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Report / 증례

八珍湯加味方 중심의 한의 치료로 호전된 안면홍조와 건성습진 치험 1례

오정화1https://orcid.org/0009-0009-3818-6756, 윤화정2,*https://orcid.org/0000-0003-0211-7213
Jeong-Hwa Oh1https://orcid.org/0009-0009-3818-6756, Hwa-Jung Yoon2,*https://orcid.org/0000-0003-0211-721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수련의)
2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학 교실 (교수)
1Dept.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al Korean Medicine, Dong-Eui University
2Dept.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al Korean Medicine, Dong-Eu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Hwa-Jung Yoon, Dept.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ong-Eui University, 62, Yangjeong-ro, Busanjin-gu, Busan, Republic of Korea. (Tel : 051-850-8658, E-mail : yhj1226@deu.ac.kr)

© 202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l 05, 2024 ; Revised: Jul 24, 2024 ; Accepted: Jul 31, 2024

Published Online: Aug 25, 2024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paljin-tang gamibang on facial flushing and xerotic eczema.

Methods : We treated a 72-year-old female elderly patient who has facial flushing and xerotic eczema by korean medicine. She was treated from December 13th, 2023 to February 28th, 2024. The treatment applied was acupuncture, pharmacopuncture, herbal ointment and herbal medicine including 'paljin-tang gamibang'. The severity of symptoms was evaluated by photo comparison,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DLQI).

Results : After 11 weeks of treatment, the patient’s symptoms improved. VAS of pruritus changed 10 to 1, VAS of dryness changed 10 to 1, DLQI changed 25 to 3.

Conclusions : This case study showed an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paljin-tang gamibang treated on facial flushing and xerotic eczema.

Keywords: Facial flushing; Xerotic eczema; Paljin-tang; Korean medicine

Ⅰ. 서 론

홍조는 안면, 경항부, 체간부에 주로 발생하는 홍반 및 발적 현상으로, 고체온이나 다른 요인에 의한 혈관 평활근의 변화가 주된 발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안면은 피부가 얇고 혈관이 다수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발적 및 홍반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안면홍조 환자들은 얼굴에 드러나는 피부 증상으로 인한 대인 기피, 삶의 질 저하 등을 겪을 수 있다1).

안면홍조의 서양의학적 치료법으로는 베타차단제, 신경안정제, 호르몬제, 교감신경차단술 등이 알려져 있는데, 서맥, 보상성 다한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2).

한의학적으로 안면홍조는 《東醫寶鑑》 外形篇 面文에 언급된 바가 있는데, “面熱者, 足陽明病. 面赤如醉者, 胃熱上熏也. 面熱, 因鬱熱. 飮食不節 則胃病, 胃病 則氣短, 精神少 而生大熱, 有時顯火上行 毒燎其面.”이라 하면서 面熱을 치료하는 처방으로 升麻黃連湯을 제시하였으며3), 기존의 한의학적 임상 연구들에서도 안면홍조에 대부분 火를 치료하는 한약이나 침 치료법을 사용했다고 보고되었다4).

건성습진은 건조한 피부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염으로서 노인에서 흔한 질환이다. 초기 증상으로 인설이 덮인 홍반성 반이 발생하면서 심한 소양증이 발생하고, 피부 건조증에 의한 피부의 갈라짐도 흔히 동반되며, 대기 습도가 낮은 겨울철에 흔히 발생한다5).

건성습진의 서양의학적 치료로는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등을 투여하는데, 스테로이드는 장기간 도포 시 피부 장벽기능의 손상 가능성, 항히스타민제는 노인 환자에서 과도한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5).

한의학에서 건성습진의 대표적인 증상인 피부의 건조 및 인설은 “諸澁枯涸 乾勁皴揭 皆屬於燥”에 따라 燥證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12) 이에 따라 養血潤燥 위주의 한약을 사용하였다.

