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Introduction
두드러기는 피부의 진피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부종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으로 벌레에 물린 듯 피부가 몹시 가려우며 경계가 명확하고 홍색 또는 흰색으로 부어오르는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1). 전 인구의 20%는 일생에 적어도 한 번 이상의 경험하는 비교적 흔한 피부질환이며 대한민국에서 2017년 두드러기 상병(L50) 기준 2,519,197명의 환자가 요양기관에 내원하였다2).
두드러기는 크게 특별한 원인이 없는 자발성 두드러기(Spontaneous Urticaria)와 특정 물리적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유발성 두드러기(Inducible Urticaria)로 분류되며 6주를 기준으로 유병기간이 6주 미만일 경우 급성, 6주 이상일 경우 만성으로 분류한다3).
양방에서는 주로 2세대 H1 수용체 차단 항히스타민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효과가 없을 경우 H2 수용체 차단 항히스타민제, 1세대 H1 수용체 차단 항히스타민제, 단기간 전신적 스테로이드 요법, 항류코트리엔 제제, 혹은 Omalizumab, Cyclosporine 등의 약제를 사용한다4).
한의학 문헌에서는 두드러기를 隱疹, 風疹塊 등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稟賦가 不耐하여 허약해서 음식, 약물, 정신적 요인 등의 각종 인자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거나 風邪가 腠理를 往來하여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5).
다양한 한방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증례보고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포괄적으로 고찰한 보고는 아직 없어 전반적인 한방 치료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쉽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 두드러기에 대해 국내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처방 중 사상방을 제외한 처방을 분석하여 현재 임상에서 두드러기 치료에 어떠한 처방 및 본초를 다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전반적인 경향성을 파악하여 두드러기의 일차적인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본 연구에서는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검색을 시행하였다. 논문 검색은 전통의학정보포털(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한국전통지식포털(Korean Traditional Knowledge Portal, KTKP),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 NDS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에서 1999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논문 중 두드러기, 은진, 담마진을 각각 검색하였다.
최근 20년 간(1999년~2018년) 검색된 논문을 제목과 초록에 근거하여 선별하였으며, 필요시 원문을 검토하여 연구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경구 투여하는 한약치료를 반드시 시행한 두드러기 증례 보고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경구 투여하는 한약 치료가 없고 다른 한방치료만 시행한 경우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두드러기로 발생한 증상 외의 타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투약된 보조약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사상의학은 東武 李濟馬선생이 창시한 『東醫壽世保元』을 바탕으로 하여 체질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性情의 균형을 잡아주는 방법의 치료를 시행한다.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에서 편집된 『改訂增補 四象醫學』6)에 따르면 증치의학에서는 체질을 불문하고 증상을 위주로 처방을 선택하며 치료 목표와 약물 상호간의 관계가 전체 臟腑의 개념으로 파악되는 반면에 사상방은 체질을 기초로 하고, 병증도 保命之主의 연장선에서 파악하며 체질별로 小한 臟器의 保命之主를 유지하기 위한 단일 臟腑의 개념이 강하므로 증치의학과 사상의학의 치료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약재가 체질이란 테두리 내에서 4가지 속성의 藥性으로 분류되고 약재를 체질별로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사상의학의 특징으로 인해 증치의학에서 사용한 처방과 사상의학적으로 사용한 처방을 함께 묶어 분석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사상의학을 활용하여 치료한 보고는 제외한 나머지 보고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최종 선정된 논문은 15편이다.
처방 분석 시, 하나의 논문에 하나의 처방이 여러 차례 사용된 것은 중복하여 계산하지 않았다. 30례 이상의 증례를 보고한 논문에서 저빈도로 사용된(3회 미만) 처방은 분석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복합 처방의 빈도를 계산할 때, 처방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같은 처방명인데 가미한 약재가 일부 다른 부분이 있을 경우 같은 처방명으로 계산하였다. 저자가 특정 기본방에 가미하였다고 명시한 경우에는 처방명을 기본방으로 대체하여 계산하였다. 처방에 사용된 약재 분석 시, 논문에 정확한 본초 구성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처방명이 명확하게 제시된 경우 『東醫寶鑑』7)에 기재되어 있는 기본 처방 구성으로 대체하였다.
