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 Article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 탐구 - 常用 本草를 중심으로

이성은1, 윤화정1,*, 고우신1
Sung-Eun Lee1, Hwa-Jung Yoon1,*, Wo-Shin Ko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1Department of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Clinical Korean Medicine, Dong-eu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Hwa-Jung Yoon,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ermatology, Dong-eui University, San 45-1, Yangjeong-2dong, Busanjin-gu, Busan, 614-710, Korea.(Tel: 051-850-8658, E-mail: yhj1226@deu.ac.kr)

ⓒ Copyright 2018,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4, 2018 ; Revised: Apr 30, 2018 ; Accepted: May 7, 2018

Published Online: May 30, 2018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upoints for atopic dermatitis which have similar impact with frequent herbs.

Methods : We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in“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published from Feburary, 2000 to September, 2017. The search terms are‘atopic Dermatitis’, ‘antiallergic’, ‘anti-inflammatory’, ‘antianaphylaxis’, ‘dermatitis’ and we elected experimental researches about herbal medicine. Among the herbal medicine, we extracted frequent herbs using more than 5 times, and categorized through 『Herbal Medicine』. By Consulting 『Principles of Meridians & Acupoints;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we matched frequent herbs and acupoints.

Results : 1. There are 38 frequent herbs for study except Glycyrrhiza uralensis FISCH. because it was used for balance in herbal medicine. Arrange meridians in order of frequency, the most is ‘Lung meridian’. Among the organs, the most related one with skin is ‘Lung’ and ‘Lung meridian’ can treat skin diseases.

2.We researched acupoints called ‘specific acupoints’ under elbow, knee because of clinical usage. Exceptively, SP6 and GV20 are not included in ‘specific acupoints’ but they can be effective for atopic dermatitis treatment.

3.Researching on MEDLINE about frequent herbs and acupoints, there are many studies that acupuncture is effective for reducing pruritus. Therefore, the acupoints which were mentioned in this study can be choosed for atopic dermatitis.

Conclusions : We found several applicable acupoints for Atopic Dermatitis. We hope it will be useful in experiment such as randomized controllized trial on Atopic Dermatitis and acupuncture and futhermore in clinic.

Keywords: atopic dermatitis; acupuncture; korean medicine; acupoint; herbal medicine

Ⅰ. 緖 論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약 90%가 5세 이내에 시작되는 만성 재발성 피부염으로, 그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대개 면역성 질환으로 간주된다1).

현대의학에서는 부신피질호르몬 제제,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인터페론(Interferon),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 다양한 치료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못하고, 피부 위축, 성장지연 가능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있다2).

아토피 피부염의 높은 유병률 및 현대의학의 한계로 인해 한방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방 치료에 대한 표준화 및 과학적 근거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때 권장되는 임상연구는 엄격한 원칙을 적용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하 RCT)이다. 그러나 침술과 관련된 아토피 피부염의 RCT 연구는 수가 적고 질적 수준이 낮게 평가되고 있다3). 그러므로 침치료에 관한 아토피 피부염의 RCT 연구에서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혈위선정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편 『韓醫皮膚外科學·濕瘡(濕疹)·奶癬』4)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韓藥 처방을 辨證에 따라 상세하게 분류한 반면, 鍼灸 처방은 辨證 구분 없이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이 외에도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또는 辨證에 따라 상세하게 鍼法을 제시한 문헌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저자는 鍼灸 치료에서도 환자가 호소하는 주된 증상에 의거하여 다양한 처방을 구상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아토피 피부염에 상용하는 本草와 유사한 효능을 가진 穴位를 탐구한 결과, 유의미한 지견을 얻었기 때문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硏究對象 및 方法

1. 硏究對象

大韓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에서 발간한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를 위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연구 대상을 추출하였다.

1) 기간은 2000년 2월에서 2017년 9월까지로 제한하였다.

2) ‘아토피 피부염’, ‘항알러지’,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아나필락시스’, ‘피부염’이 제목 또는 초록에 포함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3)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모든 피부염에 대하여, 한약 처방의 효능을 연구한 실험 논문을 선출하였다. 이 때, 한약 처방은 2개 이상의 本草로 구성되어야 하며, 증례 보고(Case report)는 제외하였다.

4) 처방에 포함된 本草를 나열하여 빈도순으로 정리하였다.

2. 硏究方法

1)『本草學』5)목차에 따라 연구 대상인 本草를 분류하였다.

2)『大學經絡經穴學各論』6)을 참고하여 本草의 歸經, 效能, 主治와 각 經穴의 經絡, 穴性, 主治를 알맞게 配伍하였다.

