. Herbal Formula Science. 2024;32(2):132.

16.

Lee JY, Lee YG, Lee YH, Ha SJ, Kwon BI. Network Analysis of Prescriptions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Preliminary Exploration of Prescriptions Using the K-HERB Database.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24;28(2): 133.

17.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Otorhinolaryngology. Seoul:Ilchokak. 2005;54, 150-3.

18.

Chen CY, Halpin C, Rauch SD. Oral steroid treatment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 ten year retrospective analysis. Otol Neurotol. 2003;24(5):728-33. .

19.

Slattery WH, Fisher LM, Iqbal Z, Liu N. Oral steroid regimens for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5;132(1): 5-10. .

20.

Han JM, Jang IU, Yoon HJ, Ko WS. A case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f sudden hearing loss with severe vertig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13; 26(2):98-108. .

21.

Choi YY, JA B, Baek JC, Hwang ML, Ahn JH, Jung HA. A clinical analysis on outpatients with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epartment at daejeon korean medicine hospital.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22;35(4):31-46.

22.

Korea Society of Otorhinolarynogology- Head and Neck Surgery.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Otology. Paju: Gunja Publishing House. 2018:631-9.

23.

Kuhn M, Heman-Ackah SE, Shaikh JA, Roehm P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A review of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Trends in Amplification. 2011; 15(3):91-105. .

24.

Kim MW, Jin MH, Choi JY, Kwak MY. Benefits of delayed steroid combination treatment more than two weeks after onset in sudden hearing loss. J Clinical Otolaryngol. 2021;32:212-20. .

25.

Heo J.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Seoul:BUBIN PUBLISHERS CO. 2007:657-60,1254.

26.

Yu HJ, Hong SU. Three Cases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with Marked or Complete Recover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6; 19(2):269.

27.

Yun HS, Lee SE, Han EJ, Kim YB. Six Cases of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3;16(2):221-43.

28.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Otolaryngology. Paju:Globooks. 2019:99.

29.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National Universit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extbook of Herbal Medicine. Seoul:Youngrimsa. 2008:233,234,348,349.

30.

Han JH, Kim KY. Oriental Pharmacology. Seoul:Eui Seong Dang Publishing Co. 2008:169,170,248,249,515-8.

31.

Ju SJ, Lee EJ, Oh SH. Effects of Palmijihwangtang(八味地黃湯) Water Extract on the NK Cell Activity and Immune Rasponses of the Mouse. The J of Wonkwang Oriental Medicine. 1992;2(1): 444.

32.

Kim JH, Yoo DY. A philological study on Danchisoyo-san. J Daejon University Orient Med. 1999;7:531-51.

33.

Akira S. Takeda K. Toll-like receptor signalling. Nat. Rev. Immunol. 2004:4: 499-511. .

34.

Johnson GL, Lapadat R.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mediated by ERK, JNK, and p38 protein kinases. Science. 2002;298:1911,1912. .

35.

Choi HM, Kim SJ, Kim IS, Lee JB, Kim JB, Moon SO, et al. Evaluation on Anti- 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for the New Formulation of Gamisoyosan. Kor J Herbol. 2016;31 (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