Ⅲ. Results
논문은 1999년부터 2018년까지 총 15편으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舊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서 12편, 동의생리병리학회지에서 2편, 대한암한의학회지에서 1편이 검색되었다. 논문은 20년 동안 꾸준히 발표되었으며 2016년에 3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으며 2002년, 2003년, 2009년에서 2편씩 발표되었다. 15편의 논문 중 환자 수는 총 337명으로 2003년에 나온 논문에서 총 73명의 환자를 보고하였으며, 50례 이상을 보고한 논문이 3편, 10례 이상 보고한 논문이 4편, 4례를 보고한 논문이 1편, 1례를 보고한 논문은 7편이었다.
15편의 논문 중에서 총 23개의 처방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15편의 논문 모두 복합처방을 사용하여 경구 투여 한약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총 23개의 처방이 28번 제시되었다. 승마갈근탕8-11)이 총 4편에서 사용되었으며, 방풍통성산9,12)이 총 2편, 평위산13,14)이 총 2편에서 사용되었다. 그 외에 계지마황각반탕15), 인진호탕16), 대황황련사심탕16), 황련탕16), 대시호탕16), 갈근탕16), 치자대황시탕16), 소시호탕16), 사역산17), 형방패독산13), 정전가미이진탕18), 선방패독탕19), 향소산20), 향사평위산20), 화피산20), 양위탕20), 보중익기탕20), 용담사간탕20), 오령산21)이 각각 1편에서 사용되었으며, 처방명이 따로 없는 개인 처방22)이 1편에서 사용되었다.
총 23개 처방에서 78개의 본초가 사용되었다. 5회 이상 사용된 본초는 감초(21회), 생강(14회), 황금(9회), 백작약, 연교, 지실, 진피, 형개(각 8회), 갈근, 박하, 백출(각 7회), 금은화, 대황, 방풍, 복령, 석고, 시호, 대조(각 6회), 당귀, 반하, 산사, 승마, 치자, 향부자, 후박(각 5회)이다.
78개 본초를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에서 편저한 『本草學』23)에 수록된 대단원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淸熱藥이 1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解表藥 16종, 利水渗濕藥 9종, 補益藥 8종, 化痰止咳平喘藥, 理氣藥, 芳香化濕藥이 각각 5종, 消食藥, 活血祛瘀藥이 각각 4종, 瀉下藥, 祛風濕藥, 溫裏藥, 驅蟲藥이 각각 1종이었다(Table 1).
5회 이상 사용된 다빈도 본초 25종을 본초학 교과서에 수록된 대단원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解表藥이 7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淸熱藥, 補益藥이 각각 5종, 理氣藥이 각각 3종, 利水渗濕藥, 瀉下藥, 化痰止咳平喘藥, 消食藥, 芳香化濕藥이 각각 1종이었다.
총 8편의 논문9,12-14,17,19,21,22)에서 병행 한방치료에 대해 제시하였다. 8편 모두에서 침치료를 시행하였다. 침치료는 모두 호침을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다빈도로 제시된 혈위는 足三里(6회), 合谷(5회), 曲池, 太衝(각 4회), 血海(3회)이다.
2편12,17)에서 황련해독탕 약침 치료를 시행하였고, 1편21)에서 中脘에 간접구를 시행하였으며 1편21)에서 督脈과 足太陽膀胱經 1선을 따라 건부항 치료를 시행하였다. 1편12)에서 大椎에 자락요법을 주 3회 시행하였으며 1편22)에서 十井穴에 자락요법을 시행하였다. 기타 치료로 아이스팩 적용12), 과체 吐法17), 마스크팩22) 치료가 각각 1편씩 시행되었다.
다양한 평가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평가 방법을 크게 視診 및 問診을 통한 서술식 증상 평가, 환자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 치료 정도를 이용한 평가, 소양감 및 발적 등의 증상을 Visual Analog Scale (VAS), Numeric Rating Scale (NRS) 등을 이용하여 숫자화하여 표현한 평가, Urticaria Activity Score (UAS), CU-Q2oL (Chronic Urticaria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등의 두드러기 평가 도구를 이용한 평가로 나눌 수 있었다. 환자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 치료 정도를 우수, 양호, 유효, 변화없음, 악화 등으로 나누어 평가한 방법이 6편8,10,11,16,19,20)에서 제시되어 가장 많은 평가방법으로 사용되었고, 가려움증, 팽진, 발적 등의 증상을 점수화한 평가가 5편9,15,17,18,21), UAS를 사용한 평가가 4편11,12,17,19)에서 제시되었다(Table 2).