Ⅲ.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 常用 本草

연구대상 선별기준에 의거하여 총 62편의 실험 논문이 검색되었고, 61개의 韓藥 처방을 사용하였다. 검색 결과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검색어를 3가지 Group으로 분류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을 Group 1, ‘항알러지’,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아나필락시스’를 Group 2, ‘피부염’을 Group 3로 정하여 검색된 논문과 사용된 처방을 정리하였다(Appendix 1-3).

처방 구성에서 중복 사항을 제외하고 총 70개의 本草가 사용되었다. 그 중, 각 Group 모두에 공통으로 사용된 本草는 42개로 나타났으며, 이름과 빈도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Commonly Used Herbs in Group 1, 2, 3 and Frequency
Herbs Group 1 Group 2 Group 3 Total
1. Glycyrrhizae Radix (甘草) 11 10 14 35
2. Scutellariae Radix (黃芩) 10 8 8 26
3. Phellodendri Cortex (黃柏) 3 3 2 8
4. Lonicera Flos (金銀花) 3 4 5 12
5. Rehmanniae Radix (生地黃) 6 4 5 15
6. Rhei Rhizoma (大黃) 5 4 3 12
7. Forsythiae Fructus (連翹) 4 3 7 14
8. Trichosanthis Radix (天花粉) 3 3 2 8
9. Schizonepetae Spica (荊芥) 7 2 6 15
10. Sophorae Radix (苦蔘) 2 2 3 7
11. Saposhnikoviae Radix (防風) 8 6 8 22
12. Cicandidae Periostracum (蟬退) 4 2 2 8
13. Coptidis Rhizoma (黃連) 1 5 5 11
14. Gypsum (石膏) 2 1 2 5
15. Puerariae Radix (葛根) 1 3 3 7
16. Menthae Herba (薄荷) 4 1 6 11
17.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10 7 5 22
18. Citri Percarpium (陳皮) 5 2 5 12
19.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4 4 4 12
20. Platycodi Radix (桔梗) 4 2 4 10
21.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4 2 2 8
22. Atractylodis Rhizoma (蒼朮) 4 1 2 7
23. Ginseng Radix (人蔘) 5 2 3 10
24. Cnidii Rhizoma (川芎) 6 2 5 13
25. Astragali Radix (黃芪) 3 5 4 12
26. Angelicae Dahuricae Radix (白芷) 4 3 5 12
27. Cinnamomi Ramulus (桂枝) 2 2 3 7
28. Gardeniae Fructus (梔子) 3 4 6 13
29. Bupleuri Radix (柴胡) 3 1 3 7
30. Cimicifugae Rhizoma (升麻) 2 2 4 8
31. Paeoniae Radix Rubra (赤芍藥) 3 3 4 10
32. Osterici Radix (羌活) 1 1 1 3
33. Aurantii Immaturus Fructus (枳殼) 1 1 3 5
34. Scrophulariae Radix (玄蔘) 1 1 1 3
35. Zingiberis Rhizoma Crudus (生薑) 3 1 2 6
36. Anemarrhenae Rhizoma (知母) 1 2 3 6
37. Arctii Fructus Semen (牛蒡子) 3 3 1 7
38. Akebiae Caulis (木通) 1 3 1 5
39. Magnoliae Cortex (厚朴) 3 1 2 6
40. Hoelen (赤茯苓) 2 1 2 5
41. Sesamum indicum (胡麻) 2 1 1 4
42. Gleditsia japonica (皁角子) 1 2 1 4
Download Excel Table

본 논문에서 ‘常用 本草‘는 위의 42개의 本草 중 5회 이상의 빈도로 나타나는 本草로 정의하였고, 38개의 本草가 常用 本草로 설정되었다. 常用 本草를 『本草學』5)의 분류 방식에 준하여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다.

