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rticle / 종설

退翳明目 약재에 관한 문헌적 고찰과 활용연구

김경준1,*https://orcid.org/0000-0002-0284-6427, 김연섭2https://orcid.org/0000-0003-1379-9811
Gyung-Jun Kim1,*https://orcid.org/0000-0002-0284-6427, youn-sub Kim2https://orcid.org/0000-0003-1379-981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교수)
2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경혈학교실(교수)
1Dept. of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2Dept. of Anatomy-Point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Gyung-Jun Kim, Dept. of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Dongincheon-gil hospital, 21, Keumumul-ro, Jung-gu, Incheon, Republic of Korea. (Tel : 032-770-1290, E-mail : kkjo215@hanmail.net)

© 202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n 29, 2021 ; Revised: Jul 24, 2021 ; Accepted: Jul 31, 2021

Published Online: Aug 31, 2021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planned to help clinical treatment by examining the efficacy and frequency of use of medicines with removing nebula and improving vision action, centering on historical literature.

Methods : Chinese literature centered on CNKI published after 2000 and ophthalmic books of the Bei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Library, regardless of the publication period. Domestic literature was searched using NDSL and OASIS, and literature published after 2000 was referenced.

Results : According to traditional medical classics, as medicine with removing nebula and improving vision action, medicine with dispelling wind and clearing heat action accounted for the majority. However, it is desirable to use these medicine in the early stages of the disease.

Conclusions : 1. Among the external contacts that induce corneal opacity, the wind-heat pattern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visceral manifestation patterns that induce corneal opacity, liver or spleen was the most common. Cold-tempered medicine which is dispelling wind, clearing heat and bottling up the liver were most commonly used as therapeutic medicine. 2. As removing nebula and improving vision medicine, Cassiae Semen, Chrysanthmi Flos, Eriocauli Flos, and Buddlejae Flos have been widely used. 3.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removing nebula and improving vision medicine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early stages of various diseases that cause corneal opacity.

Keywords: Korean Medicine; Herbal Medicine; Removing nebula and improve vision; Corneal opacity

Ⅰ. 서 론

눈은 시각을 관장하기 때문에 五官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감각 기관으로, 기존의 한의학 문헌에서도 안과 영역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됨을 알 수 있다. 巢元方의 《諸病源候論》에서 38가지의 안과 질환을 설명하였고 《外臺秘要》 등의 의서에서도 여러 가지 눈 질환에 대해 언급함을 볼 수 있다1,2). 宋元代의 《銀海精米》는 본격적으로 안과 분야를 전문적으로 설명한 서적으로3), 《太平聖惠方》과 더불어 五輪八廓學說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明淸代에도 《審視瑤函》, 《目經大成》 등 안과 전문 서적이 출간되었으며1,2), 《東醫寶鑑》 眼門에서도 눈의 여러 질환을 설명하고 있다4).

현재 한의학의 안과 분야는 안구 건조나 사시, 비문증 등의 특정 증상이나 질환에 대해 중점적인 진료를 행하는 의료기관이 예전에 비해 다소 증가하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근골격계 질환을 위주로 한 통증 치료에 주력하는 양상으로 인해, 근래에는 한방 안과 영역을 비롯한 통증성 병변 이외의 분야에 대한 진료 비율이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다5).

한방 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편수를 보더라도 안과 분야는 이비인후과나 피부과에 비해 그 비율이 낮은 편으로6) 그 관심도가 타 분야에 비해 떨어져 있지만, 외국의 경우에는 한의학 안과 분야에 대한 연구 활동이 국내에 비해 활성화되어 있다7).

안과 질환을 大分하면 안구와 안 부속기의 병변으로 나뉘는데, 안구 질환은 상대적으로 한의학적인 치료 효율이 낮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黑睛에 瞖膜이 발생하는 聚星障, 凝脂瞖 등의 각막 병변과 氷瞖, 散瞖, 胎患內障 등으로 불리는 수정체 병변 그리고 雲霧移睛 등으로 불리는 초자체 혼탁 등은 그 치료 효율이 높지 않지만 시력의 감퇴를 유발하는 질환들이므로 적극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黑睛은 白睛에 둘러싸여 있으며 黑珠, 黑仁, 烏珠 등으로 불리는데, 일반적으로 각막을 지칭하지만, 각막하부의 수정체나 초자체를 포함한 광범위한 부위를 포괄할 수 있으며 소위 神光을 發하는 중요한 조직이다. 이러한 부위에 邪毒의 침습으로 혼탁이 생기는 것은 그 조직 자체의 원발성 병변이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주변 조직들의 병변에 의해 속발적인 영향을 받아 발생하기도 하는데, 일단 발병하면 병정이 길고 자각 증상이 극렬하거나 투명한 부위의 혼탁에 의해 瘢痕瞖障이 남아서 시력 장애를 유발함이 일반적이다8).

黑睛의 致病素因으로는 外感六淫이 많고 六淫 중에서도 風熱을 대표적으로 거론하는데, 그 病程은 장부의 기능 실조에 의한 氣血失和 및 正氣虛衰와 더불어 앞서 말한 外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며 內因에 의한 열은 臟象的으로 肝이나 脾에서 연유되는 경우가 많다7).

消障退瞖하는 약물을 이용하여 黑睛의 瞖障을 제거하거나 경감시키는 치법이 退瞖明目法으로 祛風, 淸熱, 平肝의 성격을 가진 약물로 구성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며, 처방으로는 撥雲退瞖散, 石決明散, 羌活退瞖湯, 羚羊角散 등의 응용이 가능하다. 개별 약재의 경우 退瞖明目 효능이 있는 여러 약재들이 있는데, 역대 문헌을 중심으로 그 효능 및 사용 빈도를 살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눈의 瞖膜으로 지장을 초래하는 질환들의 치료에 대한 적극적 한방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기획하게 되었다8).

Ⅱ. 연구 방법

1. 문헌 검색

退瞖明目에 관련된 문헌은 중의학의 안과 전문 古來文獻을 중심으로 하고, 近來의 文獻은 北京 中醫藥大學 東直門醫院 부설 서적센터의 출판물을 주로 검색하였다. 문헌 중 주제에 부합하는 항목에서 退瞖明目과 관련한 처방이나 약재를 심도 있게 알아보았는데 특히 처방에 대해서는 구성 약물을 용량의 표식을 배제하고 대부분 별도로 표기하였으며, 약재의 선용 빈도를 위주로 살펴보았다.

안과 전문의 古來문헌으로는 본 논문의 주제에 부합되는 내용이 비교적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銀海精微》9), 《原機啓微》10), 《眼科龍木論》11), 《明目至寶》12), 《審視瑤函》13), 《一草亭目科全書》14), 《異授眼科》15)를 살펴보면서 각 醫家가 바라보는 고유한 瞖膜 형성 기전에 대한 이론과 그에 대한 치법을 짚어보았다. 近來文獻으로는 《中醫眼科全書》16), 《眼科臨床實用中藥》17), 《祕傳眼科七十二全書》18), 《中醫五官科名著集成》19)을 살폈는데, 이 분야에서는 退瞖明目을 하는 개별적인 본초의 효능과 사용 빈도, 효력 증진을 위한 配伍 관계, 그리고 臟象을 기반으로 효능이 발휘되는 근거를 알아보았다.

2. 문헌

《銀海精微》에서 暴露赤眼生瞖에 대해 血氣를 소통하기 위해 大黃當歸散을 사용하고 淡藥丸을 点하라 했는데, 厚瞖인 경우에는 珍珠散을 点하고 黃蓮, 當歸, 防風, 菊花, 側柏葉, 赤芍藥, 薄荷, 荊芥로 洗하라 하였다9).