1st Author (year) | Size |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name and composition herbs) | Simultaneous Treatment | Evaluation Method |
---|---|---|---|---|
Kim CH (2002)13) | 1 | Pyeongwi-san (平胃散): Atractylodis Rhizoma (蒼朮), Magnoliae Cortex (厚朴),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Zizyphi Fructus (大棗) | Acupuncture | History taking |
Hyeongbangpaedocksangami-bang (荊防敗毒散加味方): Scrophulariae Radix (玄蔘), Forsythiae Fructus (連翹), Schizonepetae Spica (荊芥), Saposhnikoviae Radix (柴胡), Peucedani Radix (前胡), Osterici seu Notopterygii Radix et Rhizoma (羌活), Araliae Continentalis Radix (獨活), Platycodonis Radix (桔梗), Aurantii Fructus Immaturus (枳殼), Cnidii Rhizoma (川芎),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Poria Sclerotium (茯苓), Cicadidae Periostracum (蟬退), Menthae Herba (薄荷),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Sophorae Radix (苦蔘),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 ||||
Kim HJ (2002)20) | 36 | Hyangsosangami-bang (香蘇散加味方): Cyperi Rhizoma (香附子), Perillae Folium (紫蘇葉), Atractylodis Rhizoma (蒼朮),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Allii Fistulosi Bulbus (葱白) | Not mentioned |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
Hyangsapyeongwisangami-bang (香砂平胃散加味方): Atractylodis Rhizoma (蒼朮),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Cyperi Rhizoma (香附子),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Agastachis Herba (藿香), Magnoliae Cortex (厚朴), Amomi Fructus (砂仁), Aucklandiae Radix (木香),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 ||||
Hwapisangami-bang (樺皮散加味方): Betulae Cortex (樺皮), Aurantii Fructus Immaturus (枳殼), Armeniacae Semen (杏仁), Schizonepetae Spica (荊芥),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 ||||
Yangwitanggami-bang (養胃湯加味方): Cyperi Rhizoma (香附子), Amomi Fructus (砂仁), Aucklandiae Radix (木香),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Poria Sclerotium (茯苓), Pinelliae Tuber (半夏),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Amomi Fructus Rotundus (白荳蔲), Agastachis Herba (藿香), Magnoliae Cortex (厚朴),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Zizyphi Fructus (大棗) | ||||
Bojungikgi-tang (補中益氣湯): Astragali Radix (黃芪), Ginseng Radix (人蔘),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Cimicifugae Rhizoma (升麻), Bupleuri Radix (柴胡) | ||||
Yongdamsagan-tang (龍膽瀉肝湯): Gentianae Scabrae Radix et Rhizoma (龍膽), Bupleuri Radix (柴胡), Alismatis Rhizoma (澤瀉), Akebiae Caulis (木通), Plantaginis Semen (車前子), Poria Sclerotium(茯苓), Rehmanniae Radix (地黃),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Gardeniae Fructus (梔子), Scutellariae Radix (黃芩),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 ||||
Yoon JW (2003)8) | 73 | Seungmagalgeuntanggami-bang (升麻葛根湯加味方): Puerariae Radix (葛根), Paeoniae Radix (白芍藥), Cimicifugae Rhizoma (升麻),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Allii Fistulosi Bulbus (葱白), Arctii Fructus (牛蒡子), Schizonepetae Spica (荊芥), Saposhnikoviae Radix (防風), Scutellariae Radix (黃芩), Forsythiae Fructus (連翹), Gypsum Fibrosum (石膏), Menthae Herba (薄荷) | Not mentioned |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
Yoon JC (2003)9) | 4 | Bangpoongtongsungsangami-bang (防風通聖散加味方): Talcum (滑石),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Platycodonis Radix (桔梗),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Crataegi Fructus (山査), Gypsum Fibrosum (石膏), Forsythiae Fructus (連翹), Saposhnikoviae Radix (防風), Paeoniae Radix (赤芍藥), Cnidii Rhizoma (川芎), Schizonepetae Spica (荊芥), Scutellariae Radix (黃芩), Menthae Herba (薄荷), Gardeniae Fructus (梔子),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Lonicerae Flos (金銀花), Betulae Cortex (樺皮), Cicadidae Periostracum (蟬退) | Acupuncture | Scoring of itching, wheals |