Table 2. Frequent Herbs and Category based on Herbology Classification
Herbs Frequency Category
1. Glycyrrhizae Radix (甘草) 35 Restorative (補氣)
2. Scutellariae Radix (黃芩) 26 Refrigerant (淸熱燥濕)
3. Phellodendri Cortex (黃柏) 8 Refrigerant (淸熱燥濕)
4. Lonicera Flos (金銀花) 12 Refrigerant (淸熱解毒)
5. Rehmanniae Radix (生地黃) 15 Refrigerant (淸熱凉血)
6. Rhei Rhizoma (大黃) 12 Cathartic (攻下)
7. Forsythiae Fructus (連翹) 14 Refrigerant (淸熱解毒)
8. Trichosanthis Radix (天花粉) 8 Refrigerant (淸熱凉血)
9. Schizonepetae Spica (荊芥) 15 Evaporate (發散風寒)
10. Sophorae Radix (苦蔘) 7 Refrigerant (淸熱燥濕)
11. Saposhnikoviae Radix (防風) 22 Evaporate (發散風寒)
12. Cicandidae Periostracum (蟬退) 8 Evaporate (發散風熱)
13. Coptidis Rhizoma (黃連) 11 Refrigerant (淸熱燥濕)
14. Gypsum (石膏) 5 Refrigerant (淸熱凉血)
15. Puerariae Radix (葛根) 7 Evaporate (發散風熱)
16. Menthae Herba (薄荷) 11 Evaporate (發散風熱)
17. Angelicae Gigantis Radix (當歸) 22 Restorative (補血)
18. Citri Percarpium (陳皮) 12 Circulatie energy (理氣)
19.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12 Restorative (補血)
20. Platycodi Radix (桔梗) 10 Apophlegmatic (淸火熱痰)
21.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8 Restorative (補氣)
22. Atractylodis Rhizoma (蒼朮) 7 Dehumidification (芳香化濕)
23. Ginseng Radix (人蔘) 10 Restorative (補氣)
24. Cnidii Rhizoma (川芎) 13 De-extravasation (活血祛瘀)
25. Astragali Radix (黃芪) 12 Restorative (補氣)
26. Angelicae Dahuricae Radix (白芷) 12 Evaporate (發散風寒)
27. Cinnamomi Ramulus (桂枝) 7 Evaporate (發散風寒)
28. Gardeniae Fructus (梔子) 13 Refrigerant (淸熱凉血)
29. Bupleuri Radix (柴胡) 7 Evaporate (發散風熱)
30. Cimicifugae Rhizoma (升麻) 8 Evaporate (發散風熱)
31. Paeoniae Radix Rubra (赤芍藥) 10 Refrigerant (淸熱凉血)
32. Aurantii Immaturus Fructus (枳殼) 5 Circulatie energy (理氣)
33. Zingiberis Rhizoma Crudus (生薑) 6 Evaporate (發散風寒)
34. Anemarrhenae Rhizoma (知母) 6 Refrigerant (淸熱凉血)
35. Arctii Fructus Semen (牛蒡子) 7 Evaporate (發散風熱)
36. Akebiae Caulis (木通) 5 Diuretic (利水滲濕)
37. Magnoliae Cortex (厚朴) 6 Dehumidification (芳香化濕)
38. Hoelen (赤茯苓) 5 Diuretic (利水滲濕)
Download Excel Table

Ⅳ. 常用 本草와 經穴 配伍

『本草學』5)과 『大學經絡經穴學各論』6)을 참고하여 각 常用 本草의 歸經, 效能, 主治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經穴을 모색하였다. 經穴이 배속된 經絡과 本草의 歸經을 연관시킨 후, 本草의 效能, 主治와 經穴의 穴性, 主治를 면밀히 살펴 유사한 것끼리 配伍하였다.

1. 解表 - 發散風寒
1) 防風 - 束骨(BL65)

防風은 善行周身, 祛風止痒하여 風瘡疥癬, 皮膚瘙痒을 치료한다5). 防風은 肝, 脾, 膀胱經으로 歸經하는데6), 經絡經穴과 配伍하기 위해서는 足太陽膀胱經과 연관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膀胱은 州都之官, 津液出焉, 氣化則能出矣하고, 太陽은 抗御기능과 체표의 氣化를 담당하여 衛氣를 外로 敷布하기 때문이다7). 피부는 체표에 위치하여 외부의 여러 영향으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衛氣를 담당하는 足太陽膀胱經과 통한다고 생각한다.

足太陽膀胱經 중 束骨은 兪木穴로 祛風淸熱化痰, 通絡止痛하는데6) 이는 防風이 解表祛風, 勝濕하여 感冒頭痛, 風濕痺痛 등을 치료5)하는 것과 유사하다. 쥐의 束骨에 전침 자극을 주니 뇌줄기의 nNOS, nNOS-NO 활성이 증가했다는 연구8)와, 束骨 자침이 하지통증에 유의한 효력이 있다는 연구9)가 束骨에게 통증제어 효과가 있다는 근거가 된다. 또한 『鍼灸聚英』에서 束骨은 背部의 癰疽, 疔瘡을 치료한다고 하였는데10), 이는 防風의 祛風止痒하는 효능과 유사하여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서 심한 소양감과 발적이 주된 경우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荊芥 - 列缺(LU7)

荊芥은 上部에 風熱이 모인 頭痛目赤, 咽喉腫痛을 치료하고, 痲疹透發不暢, 風疹瘙痒에 적용한다5). 荊芥의 歸經은 肺, 肝經인데7), 瘙痒證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解表 작용에 주목하여 手太陰肺經의 經穴로 고안하였다.