본 증례에서 사용한 八珍湯은 《薛氏醫案》에 최초로 기재된 처방으로, 氣血을 補하는 효능으로 모공성 홍색 비강진6), 외음부 궤양7)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음을 밝힌 증례보고 연구가 있었으나, 안면홍조와 건성습진에 八珍湯을 사용한 증례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서양의학적 치료에도 약 10개월간 호전 보이지 않았던 안면홍조와 전신 건성습진 환자에게 八珍湯加味方 중심으로 침, 약침, 외용제 등을 포함한 한의 단독 치료를 통해 유의미한 임상적 결과를 확인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Ⅱ. 증 례

1. 환자 정보
  • 1) 환자 : 박○○/여자/72세

  • 2) 주소증 : 안면, 목, 양측 팔, 우측 유방, 우측 족내과 부위의 발적/ 야간에 심화되는 소양감, 작열감, 건조감

  • 3) 발병일 : 2023년 2월경

  • 4) 치료 기간 : 2023년 12월 13일 - 2024년 2월 28일 (외래 치료)

  • 5) 현병력

    발병 당시 특별한 계기 없이 우측 관자놀이 부근 500원짜리 동전 크기의 발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점차 안면 전체로 병변 확산되어 2023년 3월경 local 피부과 방문하여 스테로이드, 항생제 등의 경구약 및 연고 치료 시행하였다. 치료 후에도 별다른 호전 없이 목, 가슴, 팔까지 병변 확산되어 2023년 10월경부터 경구약 복용 및 연고 사용 중단하였다. 이후 2023년 12월 13일 적극적인 한의 치료 위해 본원 외래에 내원하였다.

  • 6) 과거력

    • (1) 뇌출혈 - 2013년경 진단.

    • (2) 요추골절 - 2023년 1월경 집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넘어진 이후 요통 심하여 누워만 있었음. 침상안정 후 요통 호전되는 양상 있어, 운동을 다시 시작했다가 요추골절 진단받음.

    • (3) 유방암(우측) - 2018년경 진단받고 절제술 시행.

    • (4) 골다공증

    • (5) 위식도 역류질환

  • 7) 가족력 : 특이사항 없음

  • 8) 사회력 : 금연 금주

  • 9) 望聞問切

    • (1) 體格 : 마른 체격(155㎝/44㎏/BMI 18.31)

    • (2) 食事 : 1/2공기씩 하루 두 끼 섭취. 口淡無味하여 식사량 적으며, 점심에는 밥 대신 과일로 식사 대체하기도 함.

    • (3) 消化 : 과거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소화에 어려움 있었으며, 素證으로 腹滿 있음.

    • (4) 大便 : 1-2회/1일 무른변 양상.

    • (5) 小便 : 주간 6-7회 야간 1-2회 快

    • (6) 睡眠 : 피부질환 발병 전 원래도 수면 불량하였으며, 현재는 야간 소양감으로 수면 중 각성 빈번해 더욱 淺眠함.

    • (7) 口渴 : 1L/1일

    • (8) 寒熱 : 상체와 안면으로 상열감 있어 간헐적으로 열이 확 올라오며, 둔부와 다리 쪽으로는 시리다 함. 피부질환 발병 이후로는 보일러 세게 틀거나 너무 더운 장소는 가기 힘들다 하며, 뜨거운 물로 샤워하면 증상 심화된다고 호소함.

    • (9) 發汗 : 평소 발한량 많은 편으로, 특히 덥게 하거나 여름에 땀 많이 남.

    • (10) 舌 : 舌淡紅 苔薄白

    • (11) 脈 : 弱

2. 치료 방법
1) 한약 치료
(1) 2023년 12월 13일 - 2024년 1월 23일

八珍湯加味方을 2첩 3팩, 1팩당 120㏄로 전탕하여 1팩씩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복용하게 하였다(Table 1).