Seunggaltanggami-bang (升葛湯加味方): Lonicerae Flos (金銀花), Puerariae Radix (葛根),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Raphani Semen (萊菔子), Menthae Herba (薄荷), Paeoniae Radix (白芍藥), Crataegi Fructus (山査), Cimicifugae Rhizoma (升麻), Forsythiae Fructus (連翹), Arnebiae Radix (紫草), Phyllostachyos Caulis in Taeniam (竹茹),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Scrophulariae Radix (玄蔘), Betulae Cortex (樺皮), Scutellariae Radix (黃芩), Magnoliae Cortex (厚朴), Hedyotidis Herba (白花蛇舌草), Scutellariae Barbatae Herba (半枝蓮) | ||||
Yoon SW (2004)10) | 62 | Seungmagalgeuntanggami-bang (升麻葛根湯加味方): Puerariae Radix (葛根), Cimicifugae Rhizoma (升麻), Paeoniae Radix (芍藥),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Allii Fistulosi Bulbus (葱白), Arctii Fructus (牛蒡子), Schizonepetae Spica (荊芥), Saposhnikoviae Radix (防風), Scutellariae Radix (黃芩), Forsythiae Fructus (連翹), Gypsum Fibrosum (石膏), Menthae Herba (薄荷) | Not mentioned |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DLQI |
Jerng UM (2007)21) | 1 | Oryung-san (五苓散): Poria Sclerotium (茯苓), Polyporus (猪苓),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Alismatis Rhizoma (澤瀉), Cinnamomi Ramulus (桂枝) | Acupuncture Cupping Moxibustion | Scoring of itching, wheals |
Choi BT (2008)22) | 1 | Jeongjeongamiijintanggami-bang (正傳加味二陳湯加味方): Pinelliae Tuber (半夏), Poria Sclerotium (茯苓),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Crataegi Fructus (山査), Cyperi Rhizoma (香附子), Cnidii Rhizoma (川芎),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Massa Medicata Fermentata (神麯), Hordei Fructus Germinatus (麥芽), Zizyphi Fructus (大棗), Lonicerae Flos (金銀花),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 Not mentioned | Scoring of itching, wheals |
Kim KS (2009)15) | 1 | Gyemagakbantanggami-bang (桂麻各半湯加味方): Cinnamomi Ramulus (桂枝), Ephedrae Herba (麻黃), Armeniacae Semen (杏仁),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Paeoniae Radix (白芍藥),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Zizyphi Fructus (大棗), Gypsum Fibrosum (石膏), Rehmanniae Radix (地黃) | Not mentioned | Scoring of itching |
Tark MR (2009)16) | 39 | YinJinho-tang (茵蔯蒿湯):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Artemisiae Capillaris Herba (茵蔯蒿), Gardeniae Fructus (梔子) | Not mentioned |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
Daehwanghwangryunsasim-tang (大黃黃連瀉心湯):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Coptidis Rhizoma (黃連) | ||||
Hwangryun-tang (黃連湯): Coptidis Rhizoma (黃連), Ginseng Radix (人蔘), Pinelliae Tuber (半夏), Cinnamomi Ramulus (桂枝), Zingiberis Rhizoma (乾薑),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 ||||
Daesiho-tang (大柴胡湯): Bupleuri Radix (柴胡), Paeoniae Radix (芍藥), Scutellariae Radix (黃芩),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Pinelliae Tuber (半夏) | ||||
Galgeun-tang (葛根湯): Puerariae Radix (葛根), Ephedrae Herba (麻黃), Paeoniae Radix (芍藥), Cinnamomi Ramulus (桂枝),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Zizyphi Fructus (大棗) | ||||
Tark MR (2009)16) | 39 | Chijadaehwangsi-tang (梔子大黃豉湯): Gardeniae Fructus (梔子),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Glycine Semen Preparata (香豉) | Not mentioned |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
Sosiho-tang (小柴胡湯): Bupleuri Radix (柴胡), Scutellariae Radix (黃芩), Ginseng Radix (人蔘),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Zizyphi Fructus (大棗), Pinelliae Tuber (半夏) | ||||