列缺은 肺經의 絡穴이자 頭項을 치료하는 四總穴로 淸頭利咽散風한다6). 『傷寒論』11)에서 “外邪傷人, 先傷皮毛.”라고 하여, 肺는 氣를 주관하고 外合皮毛한다. 따라서 列缺은 宣肺利氣, 疏泄風邪의 효능으로 外感으로 인한 頭項 및 피부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12). Loskotova 등13)은 화상으로 인한 발적, 색소침착, 흉터 회복에 列缺이 효과적이었다 하였고, Ebneshahidi 등14)은 만성 두통을 列缺로 치료한 RCT 연구를 보고하였다.

이렇게 列缺이 피부질환과 함께 頭痛, 感冒 등의 表證을 치료하며 疏泄風邪하는 것은 荊芥가 病邪를 透邪시키는 것과 통한다. 그러므로 초기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발적과 함께 심한 소양감과 外感風寒의 表證이 동반될 경우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3) 白芷 - 內庭(ST44)

白芷는 歸經은 肺, 胃, 大腸經이고, 祛風除濕하여 風濕으로 인한 痺痛과 皮膚瘙痒을 치료하고, 消腫排膿하여 外科에서 상용한다5).

內庭은 足陽明胃經의 滎水穴로 胃火熾盛로 인한 頭面, 咽喉, 口齒의 질환을 치료하며6), 치과적인 통증15,16) 및 삼차신경통을 비롯한 안면부 통증17)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內庭이 淸熱開鬱, 導火下行, 止痛消腫의 효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馬丹陽十二穴歌』에서 內庭은 “癮疹, 咽喉痛, 數見及牙痛.”이라 하여6) 癮疹, 피부병 치료에 응용 가능하다. 이 등18)은 아토피 피부염에서 발생한 카포시 육종 치료에 內庭을 응용하였는데, 이는 白芷가 頭面部 질환과 皮膚瘙痒證을 다스리는 것과 의미가 통한다. 특히 홍반, 부종 등이 안면부에 주로 심화되는 영유아의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응용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4) 桂枝 - 崑崙(BL60)

桂枝는 肌表의 風寒을 發散하며, 廣走四肢하여 宣通經脈하고 痰飮과 蓄水를 溫化한다5). 桂枝는 心, 肺, 膀胱經으로 歸經하는데, 四肢에 고루 작용하여 發散風寒하고 經脈을 통하게 하는 효능19)을 미루어 볼 때, 表를 主하는 足太陽膀胱經과 연관지어야 한다. 그 중 崑崙은 膀胱經의 經火穴로 疏散風熱. 淸頭目, 開鼻竅의 효능이 있으며, 『鍼灸甲乙經』12)에서 “大風, 頭多汗, 腰股腹痛, 腨跟腫, 上齒痛, 脊背尼重, 不欲起聞食臭, 惡聞人音, 泄, 風從頭至足, 崑崙主之.”라 하였다. 이처럼 崑崙은 祛太陽經邪하는 작용이 있어 桂枝의 解肌 작용에 빗댈 수 있다.

또한 桂枝는 溫經通脈, 助陽化氣하여 脘腹冷痛, 血寒經閉 등을 치료5)하는데, 崑崙 자침으로 惡寒 등을 치료한 연구19)에서 崑崙의 溫化 작용이 桂枝의 기전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崑崙은 水濕이 정체되어 나타나는 痰飮, 水腫에 사용할 수 있고, 아급성 아토피 피부염에서 부종, 삼출물이 주된 증상일 경우에 운용 가능하다.

5) 生薑 - 尺澤(LU5)

生薑은 歸經인 肺, 脾, 胃經 중에서 肺經에 들어가 解表하여 感冒의 輕症에 사용하고, 胃經에 들어가 溫胃和中, 降逆止嘔하여 止嘔시킨다5).