大患후에 風輪에 瞖가 生함에는 生薑汁을 点하고 苦桃汁, 側柏葉, 菊葉으로 薰洗한 후 四順八正導赤散(大黃, 當歸, 甘草, 赤芍藥)이나 細辛湯(茺蔚子, 黃芩, 桔梗, 大黃, 車前子, 木通, 生地, 甘菊)을 用하라 하였다. 深瞖에는 拔雲退瞖散(楮實子, 薄荷, 川芎, 黃蓮, 菊花, 蟬退, 瓜蔞根, 蔓荊子, 密蒙花, 蛇退, 荊芥, 白芷, 木賊, 防風, 甘草)을, 小兒生瞖는 脾胃實熱所致 或 胎中受毒, 乳母好食熱物이 원인으로 加味修肝散(梔子, 薄荷, 連翹, 麻黃, 赤芍藥, 羌活, 當歸, 大黃, 黃芩, 菊花, 木賊, 白蒺藜, 川芎, 甘草)을 권하였으며 花瞖가 오랫동안 낫지 않을 때는 知母飮子(知母, 茺蔚子, 防風, 細辛, 桔梗, 茯苓, 大黃, 芒草)를 언급하였다9).

한편 磨瞖障의 목적으로 磨光散(防風, 羌活, 菊花, 草決明, 蟬退, 蛇退, 甘草, 蒺藜, 石決明), 瞖膜攀睛에는 草龍膽散(龍膽草, 木賊, 草決明, 甘草, 川芎), 漸生瞖膜에는 菊花散(甘菊花, 蟬退, 白蒺藜, 羌活, 荊芥, 甘草)을 제시하였으며, 察瞖法도 언급하였는데 瞖膜이 홍색이면 易治, 백색이면 難治라 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 외 외용약으로는 珍珠散, 七寶散, 撥雲散, 熊膽膏가 소개되고 있다9).

《原機啓微》에서 瞖의 출현을 경락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內眦로부터 出함은 手太陽, 足太陽受邪하므로 치법은 小腸經, 膀胱經에 있으며 羌活勝風湯(白朮, 枳殼, 羌活, 川芎, 白芷, 獨活, 防風, 前胡, 桔梗, 薄荷, 荊芥, 甘草, 柴胡, 黃芩)에 蔓荊子, 蒼朮을 加하라 했다. 銳眦로부터 出함은 足少陽, 手少陽, 手太陽受邪하므로 치법은 膽과 三焦, 小腸經에 있으며 龍膽草, 藁本에 약간의 人蔘을 加하라 했다. 또한 目系의 상부로부터 出함은 足厥陰, 手少陰受邪라 하고 黃連을 加하고 柴胡의 증량을 권하였으며 目系의 하부로부터 出함은 手太陽受邪라 하고 木通과 五味子를 加하라 했다10).

瞖膜을 없애는 목적으로 추천한 처방을 살펴보면 내복약으로 風熱昏瞖에 蟬花散(穀精草, 菊花, 蟬退, 羌活, 甘草, 白蒺藜, 草決明, 防風, 山梔, 川芎, 密蒙花, 木賊, 荊芥, 黃芩, 蔓荊子)와 祕方撥雲退瞖丸(瓜蔞根, 枳實, 甘草, 蔓荊子, 薄荷, 川芎, 木賊, 密蒙花, 荊芥, 地骨皮, 白蒺藜, 甘菊, 蛇退, 黃連, 川椒, 當歸, 蟬退) 그리고 小眦의 靑白瞖가 있고 大眥의 白瞖가 生하기 시작하면 羌活退瞖丸(熟地黃, 生地黃, 當歸, 川芎, 芍藥, 防己, 知母, 茺蔚子, 牧丹皮, 丹蔘, 寒水石, 柴胡, 羌活, 黑附子)이 있으며, 点洗方으로는 風熱로 인한 瞖膜에 春雪膏(黃連, 硇砂, 白丁香, 乳香, 烏賊骨, 當歸, 麝香, 輕粉, 南芦甘石)와 蟾光膏(白砂蜜, 黃丹, 密陀僧, 芦甘石)가 있다10).

《眼科龍木論》에서 각종의 內障疾患에 제시한 처방을 살펴보면 圓瞖內障에 防風散과 羚羊角飮子, 氷瞖內障에 還睛丸, 澁瞖內障에 還睛散, 滑瞖內障에 補肝湯, 散瞖內障에 還睛散과 補肝湯, 浮瞖內障에 決明散과 墮瞖丸, 沈瞖內障에 羚羊角飮子와 空靑丸, 橫瞖內障에 還睛丸과 七寶丸, 偃月瞖內障에 通明散과 墮瞖丸, 棗花瞖內障에 還睛散과 墮瞖丸, 白瞖黃心內障에 墮瞖散, 黑水凝瞖內障에 蘆會丸과 通明散, 胎患內障에 護睛丸, 그리고 五風變內障에는 防風湯과 通明補腎丸을 제시하고 있다11).

한편 외용약으로는 郭家明上膏(白沙蜜, 黃丹, 硇砂, 乳香, 輕粉, 硼砂, 麝香, 金星石, 銀星石, 井泉石, 雲母石, 黃連, 烏魚骨)를 제시하였으며, 단일 약재 중 특징적인 것으로 去瞖止漏에 空靑, 風毒으로 인한 赤瞖膜에는 黃連을 언급하였다11).

《明目至寶》에서는 五輪과 결부하여 瞖膜이나 昏矇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처방을 제시하였다.

風輪에는 羚羊角散(羚羊角, 人蔘, 皂角, 防風, 甘草, 草烏, 川芎), 血輪에는 地黃丸(生地黃, 白朮, 靑箱子, 山梔子, 荊芥, 當歸, 木通, 黃芩), 그리고 肉輪에는 薏苡仁散(薏苡仁, 白茯苓, 甘草, 大黃, 黑牽牛, 石決明)을 대표방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氣輪에는 蒺藜散(白蒺藜, 當歸, 羌活, 海蛤, 荊芥), 水輪에는 枸杞子丸(枸杞子, 附子, 五味子, 蟬退, 全蠍, 蒼朮)을 언급하였다.

五輪學說과 연계하여 白膜遮睛의 기전을 金克木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등 문답식 서술을 통해 瞖膜의 五輪的 해법을 많이 강조한 점도 특이하다 할 수 있다12).

《審視瑤函》에서는 “瞖膜의 형성은 필연적으로 風熱에 의한다”라 하여 羌活勝風湯이 主劑가 되어야함을 강조하였고 소양증을 겸했을 때는 杏仁龍膽草泡散(滑石, 龍膽草, 黃連, 當歸尾, 杏仁, 赤芍藥)으로 洗하라 했다. 그 외 菊花決明散(石決明, 石膏, 木賊, 羌活, 甘草, 防風, 甘菊, 蔓荊子, 川芎, 黃芩, 草決明)도 明目除瞖의 처방으로 제시하였는데 君藥으로는 草決明, 石決明, 木賊임을 명시하고 있고, 외용약으로 消瞖復明膏(海螵蟭, 黃丹, 訶子, 白沙蜜)를 제시하며 海螵蛸에 대한 磨瞖障 효능을 언급하고 있다. 또한 奇經客邪之病의 예로 努肉攀睛을 거론했는데, 陽蹻脈이 受邪하게 되어 內眥에 적색의 瘀肉이 발생하고 이것이 점차 神水를 침식하게 되는 기전으로 설명하고 있다. 해법으로는 撥雲退瞖丸(白蒺藜, 當歸, 川芎, 川椒, 甘菊, 地骨皮, 荊芥, 木賊, 密蒙花, 蔓荊子, 蛇退, 甘草, 天花粉, 桃仁, 蟬退, 黃連, 薄荷)을 제시하며 蟬退. 蛇退, 木賊, 密蒙花가 除瞖의 주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며 외용으로는 消瞖復明膏를 제시하고 있다13).