Kim JH (2011)22) | 1 | Vignae Angularis Semen (赤小豆), Gypsum Fibrosum (石膏), Talcum (滑石), Coicis Semen (薏苡仁), Poria Sclerotium (茯苓), Alismatis Rhizoma (澤瀉),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Ephedrae Herba (麻黃),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Schizonepetae Spica (荊芥), Persicae Semen (桃仁), Carthami Flos (紅花) | Acupuncture Bleeding Mask Pack | History taking (Itching, Burning sensation, Pain)Photograph |
Hong EG (2013)11) | 19 | Gamiseungmagalgeun-tang (加味升麻葛根湯): Crataegi Fructus (山査), Puerariae Radix (葛根), Paeoniae Radix (芍藥), Cimicifugae Rhizoma (升麻),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Scrophulariae Radix (玄蔘), Arctii Fructus (牛蒡子), Lonicerae Flos (金銀花) | Not mentioned | UAS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
Lee JH (2016)14) | 67 | Pyeongwisangagam-bang (平胃散加減方): Atractylodis Rhizoma (蒼朮), Cyperi Rhizoma (香附子), Puerariae Radix (葛根), Crataegi Fructus (山査), Arecae Semen (檳榔), Forsythiae Fructus (連翹), Schizonepetae Spica (荊芥), Allii Fistulosi Bulbus (蔥白), Citri Unshius Pericarpium (陳皮), Magnoliae Cortex (厚朴), Aurantii Fructus Immaturus (枳殼), Raphani Semen (蘿葍子), Perillae Folium (紫蘇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Menthae Herba (薄荷), Massa Medicata Fermentata (神麯), Hordei Fructus Germinatus (麥芽),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Scutellariae Radix (黃芩) | Acupuncture | Symptom Recurrence after 1-2 year |
Kim HH (2016)12) | 1 | Gagamtongcheong-san (加減通淸散): Lonicerae Flos (金銀花), Puerariae Radix (葛根), Talcum (滑石),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Zingiberis Rhizoma Recens (生薑), Cicadidae Periostracum (蟬退), Platycodonis Radix (桔梗),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Saposhnikoviae Radix (防風), Paeoniae Radix (白芍藥), Gypsum Fibrosum (石膏), Forsythiae Fructus (連翹), Cnidii Rhizoma (川芎), Schizonepetae Spica (荊芥), Scutellariae Radix (黃芩), Rhei Radix et Rhizoma (大黃), Ephedrae Herba (麻黃), Menthae Herba (薄荷),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Gardeniae Fructus (梔子) | Acupuncture Pharmaco–acupuncture Bleeding Therapy Ice Pack | UAS CU-Q2OL Photography DITI |
Lee AR (2016)19) | 30 | Gagamsunbangpaedok-tang (加減仙方敗毒湯): Lonicerae Flos (金銀花), Scrophulariae Radix (玄蔘), Saposhnikoviae Radix (防風), Dictamni Radicis Cortex (白鮮皮), Belamcandae Rhizoma (射干), Xanthii Fructus (蒼耳子), Rhapontici Radix (漏蘆), Salviae Miltiorrhizae Radix (丹蔘), Forsythiae Fructus (連翹), Polygonati Rhizoma (黃精) | Acupuncture | UAS Subjective symptoms satisfaction |
Lee SH (2017)17) | 1 | Sayeoksangagam-bang (四逆散加減方): Ponciri Fructus Immaturus (枳實),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甘草), Bu pleuri Radix (柴胡) | Acupuncture Pharmaco-acupuncture Vomiting Therapy using Melonis Calyx(瓜蒂) | UAS Scoring of redness, insomnia CU-Q2oL Photography |
Ⅳ. Discussion
두드러기는 피부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장 성분이 일시적으로 조직 내 축적되어 생기는 팽진과 발적, 가려움증이 특징적인 피부질환으로 때때고 혈관 부종이 동반되기도 한다24). 보통 임상적으로 진단하며 타 질환 감별을 위해 간단한 혈액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25).
두드러기의 치료 목표는 첫째, 원인 혹은 유발, 자극원의 제거 및 회피, 둘째로 비만 세포에서의 매개체 분비 감소 혹은 매개체의 목표 장기에서의 작용 저해, 셋째로 내성의 증가로 볼 수 있으며 양방에서 사용하는 약제로는 2세대 H1 항히스타민제, Omalizumab, Cyclosporin A, Montelukast, systemic corti- costeroid 등이 있다26).
두드러기에 이환된 환자들은 팽진, 가려움증 등의 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감을 호소하며, 만성 두드러기로 인해 3차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삶의 질은 중증의 허혈성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의 삶의 질과 비슷할 정도로 떨어져 있다는 연구 결과27)가 있을 정도로 삶의 질이 저하되어 있으며, 양방의료기관에서 치료가 되지 않아 한방의료기관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많다8,10).
두드러기를 역대 한의서에서는 隱疹, 風瘙隱疹, 風㾦瘤, 風丹, 風疹塊로 표현하고 있으며, 『黃帝內經』에서 최초로 은진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고전 문헌 및 근래에 보고되는 한의학 문헌에서의 두드러기 치료는 外感으로 인한 것은 祛風, 散寒, 淸熱, 利濕 위주로 시행하며 內傷으로 인한 것은 健脾, 活血, 祛風 위주로 시행하는데 주로 祛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한다8).