Table 1. Composition of Paljin-tang Gamibang
Herbal Name Scientific Name Amount(g)
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 4
川芎 Cnidii Rhizoma 4
白芍藥 Paeoniae Radix Alba 4
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 4
沙參 Adenophorae Radix 4
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 4
白茯苓 Poria Sclerotium 4
甘草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4
枸杞子 Lycii Fructus 4
白殭蠶 Batryticatus Bombyx 4
黃芪 Astragali Radix 4
五味子 Schisandrae Fructus 4
麥門冬 Liriopis Radix 8
香附子 Cyperi Rhizoma 8
山楂 Crataegi Fructus 4
砂仁 Amomi Fructus 2
黃連 Coptidis Rhizoma 2.8
生薑 Zingiberis Rhizoma Recens 6
大棗 Zizyphi Fructus 7
Download Excel Table
(2) 2024년 1월 24일 - 2024년 2월 28일

환자 기력저하 개선 위해 八珍湯加味方(Table 1)에 鹿茸(Cervi Parvum Cornu)을 1첩 당 3g 가하여 처방하였다. 2첩 3팩, 1팩당 120㏄로 전탕하여 1팩씩 1일 2회 아침, 저녁 식후 복용하게 하였다.

2) 침구 치료
(1) 침 치료

침 치료는 외래 내원 시 1일 1회 시행하였으며, 일회용 스테인리스 호침(동방침구제작소 동방침 0.20×30㎜)을 사용하였다. 취혈은 肺正格(太淵(LU9) 太白(SP3) 補, 少府(HT8) 魚際(LU10) 瀉), 大腸正格(足三里(ST36) 曲池(LI11) 補, 陽谷(SI5) 陽谿(LI5) 瀉) 등의 경혈을 위주로 하였으며, 유침 시간은 20분으로 시행하였다.

(2) 약침 치료

리셀 약침(KS대한표준원외탕전 10㎖)을 일회용 주사기(성심메디컬, INSULIN SYRINGE 1㎖/㏄, 30G×80㎜)를 사용하여 1회 치료 당 5㏄를 환부에 나누어 주입하였다.

3) 외용 치료
(1) 아로마 크림

보습 및 소양감의 완화를 목적으로 아로마 크림을 처방하여 환부의 건조감이 느껴지는 부위를 중심으로 1일 2회 적용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목욕이나 샤워한 후에는 즉시 도포하도록 하였다. 아로마 크림은 베이스로션에 아로마 오일을 혼합한 것으로 본원에서 보습 목적으로 처방하는 외용제이며, 한의자연요법학회의 한방 아로마 베이스로션(주 성분 : 세라마이드, 알로에베라, 스쿠알란, 甘草, 黃連, 綠茶, 黃芩 등 한약재 추출물) 80㎖에 캐모마일 오일 30방울을 섞어 제조하였다.

(2) 止痒膏

소양감의 완화를 목적으로 止痒膏를 처방하여 소양감이 심한 부위를 중심으로 1일 1-2회 적용하도록 하였다. 止痒膏는 본원에서 소양감 개선을 위해 제작한 외용제로 當歸 100g, 紫草 100g을 올리브유에 튀겨 건지고 金銀花 200g을 1첩 분량으로 전탕하여 총 600㏄가 되게 한다. 金銀花 전탕액을 가열하고 當歸, 紫草를 튀긴 올리브유에 넣고 녹여 차가운 물에 중탕하여 식힌 후 교반 과정 후에 연고통에 옮겨 담아 제조한다.

3. 평가 방법
1) 사진 비교

피부 병변의 치료 경과를 기록하기 위하여 초진일부터 2024년 2월 28일까지 안면과 팔 위주의 환부를 중심으로 촬영하여 치료 전후의 피부 상태를 비교하였다. 사진 촬영은 환자에게 학술적인 목적으로만 활용할 것임을 충분히 설명한 후 사전 동의를 구하여 시행하였다.

2) visual analogue scale(VAS)

피부질환으로 인해 환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불편감인 소양감과 건조감의 호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VAS를 사용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0점부터 10점까지였으며 0점은 불편감이 전혀 없는 상태, 10점은 환자가 상상할 수 있는 최대치의 불편감으로 간주하여 외래 내원 시마다 평가하게 하였다.

3)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DLQI)8)

DLQI는 피부질환이 삶의 질에 주는 영향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질환으로 인한 증상과 일상생활, 여가생활, 감정상태, 학교와 직장, 대인관계와 치료 등의 항목을 평가하는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10개 문항에서 최고점은 3점, 최하점은 0점으로 매겨 환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문항별 점수를 합산하여 평가하여 최고 점수는 30점이며, 총 점수가 높을수록 피부질환이 삶의 질에 주는 영향이 큰 것을 나타낸다.