元氣不足으로 인한 深疳危害之病으로 瞖膜이 형성된 경우 流膿의 증상도 있을 수 있음을 說하며 升麻龍膽草飮子(羌活, 黃芩, 龍膽草, 靑蛤粉, 蛇退, 甘草, 穀精草, 鬱金, 麻黃, 升麻)를 제시했고, 氷瑕瞖에는 내복으로 開明丸(羊肝, 官桂, 菟絲子, 草決明, 杏仁, 防風, 茺蔚子, 黃芩, 麥門冬, 五味子, 細辛, 枸杞子, 靑箱子, 澤瀉, 熟地黃)과 七寶丸을, 그리고 외용으로는 琥珀煎(朱砂, 貝齒, 琥珀, 龍腦, 馬牙硝)을 제시했으며 陰陽瞖에는 羌活退瞖散(羌活, 五味子, 黃連, 當歸, 升麻, 龍膽草, 黃白, 甘草, 黃芩, 赤芍藥, 柴胡, 黃耆, 防風, 石膏)을 제시하고 있으며 표층성 각막염에 해당하는 聚星障에 대해서는 海藏地黃散(大黃, 熟地黃, 沙苑蒺藜, 玄蔘, 防風, 穀精草, 黃連, 白蒺藜, 犀角, 生地黃, 蟬退, 木賊, 甘草, 羌活, 木通, 當歸)을 치방으로 제시하고 있다13).

《一草亭目科全書》에서 外障瞖膜의 대표적인 瞖障努肉에 대해 石決明을 用하라 했는데, 昏蒙의 증상이 있으면 密蒙花와 家白菊을 加하고 외용으로는 七寶膏(珍珠, 琥珀, 水晶, 龍齒, 石決明, 熊膽, 龍腦)와 武當秘授仙方(制石, 巴豆, 蕤仁, 硇砂, 白丁香, 龍骨)을 제시하고 있다14).

「異授眼科」에서 제시한 薄瞖의 처치를 위한 외용 약물로는 海螵蟭, 大靑石, 辰砂, 白丁香, 氷片, 珍珠, 琥珀 등이 있고, 瞖膜이 重한 상황에서는 老膜散(珍珠, 熊膽, 辰砂, 密陀僧, 蕤仁, 白丁香, 硇砂)을 권하고 있다15).

안과 백과사전에 해당하는 《中醫眼科全書》에서 退瞖藥은 안과 분야에서만 사용되는 특유의 효능을 소지하고 있으며, 祛風 平肝 淸熱의 품목이 해당하는데, 瞖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內熱에 의한 것이라면 肝, 脾와 연관성이 크다고 하였다16).

약물로는 外用으로 空靑과 綠豆皮를 제시하였다. 空靑은 《審視瑤函》에서 益肝明目의 효능과 《太平聖惠方》에서 治眼䀮不明, 《聖濟總錄》에서 治膚翳昏暗의 효능을 언급했던 약물이고, 綠豆皮는 성분 면에서 지방이나 단백질과 Vit. B와 A를 함유하고 있어 응용성에 부합한다. 그 외에 《審視瑤函》이나 《本草綱目》에서 明目退瞖 효능을 언급했던 望月砂, 《本草綱目》에서 穀精草, 密蒙花와 더불어 明目退瞖의 작용을 언급했던 海螵蟭를 제시하고 있다16).

《眼科臨床實用中藥》에서도 目翳의 病因은 風이나 熱로 인식하고 臟腑的으로 肝이나 脾를 연계하였다. 그 치료가 쉽지는 않지만 血脈과 瞖가 相連되어 있는 新瞖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처치를 통해 瞖物의 제거가 용이하다고 했다17).

제시한 약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散風退瞖약으로 蟬退는 消散風熱, 退瞖明目, 退赤止泪의 효능으로 菊花, 穀精草, 白蒺藜와 配伍하라 했고, 木賊은 散風熱을 위해서는 牛蒡子, 薄荷, 蔓荊子 그리고 退目赤, 止泪, 明目을 위해서는 密蒙花, 穀精草, 決明子와 配伍하라 했다. 蔓荊子에 대해서는 疏散風熱, 退赤消腫, 退瞖止泪의 효능을 위해 菊花 및 決明子와의 결합을 권하고 있고, 蠶砂 및 蛇蛻와 같은 동물성 약재 또한 祛風, 退瞖, 止泪의 작용이 있으므로 桑葉, 菊花, 穀精草, 連翹, 金銀花, 密蒙花 등과의 응용을 언급했다. 그 외 散風退瞖약물로 白蒺藜, 菊花, 桑葉, 葛根, 紫蘇, 氷片을 제시했다17).

風邪가 重하면 熱化되어 발생하는 瞖物을 없애는 淸熱退瞖藥으로 穀精草는 疏風淸熱, 退赤明目, 消除瞖障 작용이 있음을 말하였는데, 風熱로 인한 目赤에는 菊花, 決明子, 夏枯草와 瞖膜遮睛에는 龍膽草, 赤芍과의 配伍를 권하였다. 또한 密蒙花는 退目赤 除瞖膜하며 收斂創口作用이 있음을 밝혔다. 靑箱子는 決明子나 石決明과 비교하여 眼昏이 肝旺에 의한 경우에 응용하라 했고 반면 決明子는 風熱에 의할 때, 石決明은 虛陽上亢에 의한 目昏에 사용하라 했다. 아울러 靑箱子가 혈압을 강하하는 작용이 있다 했고, 그 油脂는 동공 확대에 효능이 있다고 했으며 酸棗仁, 密蒙花, 決明子, 茯苓, 白扁豆와 함께 만성 포도막염을 치료한다고 언급 했다. 楮實子는 淸肝退瞖의 효능이 있으며 決明子나 柴胡, 菊花, 密蒙花와 配伍를 권했으며 그 외 淸熱退瞖藥으로 綠豆, 浙貝母, 白蒺藜를 언급하였다17).

平肝退瞖藥으로 대표적으로 제시한 약물은 石決明인데,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肝血不足에 의한 肝熱의 上炎에 사용함이 적합할 듯 하며 龍膽草, 桑葉, 菊花, 蟬退와 配伍하라 했다.

疳積, 즉 소아의 만성적 소화불량으로 인한 영양 장애로 발생하는 瞖物을 없애는 消疳退瞖藥으로 神曲, 麥芽, 山査, 鷄內金, 蘿葍子를 제시하였으며 密蒙花, 穀精草, 白蒺藜와의 配伍를 권하였다17).

梅毒入血 黑睛成瞖하고 熱極成毒하여 黃液上沖에 이를 정도로 심한 瞖膜을 없애는 解毒退瞖藥으로 土茯苓과 羚羊角을 대표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配伍약물로는 龍膽草, 板藍根, 黃芩, 石膏, 金銀花, 連翹, 地丁, 蒲公英을 언급했다17).

滋陰退瞖藥으로는 鱉甲, 龜板, 菟絲子, 女貞子, 旱蓮草를 제시했으며, 氣血不足으로 인해 陷瞖不起할 경우에 紫河車의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17).

《中醫眼科全書》에서 제시한 內服退瞖藥은 다음과 같다. 祛風退瞖藥은 蛇蛻, 木賊, 防風, 羌活, 荊芥를, 淸熱退瞖藥은 秦皮, 靑箱子, 草決明, 菊花, 穀精草, 夜明砂, 千里光, 熊膽 그리고 滋養退瞖藥으로는 白蒺藜, 生地黃, 蕤仁, 枸杞子, 密蒙花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收斂退瞖藥은 烏賊骨과 五味子를, 活血退瞖藥으로는 當歸尾, 赤芍藥, 丹皮, 桃仁, 紅花, 茺蔚子를 언급했다. 祛風退瞖는 風濕, 風寒, 風熱로 인한 目瞖를 제거하는 것이며, 淸熱退瞖는 風熱이나 風火熱毒으로 인한 감염성 目瞖를 없애는 것으로, 滋養退瞖는 염증이 없어진 이후 남아 있는 반흔성 혼탁을 없애는데 체력이 허약한 자에 적당하다고 하였고, 收斂退瞖는 각막 천공이 유합되지 않은 경우, 혹은 홍채 탈출이나 각막의 위축에 응용하라 설명하고 있으며, 活血退瞖는 血熱이나 血瘀 성격의 目瞖나 외상에 의할 때 사용을 권하고 있다16).