현재 두드러기에 대한 한방 치료에 관한 지속적인 여러 증례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두드러기의 침치료 임상 연구 동향에 대한 보고28)도 있으나 한약 치료의 국내 임상 연구 동향에 대한 논문은 없어 전반적인 한약 치료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쉽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 두드러기 환자에 한약 치료를 시행한 국내 임상 연구 15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의학적으로 환자를 두드러기를 치료한 논문은 배제하였다. 사상의학은 체질보다는 현재 나타나는 증상을 기반으로 처방을 선택하는 기존의 證治醫學과는 다르게 『東醫壽世保元』을 바탕으로 체질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正氣 (保命之主)를 중심으로 처방을 선택한다. 또한 체질은 변하지 않으며 체질별로 약재를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6,29). 따라서 현재 나타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증치의학적인 처방과 臟腑의 偏大偏小로 인한 것을 조절하는 사상의학적인 처방을 함께 분석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어 사상방을 사용한 연구는 본 연구의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15편의 논문에서 총 23개의 처방이 28번 제시되었다. 기본방을 기준으로 하여 승마갈근탕8-11)이 총 4회 제시되었으며, 방풍통성산9,12)이 총 2회, 평위산13,14)이 총 2회 제시되었으며 그 외 20개의 처방들이 각각 1회씩 제시되었다.
승마갈근탕은 갈근, 승마, 작약, 감초, 생강, 총백으로 구성된 처방으로 痲疹초기에 解肌透疹의 효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30). 승마갈근탕과 관련하여 항알레르기 효과31,32), 항히스타민 효과33), 항염증효과34)가 실험적으로 보고된 바 있다. 윤 등8)은 승마갈근탕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근거함과 동시에 外因(風熱)을 제거하고 내부 장기 부조화로 인한 허약(血虛生風)을 조절하여 기혈 상태와 순환을 개선하고 피부에 적절한 영양을 공급할 목적으로 본 방을 투약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윤 등10)의 보고에서는 승마갈근탕이 外感, 內傷을 불문하고 風熱의 증상을 낀 급성 발작 단계에서 통치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윤 등9)의 보고에서는 본 처방을 風熱型이지만 熱象이 심하지 않은 환자에게 투약하였더니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하였다. 홍 등11)은 風熱型 환자에게 승마갈근탕을 사용할 시에 외부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表部 衛氣 기능을 조절하고 解毒, 散風熱 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승마갈근탕은 제Ⅰ형 과민반응의 한 종류인 두드러기를 항알레르기 작용을 통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특히 風熱의 증상을 낀 단계에서 통치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종합해볼 수 있다. 단 4편의 보고 모두 승마갈근탕 원방에 항염증, 항히스타민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약재를 추가로 가미하여 사용하였다.
방풍통성산은 방풍, 형개, 연교, 마황, 박하, 천궁, 당귀, 백작약, 백출, 치자, 대황, 망초, 석고, 황금, 길경, 감초, 활석, 생강으로 구성된 처방으로 解表, 淸熱, 瀉下시키는 약물로 구성되어 있어 消風解表 瀉熱通便하는 처방이다30). 방풍통성산은 실험적으로 항염, 항히스타민, 항알레르기 효과35-37)가 보고된 바 있다. 윤 등9)의 보고에서는 風熱의 증상에 熱象이 심한 것으로 판단되어 表裏와 三焦가 모두 實할 때 雙解하는 목표로 방풍통성산을 사용하여 8일 만에 현저한 효과를 거두었다고 하였다. 김 등12)은 붉고 크게 솟아오르는 팽진, DITI 상 체표 열이 높게 나온 것을 통해 환자를 풍열증으로 진단하고 방풍통성산의 변방인 가감통청산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三焦風熱濕으로 피부에 소양, 발적이 있거나 삼출이 있을 때 사용하는 처방으로 알레르기 피부염38)과 아토피 피부염39)에 사용하여 유효한 효과를 거둔 치험례가 있어 선방하였다고 한다. 