4. 치료 경과
1) 사진 비교(Fig. 1, 2)
jkmood-37-3-99-g1
Fig. 1. Lesional Changes in the Skin of Face
Download Original Figure
jkmood-37-3-99-g2
Fig. 2. Lesional Changes in the Skin of Right Arm
Download Original Figure
2) VAS 및 임상증상 변화(Fig. 3)
(1) 2023년 12월 13일(초진일)

소양감 VAS 10, 건조감 VAS 10 수준. 안면과 목 중심으로 발적, 소양감, 건조감 가장 심하게 호소하였고, 미세한 인설이 안면, 목, 팔, 가슴 등의 피부 병변 위를 덮고 있음. 수면 중의 소양감으로 3-4회 가량 각성하여 숙면 취하지 못하였으며, 일상생활 시 안면과 목의 발진 가리기 위해 모자나 스카프 등으로 감싸고 다녀 불편함을 호소함.

jkmood-37-3-99-g3
Fig. 3. Changes in VAS VAS(P) : visual analog scale for pruritus, VAS(D) : visual analog scale for dryness.
Download Original Figure
(2) 2023년 12월 20일(2회 차 내원)

소양감 VAS 9, 건조감 VAS 10 수준. 초진일 치료 이후 소양감, 건조감, 상열감 등의 증상 호전 보였으나 시간 경과함에 따라 증상 재발함.

(3) 2023년 12월 27일(3회 차 내원)

소양감 VAS 8, 건조감 VAS 8 수준. 안면과 팔 피부 병변의 발적 호전되었으며, 건조감 또한 호전되면서 병변 위를 덮고 있는 인설 감소함. 수면 중의 소양감 호전되어 수면 중 1-2회 가량 각성함.

(4) 2024년 1월 3일(4회 차 내원)

소양감 VAS 6, 건조감 VAS 8 수준. 일상생활 중의 소양감 호전되었으나,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더운 장소에 있을 시 소양감 심화되는 양상 지속됨.

(5) 2024년 1월 10일(5회 차 내원)

소양감 VAS 4, 건조감 VAS 6 수준. 안면과 목의 발적 크게 호전되어 의복으로 가리지 않고 일상생활 가능하다 진술함. 가슴과 팔의 발적 또한 호전되는 양상 보임.

(6) 2024년 1월 24일(7회 차 내원)

소양감 VAS 3, 건조감 VAS 4 수준.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더라도 상열감 및 소양감 심화되는 양상 소실됨. 식사량 초진 시 1/2공기씩 두 끼 섭취에서 3/5공기씩 두 끼 섭취로 증가함.

(7) 2024년 2월 14일(10회 차 내원)

소양감 VAS 1, 건조감 VAS 2 수준. 1일 1-2회 정도로 소양감 발생함. 식사량 2/3공기씩 세 끼 섭취로 증가하였으며, 가벼운 운동은 가능한 정도로 기력저하 회복됨.

(8) 2024년 2월 21일(11회 차 내원)

소양감 VAS 1, 건조감 VAS 2 수준. 안면, 목, 가슴, 팔의 발적 크게 호전 있으며, 1일 1회 정 도 전신 소양감 발생함.

(9) 2024년 2월 28일(12회 차 내원)

소양감 VAS 1, 건조감 VAS 1 수준. 안면 소양감 소실되었으며, 우측 팔 위주로만 VAS 1 수준의 소양감 발생함.

3) DLQI 변화

2023년 12월 13일 초진 시의 DLQI 25점으로, 피부질환으로 인한 불편함으로 일상생활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원에서의 탕약 복용을 포함한 한의 치료 통해 안면홍조와 건성습진으로 인한 소양감 및 건조감이 호전됨에 따라 2024년 2월 28일에 측정한 DLQI 또한 3점으로 크게 호전을 보였다(Table 2).