방제를 살펴보면 祛風退瞖劑로 風致瞖는 消瞖湯과 救睛丸, 夾濕者는 萬應蟬花散, 夾熱者는 梔子勝奇散, 熱重于風者는 聚星決明散, 風重于熱者는 明目菊花丸, 風致瞖 久不消者는 撥雲退瞖丸을 제시하고 있다16).

瀉火退瞖劑로 肺火致瞖는 蒙花散, 肝火致瞖는 連翹散이나 車前子散, 心火致瞖 夾肝熱者는 穀精草湯이나 笒連退瞖湯, 그리고 脾火致瞖 夾胃熱者는 明目退瞖湯이나 菊花決明散을 제시하고 있다16).

扶正退瞖劑로 傷陰耗津에 滋陰退瞖湯, 陰虛而餘熱未淸者는 海藏地黃散, 久病血虛의 경우 四物退瞖湯이나 補血退瞖湯, 久病氣虛에는 補氣退瞖湯을 제시했고, 肝腎虛로 인해 각막의 변성혼탁이 발생한 경우에는 補肝退瞖湯이나 三花五子湯의 사용을 권했다16).

其他退瞖劑로는 風鬱致瞖에 退瞖逍遙散, 婦女經期 血熱夾風火에는 黃芩白朮散, 因疳致瞖 脾虛兼有邪熱瞖에 消疳退瞖散, 痘疹致瞖 有熱毒에 消毒撥瞖湯을 권했고 痲疹致瞖에는 望月丸, 각막 천공과 홍채 탈출 같은 엄중한 상황 혹은 潰瘍久不愈에는 加味調氣湯, 外傷血瘀 혹 血熱에는 洗肝散이나 五蛻散을 권했고 통용방으로는 退雲丸을 제시했다(Table 1)16).

Table 1. Herbal Medicne in Removing Nebula and Improving Vision
Category Herbal Medicine Herb
祛風退翳劑 消翳湯 木賊, 蒙花, 歸尾, 生地, 藁本, 川芎, 柴胡, 荊芥穗, 防風, 甘草
救睛丸 當歸, 蒼朮, 荊芥穗, 蟲衣, 草決, 川芎, 薄荷, 枳殼, 木賊, 穀精草
萬應蟬花酸 石決, 蟲衣, 當歸, 川芎, 防風, 茯笭, 羌活, 蒼朮, 蛇衣, 赤芍藥, 甘草
梔子勝奇散 白蒺藜, 蟲衣, 穀精草, 木賊, 黃芩, 草決, 菊花, 羌活, 荊芥穗, 蒙花, 防風, 蔓荊子, 甘草
聚星決明散 決明子, 蔓荊子, 蛇蛻, 蟬蛻, 白蒺藜, 鉤藤, 山梔, 連翹, 荊芥, 防風, 穀精草
明目菊花丸 荊芥穗, 川芎, 防風, 蒙花, 薄荷, 連翹, 木賊, 菊花, 蒺藜, 車前子, 地黃, 甘草
拔雲退翳丸 蛇蛻, 蟬蛻, 連翹, 楮實子, 薄荷, 川芎, 當歸, 蒙花, 木賊, 菊花, 蔓荊, 防風, 荊芥, 白芷, 花粉, 甘草
瀉火退翳劑 蒙花散 蒙花, 木賊, 白蒺藜, 菊花, 桑皮, 蛻衣, 連翹, 石決, 靑葙, 地骨皮
連翹散 連翹, 黃芩, 羌活, 菊花, 白蒺藜, 草決明, 蒙花, 龍膽草, 甘草
車前子散 蒙花, 羌活, 前仁, 白蒺藜, 黃芩, 草決, 菊花, 龍膽草, 甘草
穀精草湯 穀精草, 白芍, 荊芥, 玄蔘, 牛子, 連翹, 草決, 菊花, 膽草, 桔梗, 灯芯
芩連退翳湯 黃芩, 黃連, 木賊, 女貞, 鉤藤, 蛻衣, 石決明, 白茯笭, 白蒺藜
明目退翳湯 木賊, 連翹, 蒺藜, 菊花, 靑葙, 蟬蛻, 生地, 石膏, 鬱金, 蒙花, 膽草
菊花決明散 草決, 石決, 木賊, 羌活, 防風, 菊花, 蔓荊, 川芎, 黃芩, 石膏, 甘草
扶正退翳劑 滋陰退翳制 知母, 生地, 玄蔘, 麥冬, 蒺藜, 菊花, 木賊, 蟬蛻, 靑箱子, 甘草
海藏地黃散 當歸, 生地, 熟地, 白蒺藜, 沙苑蒺藜, 穀精草, 玄蔘, 木通, 羌活, 防風, 蟬蛻, 黃連, 酒軍, 甘草
四物退翳湯 熟地, 當歸, 川芎, 白灼, 木賊, 蒺藜, 穀精草, 蒙花, 靑箱子
補血退翳方 熟地, 當歸, 川芎, 白灼, 拘杞, 蒺藜, 草決, 蕤仁, 蒙花, 蟲衣, 黃芪
補氣退翳方 黃芪, 當滲, 白朮, 當歸, 柴胡, 升麻, 陳皮, 拘杞, 蕤仁, 蟬蛻, 木賊, 穀精草, 甘草
補肝退翳方 拘杞, 菊花, 熟地, 丹皮, 棗皮, 淮山, 茯笭, 澤瀉, 蒺藜, 蕤仁, 木賊, 蟬蛻
三花五物湯 蒙花, 旋覆花, 菊花, 拘杞, 菟絲, 石決, 草決, 牛蒡子, 地膚子, 甘草
其他退翳制 退翳逍遙散 柴胡, 當歸, 白灼, 白朮, 茯笭, 生薑, 薄荷, 甘草, 蟲衣, 木賊, 蒺藜, 拘杞
黃芩白芷散 黃芩, 白芷, 精葙, 防風, 防己, 草決, 蒙花, 茺蔚子, 川芎, 赤芍, 菊花, 蒺藜, 知母, 夏枯草
消疳退雲散 陳皮, 厚朴, 蒼朮, 萊菔, 柴胡, 枳殼, 桔梗, 靑皮, 黃連, 蒙花, 梔仁, 神曲, 甘草
消毒拔翳湯 荊芥, 防風, 薄荷, 前胡, 柴胡, 桔梗, 蔓荊, 赤芍, 連翹, 知母, 牛蒡子, 黃芩, 菊花, 蒙花, 蒺藜, 木賊
望月丸 望月砂, 石決明, 防風, 白灼, 草決, 當歸, 木賊, 穀精草
加味調氣湯 白灼, 陳皮, 生地, 黃柏, 醋炒香附, 知母, 當歸, 枳殼, 茯笭, 甘草, 五味子, 炒刺猬皮
洗肝散 歸尾, 川芎, 防風, 薄荷, 生地, 紅花, 白蒺藜, 苏木, 蟲衣, 羌活, 赤芍, 甘草
五蛻散 蛇蛻, 蟬蛻, 猪蹄爪, 穿山甲, 防風, 菊花, 草決, 蚕蛻, 石決, 甘草
Download Excel Table