이를 토대로, 방풍통성산은 실험적으로 항염, 항히스타민,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어 두드러기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팽진이 붉고 크게 나타나는 熱象이 보일 때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평위산은 총 2회 제시되었는데, 창출, 후박, 진피, 감초로 구성된 처방으로 食積에 주로 사용하는 처방이다30). 김 등13)의 보고에서는 환자의 두드러기 원인을 육식과 생선류를 잘못 먹어서 발생한 食積으로 보아 초기에 평위산 기본방 그대로 처방하였으며 이 등14)의 보고에서는 중완에서 압통이 나타나거나 복직구련, 심하압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食積이 있는 것으로 보고 평위산에 향부자, 산사, 빈랑, 지각, 나복자, 신곡, 맥아 등의 行氣消導之劑와 갈근, 연교, 형개, 총백, 자소엽, 박하, 황금 등의 發散藥을 가미하여 투약 후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한다. 이에 평위산은 두드러기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食積 등의 위장관의 문제가 있을 때 기본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23개의 처방을 구성하는 본초는 총 78종이었으며 5회 이상 제시된 다빈도 본초는 감초(21회), 생강(14회), 황금(9회), 백작약, 연교, 지실, 진피, 형개(각 8회), 갈근, 박하, 백출(각 7회), 금은화, 대황, 방풍, 복령, 석고, 시호, 대조(각 6회), 당귀, 반하, 산사, 승마, 치자, 향부자, 후박(각 5회)이다. 감초와 생강, 대조는 調和諸藥의 의미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므로 사실상 황금이 제일 많은 빈도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황금은 淸熱燥濕藥에 해당하는 약재로 淸熱燥濕, 瀉火解毒의 효능을 가져 瘡癰, 肌表의 熱을 치료한다23). 한 연구40)에 따르면 황금의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히스타민 효과를 보고한 논문이 66편으로 다수 있었으며 황금 관련 연구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한다. 따라서 두드러기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교, 지실, 진피, 형개 또한 실험적으로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41-44) 두드러기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 신체적 피로감, 정서적 스트레스 등으로 증상이 유발 혹은 악화될 수 있는데 백작약은 養血柔肝 緩中止痛하며 실험적으로 항산화45), 항염, 항경련, 중추신경계 진정효과46)가 밝혀져 있어 두드러기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볼 수 있다.
78종 약재 중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편저 『本草學』23)의 대분류 상 淸熱藥이 18종으로 가장 많았고, 解表藥이 16종, 利水渗濕藥이 9종, 補益藥 8종, 化痰止咳平喘藥, 理氣藥, 芳香化濕藥이 각각 5종, 나머지 분류는 4종 미만이었다. 소분류 상으로는 發散風寒藥이 9종, 發散風熱藥과 淸熱解毒藥이 각각 7종, 淸熱燥濕藥, 芳香化濕藥, 利水退腫藥, 理氣藥, 補氣藥이 각각 5종이었다. 5회 이상 제시된 다빈도 약재에서는 解表藥이 7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淸熱藥, 補益藥이 각각 5종, 이외에 理氣藥, 利水渗濕藥, 瀉下藥, 化痰止咳平喘藥, 消食藥, 芳香化濕藥이 있었다. 두드러기 환자를 분석한 여러 보고8,10)에서 風熱型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淸熱藥과 解表藥이 많이 쓰인 것으로 보아 비슷한 경향을 따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빈도 처방에 가미된 약재도 淸熱藥과 解表藥 분류에 속하는 약재가 많은 것 또한 같은 결과라 볼 수 있다. 利水渗濕藥이 전체 약재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을 보였는데, 이는 두드러기 자체가 피부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장 성분이 일시적으로 조직 내 축적되어 팽진과 발적이 생기므로 이를 수액대사의 문제로 보아 조절해주기 위해 사용된 것이라 볼 수 있다. 補益藥의 경우, 調和諸藥하는 감초와 대조가 補氣藥의 분류에 속하여 조금 높은 비율을 차지한 면도 있고, 두드러기의 치료 약물 중 實證에 사용되는 약물들이 많아 이를 보완하기 위해 佐使藥으로 많이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47).