Table 2. Changes in DLQI
Category 23.12.13 24.2.28
1. Over the last week, how itchy, sore, painful or stinging has your skin been? Very much A little
2. Over the last week, how embarrassed or self conscious have you been because of your skin? Very much Not at all
3.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interfered with you going shopping or looking after your home or garden? Very much Not at all
4.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influenced the clothes you wear? Very much Not at all
5.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affected any social or leisure activities? Very much A little
6.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made it difficult for you to do any sport? Very much Not at all
7. Over the last week, has your skin prevented you from working or studying?
If "No",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been a problem at work or studying?
No
A little
No
Not at all
8.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created problems with your partner or any of your close friends or relatives? A lot A little
9. Over the last week, how much has your skin caused any sexual difficulties? A little Not at all
10. Over the last week, how much of a problem has the treatment for your skin been, for example by making your home messy, or by taking up time? Very much Not at all
Total Score 25 3

* Very much : 3/ A lot : 2/ A little : 1/ Not at all : 0

** : Yes : 3/ if "No", A lot : 2/ A little : 1/ Not at all : 0

Download Excel Table
jkmood-37-3-99-g4
Fig. 4. Changes in DLQI
Download Original Figure

Ⅲ. 고찰 및 결론

홍조는 안면, 경항부, 체간부에 주로 발생하는 홍반 및 발적 현상으로, 고체온이나 다른 요인에 의한 혈관 평활근의 변화가 주된 발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홍조가 발생하는 부위 중 안면은 피부가 얇고 혈관이 다수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발적 및 홍반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안면홍조 환자들은 얼굴에 드러나는 피부 증상으로 인한 대인 기피, 삶의 질 저하 등을 겪을 수 있다1).

특히 노화로 인한 안면홍조는 폐경전후의 열성홍조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혈관운동성 불안정성이 주요한 역할을 한다. 급격한 홍조, 발한과 열감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빈맥과 불안, 흥분감이 흔히 동반되는데, 특히 안면의 적색 피부 변화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9).

안면홍조의 서양의학적 치료법으로는 베타차단제, 신경안정제, 호르몬제, 교감신경차단술 등이 알려져 있는데, 효과의 지속시간이 짧고, 서맥, 위장장애, 보상성 다한증 등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2).

한의학적으로 안면홍조는 《東醫寶鑑》 外形篇 面文에서 “面熱者, 足陽明病. 面赤如醉者, 胃熱上熏也. 面熱, 因鬱熱. 飮食不節 則胃病, 胃病 則氣短, 精神少 而生大熱, 有時顯火上行 毒燎其面.”이라 언급하면서 火를 내리는 처방을 제시하였다3). 또한 체온조절중추의 장애와 혈관운동성의 불안에 기인하는 안면홍조는 한의학적으로 寒熱의 조절과 血脈의 滋養을 담당하는 心의 기능저하와 유관하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9), 腎陰虛, 腎陽虛, 肝鬱, 心肝火旺, 心腎不交, 脾心兩虛, 血瘀 등의 病因, 病機에 따른 다양한 처방이 활용된다10).

건성습진은 건조한 피부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피부염으로서 중년 이후 노인에서 흔한 질환이다. 초기 증상으로 인설이 덮인 홍반성 반이 발생하면서 심한 소양증이 발생하며, 피부건조증에 의한 피부의 갈라짐도 흔히 동반된다. 대체적으로 피부건조증이 잘 생길 수 있는 정강이 앞쪽, 팔 폄쪽 및 몸통에서 대기 습도가 낮은 겨울철에 흔히 발생하며, 소양감으로 심하게 긁은 경우 이차적으로 습진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5).

환경적인 요소도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되는데, 습도가 낮거나 건조한 실내 주거 환경, 용제나 비누에 반복 노출되거나, 소독 살균제와 같은 화학 물질, 혹은 노화가 원인이 되어 피부 장벽이 손상되면 피부는 쉽게 건조해져 습진 병변이 발생한다11).