《祕傳眼科七十二全書·眼科最要藥性》에 의하면 靑箱子, 木賊, 蒺藜, 菊花, 穀精草, 夜明砂, 石決, 草決, 蟬退, 麥芽, 西角, 朴硝, 人蔘, 牛蒡子가 상용 본초로 제시되고 있다. 임상상 退瞖法은 抑, 蛻, 消, 浸, 收, 發, 補, 助法으로 구분하여 淸熱瀉火解毒藥으로 抑하고, 蟲衣나 蛇衣 등 蛻化藥으로 蛻하며, 當歸, 芍藥, 桃仁, 紅花 등 養血活血藥으로 消한다. 또한 生地, 玄蔘, 花粉 등 滋陰藥으로 浸하며, 각막의 천공이나 홍채 탈출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상황에서는 五味, 醋炒香附, 烏賊骨 등 澁약으로 收하며, 병정이 오래되고 實邪가 없는 상황에서 오랫동안 치료해도 효과가 없을 때 羌活이나 防風 등 辛散藥으로 發하라 했으며, 氣血이 虧虛하고 純虛無邪한 정황에서는 補肝腎하며 益氣血하는 약으로 補함을 위주로 退瞖品을 겸하라 했다. 그리고 婦女經期와 같은 내분비 기능의 실조 상황을 겸했을 때는 解鬱理血藥으로 調하되 感染瞖와 非感染瞖를 구분하여 치료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16).

Ⅲ. 고 찰

안과 분야에서 瞖膜을 형성하여 시력에 장애를 주는 질환으로는 각막의 병변과 백내장을 필두로 하는 수정체 이상, 비문증이나 후유리체 박리 같은 유리체 이상이 대표적으로, 이들 질환에 대해서 退瞖明目 작용을 하는 약재를 選用할 수 있을 것이다.

각막은 안구의 외막으로 시력을 유지하는 관문이 되며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미생물 감염으로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에 의해 각막염이 발생하면 조직이 괴사되면서 각막의 간질이 파괴되며 회복 후에도 반흔을 남기게 되는데, 급성적으로 진행하여 각막의 천공이 나타나기도 하는 엄중한 질환이다20). 감염성 각막염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 혹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데, 세균은 Staphylococcus species, Pseudomonsa species 2종이 일반적이고 진균은 Aspergillus Fusarium, Candida이다. 각막은 흑정에 해당하는데, 흑정 질병의 특징으로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발병 기회가 많으며, 일단 발병하면 근본적으로 혈관이 없는 조직이기에 영양 공급이 부족하고 저항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회복이 느리다는 특징이 있다21). 또한 風熱壅阻가 원인인 경우 자각 증상이 극렬하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邪毒이 熾盛하여 氣血이 阻滯되어 있기 때문에 目珠疼痛이나 畏光流淚 등의 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되며 흑정이 神光發越의 중요한 조직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시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질환들의 臟象的 원인은 臟腑失調로 인한 氣血不和로 그 중 肝,脾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六淫 중 風熱이 주된 발병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흑정 질병의 局部表現 중 주요한 것이 翳障으로, 이를 조기에 치료할 경우 치유도 비교적 쉽고 반흔을 남기지 않지만, 질병이 진행될 경우에는 瞖障이 潰陷深大해져 비교적 두터운 瘢痕翳障과 함께 黃仁脫出, 瞳神緊小, 瞳神乾缺, 蟹睛 등과 함께 綠風內障을 유발할 정도로 엄중한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黑睛은 肝에 배속되어 五輪상 風輪에 해당하기에 그 표리관계상 肝膽의 病機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변증에 있어서도 肝膽風熱, 肝膽實火, 肝陰不足을 거쳐 氣血虛弱에 이르는 병정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법을 강구해야할 것이다8).

圓翳內障이라 불리는 백내장은 수정체의 혼탁으로 시력이 장애되어 방치하면 실명에 이르는 질환으로, 《外台祕要》에서 이르기를 ‘돌연 瞖膜이 출현하는데 不痛不痒하며 漸漸不明하여 실명에 이른다.’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그 병인병기에 대해 ‘肝腎兩虧하여 精血不足하거나 脾虛失運하여 精氣不榮한 가운데 肝熱上擾, 陰虛夾濕熱上攻하여 本病이 발생한다.’라고 했다22).

초기에는 紅腫疼痛이 없으며 자각적으로는 視物微昏하거나 眼前에 고정되어 있는 음영이 보이기도 하며 視近尙淸, 視遠昏矇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혹은 明處時矇, 暗處時淸하거나 明處時淸, 暗處時矇하기도 하는데 진행됨에 따라 인물을 분별하지 못할 정도로 시력이 떨어지고 심지어는 光感만이 남을 정도로 악화된다23).

백내장은 한의학적으로 圓翳內障에 해당하는데, 이는 瞳神 내측에 원형의 은백색 혼탁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갈색의 혼탁이 점진적으로 심해져서 昏矇이 되는 질환이다. 張24)은 “黑點上一點圓 初患之時 但見蠅飛蟻垂 薄烟輕霧 先患一眼 次第相牽 若油點浮水中 日中看之差小 陰處看之則大 惑明惑暗 視物不明 醫者不曉 以冷藥治之 轉見黑花”라 하여 圓翳內障의 개략적인 증세를 서술하고 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肝腎俱虛를 가장 많이 거론하고 있으며 치법은 내치와 외치로 나눌 수 있는데, 내치로는 補益肝腎, 益氣補血하는 杞菊地黃湯과 補中益氣湯 등을 상용하고 있으며 외치로는 點眼, 滴眼, 洗眼, 熏眼을 응용하고 있는 바, 여러 한의학 문헌7,20,25-7)에서 백내장의 외용방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氷片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고 珍珠粉, 硼砂, 當歸, 海螵蟭, 爐甘石, 蟬退, 石決明, 赤芍藥, 菊花, 昆布도 다빈도로 사용되었으며 그 밖에 蜂蜜, 朱砂, 熊膽, 木賊, 黃柏, 生地黃, 穀精草, 薄荷, 桑葉, 黃蓮, 枳殼, 龍膽草 등이 사용되었다. 이들을 분석해 보면 대체로 明目退瞖 작용을 위주로 하는 약물과 開竅醒神, 活血通經, 淸熱하는 약물이 다수를 차지하였다28).

백내장은 일반적으로 수정체 주변부의 피질에서 쐐기 모양 혼탁으로 시작되어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면서 前房이 얇아지고, 더 진행되면 전부 혼탁과 함께 前房은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단계를 거치게 되고 과숙기가 되면 수정체의 피질 혼탁이 액화상으로 변화한다. 치료에 있어서 약물 치료는 초기에만 적합하고, 수정체의 혼탁이 심해지는 팽창기나 성숙기에는 수술적인 방법을 강구하는데 退瞖明目법을 응용하는 시기도 초기에 국한함이 적당하다고 본다.

雲霧移睛은 일종의 자각 증상이며, 외관상으로 별 이상이 없는 상태로 여타 증상도 명현하지 않은 가운데 벌레와 같은 모양이나 雲霧와 같은 형상이 움직임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29).