15편의 논문 중 8편의 논문9,12-14,17,19,21,22)에서 한약 치료 외에 병행한 한방치료에 대해 제시하였다. 가장 많이 병행된 치료는 침치료로 8편 모두에서 사용되었다. 다빈도로 사용된 혈위는 足三里(6회), 合谷(5회), 曲池, 太衝(각 4회), 血海(3회)이다. 한 등의 연구28)에 따르면 두드러기의 침치료에 曲池, 血海(각 6회), 足三里(5회), 三陰交, 大椎(4회)가 다빈도로 사용되었는데 본 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다른 병행 치료로는 약침12,17)이 2회 제시되었고, 복부 간접구21), 背部 건부항21), 大椎穴 자락요법12), 十井穴 자락요법22), 아이스팩 적용12), 과체 吐法17), 마스크팩 치료22)가 각각 1회씩 제시되었다. 한약 치료 외에도 두드러기의 임상 증상 개선을 위해 다양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드러기에 대한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크게 視診 및 問診을 통한 서술식 증상 평가, 소양감 및 발적 등의 증상을 VAS 또는 NRS 등을 활용하여 숫자화한 평가, 환자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치료 정도를 이용한 평가, 두드러기 평가 도구(UAS, CU-Q2oL)를 이용한 평가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중 환자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 치료 정도를 우수, 양호, 유효, 변화없음, 악화 등으로 나누어 평가한 방법이 6편8,10,11,16,19,20)에서 제시되어 가장 많은 평가방법으로 사용되었다. 가려움증, 팽진, 발적 등의 증상을 숫자화한 평가가 5편9,15,17,18,21)에서 사용되었으며, UAS를 사용한 평가가 4편11,12,17,19)에서 사용되었다. EAACI/GA2LEN/EDF/WAO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26)에서는 두드러기의 증상을 UAS로 평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두드러기와 관련된 삶의 질 평가로는 CU-Q2oL을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비교적 최근인 2013년 이후에 출판된 논문에서는 1-2년 뒤 두드러기 재발률을 평가한 논문14) 외에 모두 UAS를 평가도구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2016년 이후 출판된 2편의 논문12,17)에서 2010년 번역된 CU-Q2oL 한국어판 설문을 이용하여 두드러기와 관련된 삶의 질 평가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보고될 두드러기 증례들은 UAS 혹은 UAS7, CU-Q2oL 등을 활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상으로 최근 20년간 두드러기 치료에 한약 치료를 위주로 시행한 국내 증례 보고를 정리하였다. 사용된 복합처방 및 개별 본초의 경향성, 병행된 타 한방치료, 두드러기 증상 평가에 사용된 평가 도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임상에서 다용되는 사상의학 처방을 배제하였다. 두 번째로 정확하게 처방 구성을 제시하지 않은 일부 증례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과거 연구 윤리에서 처방 구성 내역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강조되지 않아 과거에 쓰인 논문 일부에서 처방 구성을 명확히 알 수 없었고, 기본 처방만 제시된 경우가 있었다. 이를 분석에 포함한 것은 한계점이 될 수 있지만, 실제 사용된 처방의 기본이 되는 기본처방을 분석에 포함하여 방향성을 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두드러기에 대한 한약 치료 증례 보고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증례를 모두 배제하면 증례 수가 너무 적어 경향성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최대한 많은 논문을 포함시키고자 분석에 포함하였다.
앞으로 근거에 기반한 두드러기 치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많은 추가적인 임상연구가 필요하며, 무작위 대조군 연구 등의 근거 수준이 높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가 두드러기 치료의 일차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참고가 되기를 희망하며 추후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Ⅴ. Conclusion
최근 20년간 두드러기 한약 치료 증례에 관련된 논문을 국내데이터베이스(OASIS, KTKP, NDSL, RISS)에서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근 20년간 사상처방을 제외한 한약 치료를 시행한 논문은 15편으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에서 12편, 동의생리병리학회지에서 2편, 대한암한의학회지에서 1편이 검색되었으며 환자 수는 총 337명이었다.
2. 23개의 처방이 총 28번 제시되었으며 기본방을 기준으로 승마갈근탕이 4회, 방풍통성산이 2회, 평위산이 2회 제시되었다. 승마갈근탕은 항알레르기, 항히스타민, 항염증 효과가 실험적으로 밝혀져 있으며 風熱證이 있는 두드러기 환자에게 통치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방풍통성산 역시 항염증, 항히스타민, 항알레르기 효과가 밝혀져 있으며 팽진이 붉고 크게 나타나는 열상 두드러기에 사용할 수 있다. 평위산은 中脘部 압통, 복직 구련 등의 식적, 위장관 증상이 동반된 두드러기에 기본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23개의 처방 중 78종의 약재가 사용되었으며 본초학 교과서의 분류에 따르면 淸熱藥, 解表藥, 利水渗濕藥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감초, 생강, 황금, 백작약, 연교, 지실, 진피, 형개가 8회 이상 사용되었다.
4. 15편의 논문 중 8편에서 병행 한방치료를 제시하였으며 8편에서 침치료, 2편에서 약침치료를 시행하였고 건부항, 자락요법, 아이스팩 적용, 과체 토법, 마스크팩 적용 등의 병행치료가 시행되었다. 침치료 다빈도 혈위는 足三里, 合谷, 曲池, 太衝, 血海였다.
5. 평가 방법으로는 환자 본인이 느끼는 주관적 치료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고 증상을 점수화 한 평가, UAS를 활용한 평가가 주로 시행되었으며 최근 논문일수록 UAS 및 CU-Q2oL을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