건성습진은 예방 및 치료로서 보습제를 자주 도포하며 특히 겨울철에 피부 관리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랜 시간 뜨거운 물에서 목욕하거나 과도하게 비누를 사용하게 되면 피부 장벽의 손상을 유발하여 피부건조증이 더욱 악화되므로 이를 금하도록 환자에게 교육이 필요하며, 되도록 짧게 샤워 후에 바로 보습제를 도포하는 것이 중요하다5).

서양의학적 치료로는 스테로이드제의 국소 도포 및 경구 투여를 주로 사용하며 소양감이 심하면 항히스타민제, 세균 감염이 동반되면 항생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도포하면 피부의 장벽기능이 더욱 손상되어 오히려 피부건조증과 습진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해야 하며, 항히스타민제는 노인 환자에서는 과도한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5).

한의학에서 건성습진의 대표적인 증상인 피부의 건조 및 인설은 “諸澁枯涸 乾勁皴揭 皆屬於燥”에 따라 燥證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12), 이에 따라 養血潤燥하는 治法을 중심으로 한 증례 보고들13,14)이 발표된 바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2023년 2월경 우측 안면에 초발한 홍조, 습진으로 약 8개월간 양방 피부과에서 약물 및 연고 치료하였으나 특별한 호전 없어 약물 복용과 연고 사용 자가 중단하였으며, 이후 면역력 증강의 목적으로 홍삼이나 흑염소 등의 식품을 복용하기도 하였으나 호전 없이 점차 병변 전신으로 확산되어 적극적인 한의 치료 위하여 본원 외래 내원하였다. 환자 안면과 목 중심으로 홍반 관찰되고 가슴과 사지 중심으로는 인설이 덮인 발적과 균열이 관찰되었으며, 병변 부위에 소양감과 건조감 호소하고 발병일경 당시 특별한 외인성 유발요인 없었으며, 발병 이후에도 서서히 병변이 확산되었고 피부질환 과거력 없었던 점 등을 고려하여 노화와 연관되어 발생한 안면홍조 및 전신 건성습진으로 진단하여 치료를 시행하였다.

기존의 한의학적 임상 연구들에서 안면홍조는 대부분 火를 치료하는 한약이나 침 치료법을 사용하였으며4) 건성습진의 경우 燥證의 범주에 속하여 養血潤燥 위주의 탕약을 사용하였다. 다만 본 증례의 환자의 경우 기존에는 고령의 나이에도 운동을 꾸준히 다니는 등 활동적인 성격이었으나, 피부질환 발병 1개월 전 낙상으로 인해 요추 골절 발생한 이후 기력저하 심해 활동량 현저하게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 있으며, 이에 따라 식사량 저하 또한 동반되는 점을 바탕으로 氣血兩虛로 변증하여 八珍湯을 선정하여 투여하였다.

八珍湯은 《薛氏醫案》에 최초로 기재된 처방이며 氣血을 補하는 효능이 있어 病後에 조리를 실조하여 발생한 증상을 치료하는 方劑로, 대표적인 補益劑 중 하나이다. 人蔘⋅熟地黃은 甘溫하여 益氣養心하므로 君藥이 되고, 茯笭⋅白朮은 健脾燥濕하고, 當歸⋅白芍藥은 養血和營하므로 함께 臣藥으로 하였으며, 炙甘草는 和中益氣하고, 川芎은 行氣活血하므로 같이 佐藥으로 하였고, 生薑 ․ 大棗를 使藥으로 하여 脾胃의 氣를 調和하게 하였다15). 이러한 효능으로 八珍湯이 면역조절, 항피로,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을 밝힌 연구가 있었으며16), 피부질환 관련하여 八珍湯이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연구가 1편 있었는데, 아토피피부염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八珍湯加減 투여를 통해 이마와 볼 등의 안면부와 양측 전완부의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이 八珍湯加減 투여 일수에 따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17).