宋代 《聖濟總錄·眼目門》에 ‘눈에 黑花가 날아 다니는 것이 보이며 처음에는 멀리 있는 것을 못 보다가 오래되면 昏暗하는데 이를 통해 腎虛로 비롯됨을 알 수 있다.’ 라고 했으며 《銀海精微·蠅趐黑花》에서는 본병의 病因과 증상에 대해 ‘腎水衰하면 肝木虛熱하게 되고 이로 인해 膽이 肝의 침습을 받아 肝木枯焦, 膽氣不足함이 발생하여 眼中의 神水에 蠅趐(파리가 날아다님)과 같은 黑影이 生한다.’ 라고 했다. 明淸시기에 이르러 《證治準繩》, 《審視瑤函》, 《張氏醫通》 등의 의서에서도 雲霧移睛에 대한 病因과 증치에서 앞서 언급한 견해와 유사한 맥락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張氏醫通·七竅門》에서는 그 증상을 ‘蠅飛花墜’로 표현하면서 ‘靑黃黑白의 형상이 올려 보면 위에 있고 내려 보면 아래에 있다.’ 라고 했다. 또한 病機에 대해 津液이 耗澁하여 淸純之氣를 울체한 것으로 보고 黑色이 보이는 것은 膽腎의 自病으로, 白黃色이 보이는 것은 痰火로 肺脾의 청순한 기가 傷한데서 오는 것으로 보아 雲霧移睛이 허실을 겸하는 비교적 복잡한 원인이 있음을 說하였다16,29,30).

雲霧移睛은 유리체, 즉 초자체의 혼탁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장부 기능이 실조되면 精이 상승하지 못하여 유리체가 영양을 잃거나 그 내용물의 정상적인 구조를 파괴하여 蚊飛蠅動의 특징적 증후를 야기하고 멀리 보지 못하게 하며 시력 저하를 가져온다. 더 나아가 유리체가 액화되어 변성이 심해지면 망막의 박리가 병행되어 광시증(photopsia)이나 幻視 등 심각한 시력 장애가 유발된다8).

이상 瞖膜을 형성하는 3가지의 대표적인 질환을 살펴 보았는데, 이중 각막의 병변은 五輪 상 風輪에 해당하고, 시력 장애 뿐만 아니라 통증도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散風退瞖의 범주에 해당하는 악물의 응용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백내장과 같은 수정체의 병변은 일반적으로 노화에 의해 다빈도로 출현하고, 심할 경우 죽상변화에 이르기도 하는 점은 風의 전변에 의한 현상으로 인식하며, 淸熱退瞖의 범주에 해당하는 약물의 응용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문증 등을 유발하는 초자체 혼탁은 원발성의 경우 瘀斑을 없애기 위한 活血收斂退瞖의 범주에 해당하는 약물, 그리고 속발성은 滋陰退瞖나 消疳退瞖의 扶正退瞖法을 응용할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된다.

上述한 바와 같은 瞖膜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질환들은 수술을 위시한 서양의학적 처치가 한의학에 비해 치료 효율 면에서 절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이지만 병변의 조기 단계에서의 한의학적 접근이 瞖膜형성을 저지함으로써 심각한 저시력증으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본 연구를 기획하게 되었다.

문헌적 고찰은 古來문헌과 近來문헌으로 大分하였다. 古來의 안과 서적 중에서는 본 주제와 연관성 있는 내용이나 처방이 많이 기술되어 있는 《審視瑤函》13) 등의 7종을 검색하면서 각 醫家의 瞖膜 형성 기전에 대한 관점과 그 치법을 살펴보았다. 근래의 서적으로는 안과 분야의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中醫眼科全書》16) 등 4종을 살피면서 退瞖明目 본초의 개별적인 효능과 사용 빈도 및 배오 관계, 그리고 臟象을 기반으로 한 효능 발현의 근거를 주로 알아보았다.

古來의 문헌에서 특징적인 면을 살펴본 바, 가장 오래된 안과 전문 서적으로 일컬어지는 《銀海精微》9)에서는 內服 및 外用의 처방을 다양하게 소개하면서, ‘瞖膜의 색이 홍색인 경우가 백색보다 예후가 좋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眼病의 병인 및 치료 원칙에 대한 九論과 그에 따른 방제 배오를 논한 《原機啓微》10)에서는 瞖의 출현과 치법을 경락학적으로 설명하며 그에 적합한 처방을 제시하고 있다. 元代의 《明目至寶》12)에서는 五輪學說을 도입하여 瞖膜이나 昏矇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白膜遮睛을 五行의 生剋으로 해석하고 있다. 《審視瑤函》13)에서는 ‘瞖膜의 형성은 필연적으로 風熱에 의한다’라 하여 근래의 관점과 동일한 입장을 제시했고, 努肉攀睛에 대해 ‘陽蹺脈이 受邪하게 되어 內眦에 瘀肉이 발생한 후 神水奇를 침식한다’라고 하여 <奇經客邪之病>으로 인식하며 《明目至寶》에서의 五行生剋 관점을 재차 확인하고 있다. 또한 聚星障과 凝脂瞖의 원인과 치방을 제시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一草亭目科全書》14)와 《異授眼科》15)에서도 외용 위주의 退瞖法을 說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近來의 문헌적 고찰을 통해 살펴본 退瞖明目 약물은 祛風淸熱의 효능이 있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는 內外因을 막론하고 風熱에 의해 瞖障이 생기는 비율이 높음을 말하는 것으로, 장상적인 관점에서는 肝, 脾와의 연관성이 가장 밀접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散風藥들은 瞖膜이 五輪 상 風輪에 해당하는 부위에 빈발하며, 轉變이 빠르고 통증을 유발하는 風의 경향성이 각막 질환의 특징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에 응용함으로 해석된다. 한편 風은 일반적으로 轉化하여 風熱邪로 변하여 瞖膜은 두꺼워지고 통증 및 열감을 심화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散熱退瞖藥이 활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氣血이 虛하여 발생하는 瞖膜은 扶正退瞖法을 사용함도, 외과의 3대 치법인 消托補法의 활용과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사용 약물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決明子, 菊花, 穀精草, 密蒙花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白蒺藜, 蟬退, 靑箱子, 桑葉, 木賊의 빈도도 높은 편이었다(Table 2).

Table 2. Frequency of Use of Removing Nebula and Improving Vision Medicine
Herb Frequency
Chrysanthmi Flos (菊花) 12
Eriocauli Flos (穀精草) 10
Buddlejae Flos (密蒙花) 10
Cassiae Semen (決明子) 8
Astragali Complanati Semen (白蒺藜) 6
Cicadidae Periostracum (蟬退) 4
Celosiae Semen (靑箱子) 3
Mori Folium (桑葉) 3
Equiseti Herba (木賊) 3
Gentianae Scabrae Radix et Rhizoma (龍膽草) 3
Nardotidis seu Sulculii Concha (石決明) 3
Viticis Fructus (蔓荊子) 2
Forsythiae Fructus (連翹) 2
Arctii Fructus (牛蒡子) 2
Lonicerae Flos (金銀花) 2
Vespertilii Faeces (夜明砂) 2
Hordei Fructus Germinatus (麥芽) 2
Menthae Herba (薄荷) 1
Bupleuri Radix (柴胡) 1
Sepiae Endoconcha (海螵蛸) 1
Prunellae Spica (夏枯草) 1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貝母) 1
Saposhnikoviae Radix (防風) 1
Lycii Fructus (拘杞子) 1
Vignae Radiatae Semen (綠豆) 1
Sepiae Endoconcha (烏賊骨) 1
Schisandrae Fructus (五味子) 1
Paeoniae Radix (赤芍藥) 1
Broussonetiae Fructus (楮實子) 1
Isatidis Radix (板藍根) 1
Violae Herba (地丁) 1
Polygonati Rhizoma (黃精) 1
Massa Medicata Fermentata (神麯) 1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雞內金) 1
Crataegi Fructus (山査) 1
Raphani Semen (蘿葍子) 1
Smilacis Rhizoma (土茯笭) 1
Gazellae seu Saigae Cornu (羚羊角) 1
Pelodiscis Carapax (鱉甲) 1
Testudinis Chinemis Plastrum et Carapax (龜板) 1
Cuscutae Semen (免絲子) 1
Ligustri Fructus (女貞子) 1
Ecliptae Herba (旱蓮草) 1
Download Excel Table

決明子는 淸熱瀉火藥으로 淸肝明目의 효능으로 瀉肝火, 平肝陽하여 肝經風熱에 의한 目赤腫痛, 目暗不明을 치료하는데, 菊花나 靑箱子 등의 淸肝熱藥을 배오하여 風熱上攻에 의한 目赤羞明을 치료하고, 梔子나 夏枯草 등의 淸肝明目藥을 배오하여 肝腎陰虧로 인한 目暗不明을 治한다. 실험적으로는 항산화 및 지질 대사와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었고 항균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1-6).

菊花는 發散風熱藥으로 淸肝明目의 작용이 있으며 肝經風熱이나 肝火上攻으로 目赤腫通이 있을 때 桑葉, 夏枯草 등의 淸肝熱藥을 동용하고, 腎陰虛로 인한 目暗不明에 枸杞子나 熟地黃 등 杞菊地黃湯류의 補肝腎明目藥을 배오한다. 실험적으로는 항박테리아, 항진균, 항염증, HIV virus 억제, 항암 효과 등이 밝혀졌다31,37,38).

穀精草는 淸熱瀉火약으로 明目退瞖의 작용이 있으며 目赤瞖障에 응용한다. 風熱上攻으로 目赤羞明하고 瞖障이 발생할 때 荊芥穗, 菊花, 木賊을 배오하고 肝火上炎으로 目赤腫痛할 때는 決明子, 靑箱子 등 淸肝明目약을 배오한다31).

密蒙花는 淸熱瀉火藥이며 淸肝養肝, 明目退瞖의 효능으로 目赤瞖障에 응용한다. 肝火上炎의 目赤腫痛에는 菊花, 甘草, 防風 등을 배오하고 肝火鬱滯로 인한 目瞖障에는 白蒺藜, 蟬退, 川芎 등을 동용한다. 그리고 肝腎虛虧, 目昏乾澁으로 인해 瞖障이 발생한 때는 菟絲子, 肉蓗蓉, 枸杞子 등 補益肝腎藥을 동용한다. 실험적으로는 항염과 진경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1,39).

蒺藜는 平抑肝陽藥으로 平肝疎肝, 祛風明目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風熱上攻으로 目赤瞖障, 多漏多眵하거나 翳膜遮睛이 있을 때 菊花, 蔓荊子, 決明子 등과 함께 응용한다. 실험적으로는 혈압 강하 및 국소적 뇌혈류량 증가, 항치아우식과 항알레르기 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白蒺藜로부터 추출한 steroid saponins 성분의 염증 억제 효과가 보고되었다31,40-3).

蟬退는 發散風熱藥으로 退瞖明目의 효능이 있으며 風熱目赤, 目翳, 多漏에 菊花, 決明子 등과 배오한다. 본인의 실험적 연구44)에서 밝혀졌듯이 蟬退는 인간의 THP-1 단핵구에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 및 면역 반응 유발 물질에 대해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蟬退에는 다량의 chitin, 당류, 유지, 정유, 아미노산과 ethanolamine, 미량원소 24종을 함유하고 있어, 항알레르기 효과와 항암 작용, 그리고 각막 혼탁에 대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것으로 보고되었다31,45).

靑箱子는 淸熱瀉火藥으로 淸肝明目, 退瞖의 효능이 있으며 肝火上炎으로 인한 目赤腫痛이나 目翳障에 決明子, 羚羊角, 密蒙花 등과 배오한다31,43).

桑葉은 發散風熱藥으로 平肝明目, 平抑肝陽의 효능이 있으며 肝經實熱이나 風熱로 인한 目赤, 澁痛, 多淚에 菊花, 決明子, 車前子 등과 동용하고 肝陰不足으로 인한 目暗昏花에 黑芝麻와 배오한다31). 조 등46)의 연구에서 桑葉의 면역 조절 작용과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유의성을 보고하였으며, 김 등47)은 꾸지뽕 나뭇잎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에서 trysin 효소 활성 저해능이 나타남을 밝히며 항염증 활성 성분이 이 분획에 있다고 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균 작용을 보고하였다. 또한 김 등48)의 연구에서 신광뽕 오디의 경우 항염증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木賊은 發散風熱藥으로 疏散風熱, 明目退瞖, 發汗解表의 효능이 있으며 外感風熱로 인한 目赤瞖障多淚의 症이 表證을 겸하고 있으면 蟬退, 穀精草 등 疏散風熱, 淸肝明目藥을 同用하고 外障目赤, 瞖膜遮睛이 肝虛에 속할 때는 穀精草, 石決明, 豬肝 등 淸肝養肝藥을 동용한다31). 류 등49)의 실험에 의하면, 木賊을 마우스에 점안하였을 때 6주령까지는 백내장 형성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 백내장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退瞖明目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 빈도가 높은 몇가지 약물들의 효능 및 배오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淸熱瀉火작용이 있는 寒性의 약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淸肝, 즉 祛風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同用을 할 수 있는 배오 약물도 이들 다빈도 사용 약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五輪學說에 근거할 때 瞖障이 발생하는 부위가 風輪과 상호 유사성이 가장 크므로 임상에서 淸肝, 平肝, 舒肝藥을 응용함이 마땅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외 사용 약물을 살펴보면 龍膽草, 牛蒡子, 海螵礁, 夜明砂, 連翹, 金銀花, 夏枯草가 2회 이상 사용되었고 綠豆, 五味子, 枸杞子, 防風, 柴胡, 赤芍藥, 楮實子, 貝母, 板藍根, 地丁, 黃芩, 羚羊角, 土茯苓, 麥芽, 神曲, 鷄內金, 山査, 蘿葍子, 鱉甲, 旱蓮草, 龜板, 菟絲子, 女貞子도 언급되었다.

瞖障의 초기 단계를 지나면서 질병의 진행이 심화되면 그에 따른 한의학적 변증에 따라 養陰活血, 補益氣血, 收斂收澁 등 약물이 이와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瞖膜 형성의 병변이 비교적 심하지 않은 초기 단계에 약물의 기대 효능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에서 祛風淸熱 외 약물의 응용과 효용에 대한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한의학의 안과 분야는 그 학문적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현실이지만, 해외에서는 안과 질환에 대해 한약을 비롯한 생약, 그리고 침 치료 등 한의학적 치법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안과의 제반 분야 중 瞖障을 유발하여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들에 대해서는 한의학적 해법이 비교적 난해하고 그 치료 효율 또한 낮은 편이지만, 병변의 초기에 退瞖明目 약재를 내복, 외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질병의 진행을 막고 안구의 건강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古來 및 近來문헌 고찰 결과 退瞖 목적의 처방이나 약재들은 祛風淸熱 위주의 약을 중복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同用하는 약물도 退瞖 효능이 있는 다빈도 사용 약물이 중첩적으로 나타났다. 질병의 초기에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약재는 決明子, 密蒙花, 菊花, 穀精草로 조사되었는데, 이들은 發散風熱, 淸熱瀉火 작용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어 淸肝明目, 退瞖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24). 그 외에도 木賊이나 蟬退, 그리고 白蒺藜나 桑葉 등도 비교적 많이 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외용약으로 사용되는 약재들에 대해서는 현재의 약침액과 동일한 제조 공정을 거쳐 순수한 정제액을 만들어 점안약으로 응용한다면 좋은 효과를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점안은 外眼部 뿐 아니라 內眼部 질환의 치료에 응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항균 및 세척 효과를 통해 감염성 안질환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비교적 손쉽게 응용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적극적 활용도 권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Ⅳ. 결 론

눈에 瞖膜을 형성하는 대표적 질환들에 대한 한의학적 치법을 강구하고자, 退瞖明目 약물에 대한 문헌적 검토를 시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瞖膜 형성의 致病因素로는 外感六淫 중 風熱, 臟象적으로는 肝이나 脾에서 연유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退瞖明目法으로 祛風, 淸熱, 平肝의 효능이 있는 寒性 약물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2. 단일 및 처방 구성 시 사용 약물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決明子, 菊花, 穀精草, 密蒙花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경향성은 배오하는 약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3. 瞖膜을 형성하는 여러 질환들에 대해 조기에 退瞖明目 약물들을 내, 외용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안구의 건강을 유지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瞖障이 진행되어 병변이 초기 단계를 경과했을 때는 그 효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ferences

1.