본 증례에서는 八珍湯에 補氣의 의미를 강화하고 益衛固表 托毒生肌하는 목적으로 黃芪를 가하였으며, 生津의 의미를 더하기 위하여 麥門冬, 五味子의 生脈散을 가했다. 환자 面熱, 上熱感 느끼며 주변 환경이 더운 곳일 때 소양감과 건조감 심화되는 점 고려하여 淸熱하기 위해 黃連을 가하였으며, 八珍湯 구성 중 人蔘의 경우 熱을 조장할 수 있어 沙蔘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환자 위식도 역류질환 과거력 있으며 평소 복만 등으로 소화 불량한 점을 감안하여 山査, 神麯을 가하였다. 또한 환자 피부질환으로 인한 스트레스 심하며, 평소에도 수면 불량한 경향 있어 理氣解鬱하는 香附子를 가하여 탕약 사용하였다. 2024년 1월 24일부터는 환자의 기력과 면역력을 더욱 증강하기 위해 補腎陽 益精血 强筋骨하는 鹿茸을 가하여 처방하였으며, 鹿茸 가하여 탕약 복용한 이후 소양감, 건조감 더욱 호전된 양상 보였으며, 식사량 증가 및 가벼운 운동 가능한 정도로 기력저하 또한 회복된 모습을 확인하였다.

침 치료는 肺正格, 大腸正格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며, 피부질환과 관련해 “肺主氣, 肺朝百脈, 肺主皮毛, 肺開竅於鼻, 其華在毛, 脈氣肅降 通調水道18)”라는 주요 생리기능을 가진 肺와 이와 表裏관계를 이루는 大腸 正格을 기본으로 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약침 치료의 경우 항염증 효과를 위해 리셀 약침을 사용하였다. 이는 附子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약침으로, 附子 약침은 혈청 내의 IL-1β, IL-4, IFN-γ 등을 감소시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19), 리셀 약침을 포함한 한의 복합 치료를 통해 건성습진 환자에게 효과를 얻은 증례보고14)가 있었다.

또한 본 증례에서는 金銀花, 當歸, 紫草로 구성된 한방 외용제를 병행하였다. 金銀花는 淸熱解毒, 凉散風熱의 효능이 있어 熱毒瘡癰을 치료하는 要藥이자 外科의 聖藥이 되고, 當歸는 補血和血의 효능을 가지면서 外科와 傷科에 다용되며, 紫草는 凉血解毒의 작용이 있어 瘡瘍, 濕疹, 火傷 등의 증상에 外用된다20).

환자 초진 당시 안면과 목, 가슴, 우측 팔 위주로 발적 있었으며, 소양감과 건조감의 경우 안면을 포함하여 양측 사지, 우측 유방을 포함한 가슴부위 등 전신적으로 호소하였다. 초진 시 환자는 피부질환으로 인한 소양감과 건조감을 각각 VAS 10 수준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점차 강도 완화되어 치료 11주 후인 2024년 2월 28일에는 소양감 VAS 1, 건조감 VAS 1 수준까지 호전되었다.

수면 중의 소양감 또한 호전되어 수면 중 각성하는 일 없다 하였으며, 기존에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더라도 소양감과 열감 심화된다고 호소하였으나 치료 6주 후부터는 뜨거운 물로 샤워하더라도 열감 올라오지 않는다며 일상생활의 불편함 또한 호전되었다고 진술하였다. 식사량 또한 증가하여 초진당시 1/2공기씩 두 끼 섭취한다 하였으나 치료 2개월 후에는 2/3공기씩 세 끼 섭취한다 하여 피부질환 외의 소증 또한 호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DLQI 또한 25점에서 3점으로 호전되었는데, 환자 초진 시에는 안면과 목의 피부병변을 가리기 위해 모자나 스카프 등으로 감싸고 다녔으나, 치료 후 병변이 호전됨에 따라 의복으로 가리지 않고 생활한다고 진술하는 등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도 크게 호전을 보였다. 또한 환자는 총 11주간의 한의 치료 기간 중 특별한 이상 반응을 호소하지 않았다.

본 증례는 발병 이후 1여 년간 호전 보이지 않고 점차 병변 확산되던 안면홍조 및 건성습진 환자를 한의 단독 치료를 통해 증상의 뚜렷한 호전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치료 방법에 있어 한약, 호침, 약침, 외용제 등의 복합적인 치료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단일 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외래 치료만 시행하여 병변의 육안적인 상태와 소양감, 건조감 강도를 매일 확인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증례가 1례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노인 환자의 안면홍조와 건성습진의 제반 증상 완화에 한의 단독 치료가 효과적임을 제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윤리

본 증례는 환자에게 개인정보, 의무기록 및 촬영한 병변 부위 사진의 활용에 대해 동의서를 취득하여 작성하였다. 의무기록 및 사진 등은 학술적인 목적으로만 활용할 것이며, 기타 목적으로의 개인 정보 노출은 발생하지 않음을 충분히 설명하였다.