Kim KW. Lectures-Chinese History of Medicine. Goyang:Daesung medical press. 2016:172-79.

2.

Li C, Cao J. Chinese Ophthalmology. 4th ed. Beijing:China p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25-6.

3.

Son SM. Eunhaejungmi. Available from: URL:https://mediclassics.kr/books/112

4.

Heo J. Donguibogam. Seoul:Bubin publishes. 2007:652-6,2005.

5.

Kim CY, Lee DJ, Seo HS, Kwon K. The Review on the Ophthalmology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Dermatolog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2):14-32. .

6.

Ahn JH, Jeong HA. The Analysis on Annual, Seasonal tendency of Outpatients in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 tology clinic of Korean Medical hospital from 2012 to 2016.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30 (2):19-37.

7.

Chang CM, Chu HT, Wei YH, Chen FP, Wang S, Wu PC, et al. The Core Pattern Analysis on Chinese Herbal Medicine for Sjogren`s syndrome: A Nationwide Population- Based Study. Sci Rep. 2015;5:9541. .

8.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Otolaryngology & Dermatology. 1st ed. Paju:Globooks. 2019:73, 117-27,161,162.

9.

Son SM. Eunhaejungmi. Available from: URL:https://mediclassics.kr/books.134-136.

10.

Ye YD. Songigyenmi. Youpaper. 2020: 72-4,142-6.

11.

Baohuangdaoren. Michuanyankelongmulun. Beijing: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3:8-12,86-95.

12.

Yang HR, Ha YG. Myungmockzibo. Beizing:Hwaha Publishing. 1998:162-212.

13.

Boo IK. Shimsiyoham. Seoul:The Institute of National Products Sciences, S.N.U. 1999: 78-93.

14.

Deung W. Yilchojeongmockwajunseo. Beijing:Hwaha Publishing. 1998:336-48.

15.

Unknown. Yishouyanke. Beijing:Hwaha Publishing. 1998:350-70.

16.

Dang Y, So K. Jungui-angwajeonseo. 1st ed. Beijing:Inminwisaeng publishing house. 1996:42-4,312-5,446-52,791-805.

17.

Yang YJ. Angwaimsangsilyongjungyak. 1st ed. Beijing:Science and Technology Literature Publishing House. 1998:211-44.

18.

Zhang SY. Bijeonanguajeonseo. Booding: Zhonguiguzi publishing. 2015:164-71.

19.

Seo WB. Zhongyiwugwankemingzhe. Beijing: Hwaha Publishing. 1998:32-370.

20.

Hahn YH, Hahn TW, Tchah HW, Choi SH, Choi KY, Kim KS, et al. Epidemiology of Infectious Keratitis(2): A Multi center Study. J Korean Ophthalmol Soc. 2001;42(2): 247-65.

21.

Kim HS, Kim HM, Seong KJ, Yoo YS. Ophthalmology. 10th ed. Seoul:Ilchokak. 2014:176-86.

22.

Zang SY. Anbyeongjaajinryo. 1st ed. Beijing:Inminwisaeng publishing house. 1991:171-6.

23.

Yang SS. Junguiimsangdaejeon. 1st ed. Beijing:Beijing science publishing house. 1991:988-9.

24.

Zang R. Zangssiuitong. 1st ed. Sanghai: Sanghai science publishing house. 1990: 402-7.

25.

Cho GS. Junguiangwa-imsangsuchaek. 1st ed. Beijing:Inminwisaeng publishing house. 1996:207-9.410-4.

26.

Jung SE. Jungyaksimbeob. 1st ed. Beijing: Beijing science publishing house. 1990: 418-21.

27.

Jin GI. Cheonggung-oechiuibangjeonghwa. 1st ed. beijing:Inminwisaeng publishing house. 1995:151-6.

28.

Kang BS. Bonchohak. 1st ed. Seoul: Yeonglimsa. 1994:121-37,142-62,167-200, 207-8,224,225,242-5,260-3,290,291,314-25,342-8,358,359,378-83,393,394,405-18,431, 432,441-4,451,452,459-64,471-4,478-97,504-6,510-24,534-44,578-97,611-4,620-37,642-9.

29.

Weol GH. Junguiangwahak. 1st ed. Beijing: Science publishing house. 2000:273,274, 791-805.

30.

Sa WG. Anjeobyeongjeonjib. 1st ed. Beijing: Chinese Medicine Ancient Publishing House. 1992:214-21.

31.

Hwang BS. Jungyakhak. 1st ed. Beijing: Inminwisaeng publishing house. 2002:55, 62,75,76,78,389,390.

32.

Shanghai oriental medical college. Jung-choyakhak. Hongkong:sangmuinseogwan. 1983:95,112,113.

33.

Seo HS. The Experimental Study on Antibiosis of Decoctions Made by Cassiae Semen, Celosiae Semen and Buddlejae Flos.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10;13 (2):75-83. .

34.

Im SH, Lee SH, Lee HS, Park MJ.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natural products which have been orientally used as ophthalmic drugs. J. Korean Oph. Opt. Soc. 2005;10(4):365-73.

35.

Ha TY, Cho IJ, Seong KS, Lee SH. Effect of Cassia tora Ethanol Extract on the Lipid Levels of Serum and Liver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FOOD & NUTR. 2001;30(6):1171-6.

36.

Lee ES, Ahn TY, Yoon JJ, Kook JK, Lee BR, Kim DK. Reatraint effect on leaf-extract from Camellia sinensis and seed-extract from Casia tora against periodonto-pathogen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3;27(4):569-79.

37.

Zheng Y, Wang XS, Fang J. Two acidic polysaccharide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morifolium. Journal of Asian Natural Products Research. 2006;8 (1):217-22. .

38.

Miyazawa M, Hisama M. Antimutagenic activity of flavonoid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03;67(1):2091-9. .

39.

Park SY, Lee KJ, Yi TH. Effect of Buddleja officinalis MAXIM, on Melanin Biosynthe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The Journal of Beauty & Trichology. 2009;5(1):1-7. .

40.

No HS, Park YK, Bae HS. Effects of Tribuli Fructus extract on inflammatory responses in IgE-stimulated RBL-2H3 mast cells. Kor. J. Herbol. 2017;32(2):107-14.

41.

Yoo YJ, Lee HS. Effects of Fructus Tribuli on the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Trad Korean Med. 1999;9(1):192-9.

42.

Kang SY, Han JH, Kim KY. Effect of Fructus Tribuli extract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pial arterial diameter. Kor J Herbol. 1998;8(1):187-200.

43.

Chou CY. Kim YB. The Effects of Tribulus terrestris on Model of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2):28-34.

44.

Kim KJ, An JH. Effects of Cryptotympana pustulata on the expression of cytokine genes in human monocytes of THP-1.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0;23(1):94-110.

45.

Lim JP. Acne-remedy Effects of Extract Mixture of Pulsatillae Radix and Cicadidae Peristracum.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0;24(4):653-60.

46.

Jo JH, Kim DH. Effects of Mori Folium on Immunologic control function. Journal of Hawhwa Medicine. 2001;9(2):123-34.

47.

Kim SL, Park GJ, Lee HJ.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1998;6(3):204-9.

48.

Kim KH, Lee JY, Kim DG. EFFECTS OF MORI FOLIUM ON THE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2004;20(1):37-45.

49.

Ryu HS, No SS. The Effect of Baek-Nae-Jang-Bang(BNJB) to control of making cataract.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1):12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