References

1.

JH Lee, MC Park, JE Hong, JW Park, EH Jo. A Case Report of Hot Flush-Type Rosacea Improved by Baekho-tang. J Korean Med. 2020;41(3):173-9. .

2.

Moon JC, Choi SH, Yoon KB, Kim WO, Yoon DM. A Treatment of Facial Blushing with Beta Blockade and Antianxiety Drug. Korean J Pain. 2005;18:259-62. .

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MEDICLASSICS. 2015[cited 2024 JUL 4]. Available from: https://mediclassics.kr/books/8/volume/5#content_431

4.

SY Jung, YJ Kim, SK Lee. Case Report of Facial Flush Treated by Gyejigamchoyonggolmoryeo-tang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Clinical Sanghan-Geumgwe. 2020;12(1):91-9.

5.

Lee SC. Senior Dermatology. 1st ed. Seoul:Medbook. 2021:26-37,40,41.

6.

SY Sim. A Case of Honyoja : Pityriasis Rubra Pilaris with good response to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4):215-20. .

7.

EB Seo, JH Lee, HB Cho, SB Kim, YJ Seo, CM Choi. A Case Report of Genital Ulcer.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4):223-30. .

8.

Finlay AY, Khan GK.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DLQI)--a simple practical measure for routine clinical use. Clin Exp Dermato. 1994;19(3):210-6. .

9.

JM Han, NR Kang, WH Ko, HJ Yoon. The Study on the Korean and Western Medical Literatures for Skin Aging wrinkle, hyperpigmentation, dry skin, facial flush.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2):1-13. .

10.

NR Hong, YS Jang, SH Yang, YY Choi, DY Oh, SJ Lee, et al. A Review on Domestic Study Trends on Hot Flush in Menopausal Women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Korean Obstet Gynecol. 2020;33(1):86-103.

11.

Ahn SG, Jang GH, Jeong J, Kim TH, Cheon SH, Kang YC, et al. Common Skin Disease. 1st ed. Seoul;Jeongwoo Medical Book. 2015:1,120-3.

12.

Yu WS. Somunhyunkiwonbyungsik. Seoul:Daesung. 1980:738.

13.

Jung HJ, Kim SA, Jeong JC, Yoon CH, Yoon KS. A Case Study on Xerotic Eczema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5;26(3):692-8.

14.

JH Oh, HJ Yoon. A Case of Whole-body Xerotic Eczema Treatment Improved by Korean Medicine : Focus on Bangpoongtongseong-san Gagam, Yukmijihwang-tang Gagam.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24;37(1):97-106.

15.

Editorial board of Herbal Formula Science. Herbal Formula Science in Korean Medicine. 1st ed. Seoul:Youngrimsa. 1999:292-5.

16.

CJ Ma, NH Lee, JY Ma, HK Ha, YB Yu, HK Shin. Analysis of Studies on Palmul-tang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Based Medicine.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07;15(2):35-45.

17.

SH Ahn, JH Lee. Changes in transepidermal water loss after medication of Gagampalmultang to 104 patients with atopic dermatiits.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03;11(1):197-204.

18.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Meridians & Acupoints Association. Details of Merdians & Acupoints(Volume Ⅰ)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6th ed. Daejeon:Jongryeonamu publishing co. 2012.

19.

Kim YH, Yim YK, Lee H. The Effects of Herbal-acupuncture with Aconiti Iateralis Preparata Radix solutionon Collagen-induced arthritis.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6;23(2):137-54.

20.

Herbal Medicine Editorial Board, College of Korean Medicine. Herbal Medicine. 2nd rev. ed. Seoul:Younglinsa. 2011:238-41,630,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