尺澤은 手太陰肺經의 合水穴이며 肺經의 脈氣가 入하는 곳이다6). 合穴은 逆氣而泄을 主하는데, 尺澤은 淸降肺氣하여 咳嗽, 氣喘 등의 感冒 輕症에 사용할 수 있다12). 『千金要方』20)에서 “尺澤主嘔泄上下出.”이라 하여 尺澤을 點刺出血하면 和中止瀉하는 효능이 있어 嘔逆에도 응용하며, 실제로 위장질환의 수술 후 기능 회복에 유의한 효과21)가 있다.

따라서 尺澤과 生薑은 外感風寒과 嘔逆症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며, 解表하는 동시에 脾胃運化를 조절하여 濕과 관련된 질환도 다스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脾胃虛弱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尺澤에 刺絡療法을 시행하거나, 부종과 삼출이 주된 급성 및 아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적용할 수 있다.

2. 解表 - 發散風熱
1) 薄荷 - 魚際(LU10)

薄荷는 風熱之邪를 宣解하여 外感風熱表證을 치료한다20). 그리고 輕揚升浮하여 淸利頭目咽喉하고, 血熱生風으로 인한 癮疹瘙痒과 肝氣鬱滯로 인한 胸悶不舒를 치료한다5).

薄荷의 歸經은 肺, 肝經19)이며 魚際는 手太陰肺經의 滎火穴이다6). 薄荷는 輕揚升浮하여 外感風熱表證을 淸熱하고, 魚際 역시 淸瀉肺熱하여 身熱頭痛 등을 치료한다12). 그리고 건성안증후군을 치료한 연구22)를 통해 魚際가 薄荷의 淸利頭目과 유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魚際는 和肝胃하고, 魚際 부위가 붉으면 肝기능의 장애가 있음을 의미하며, 通絡止痛하여 痺走胸背痛不得息을 치료하는 것6)은 薄荷가 肝經에 歸經하여 胸悶不舒를 다루는 것과 통한다. 따라서 홍반, 열감, 소양감이 주된 급성 아토피 피부염 또는 증상이 안면부, 특히 눈 주위에 국한되어 심한 경우에는 魚際가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2) 蟬退 - 陽谿(LI5)

蟬退는 解表透疹하고, 外感風熱과 風疹瘙痒, 痲疹初期의 透發不暢을 치료하며 肝經에 들어가 凉肝熄風시켜 止痙退翳한다5).

蟬退의 歸經은 肺, 肝經이며19) 陽谿는 手陽明大腸經의 經火穴이다. 手太陰肺經은 手陽明大腸經과 表裏로 이어져있으며, 燥와 濕을 조절하는 효능이 있어, 蟬退의 歸經과 연결된다. 陽谿는 手陽明大腸經의 經氣가 行하는 곳으로, 喘咳寒熱을 主하여, 消散風熱, 利咽消腫, 明目聰耳의 효능이 있다6). 『鍼灸甲乙經』12)에 따르면 陽谿는 痂疥를 치료하고 通腑瀉熱, 定驚安神의 효능이 있어 癲, 狂, 癎證 등을 치료하는데, 이는 蟬退의 효능과 유사하다.

따라서 陽谿는 극렬한 소양감, 홍반 등이 주된 급성 아토피 피부염뿐만 아니라 痂皮가 증가하고 태선화가 시작되는 아급성 아토피 피부염에도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3) 升麻 - 曲池(LI11)

升麻는 肺, 脾, 胃, 大腸經으로 歸經하며, 熱毒을 解하여 解表透疹하므로 痲疹初期의 透發不暢을 치료한다5).

手陽明大腸經은 外邪侵入을 散風熱하고 合土穴인 曲池는 降熱하는 효능이 있다6). 肺는 皮毛를 主하고 陽明은 肌肉을 主하므로, 手陽明大腸經은 癮疹 등의 피부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7). 曲池는 淸肺熱하며 肌膚와 全身에 通達하여 養血潤燥의 효능이 있어 遍身風癬癩를 치료한다12). 曲池는 瘙痒症23), 여드름24)에도 좋은 효과가 있고, 화상에도 응용 가능하다는 연구13)가 있어 升麻와 유사하게 피부질환을 다스릴 수 있다.

그러므로 曲池는 피부질환에 대표적인 穴位로 아토피 피부염의 모든 기간에 응용 가능하며, 주된 증상이 소양감일 경우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 柴胡 - 行間(LR2)

柴胡는 半表半裏의 邪氣를 없애고 退熱한다5). 調達肝氣, 消肝解鬱하므로 肝氣鬱結로 인한 胸脇, 乳房脹痛을 치료하고, 升擧하는 작용으로 氣虛下陷證을 치료한다19).

柴胡의 歸經은 肝, 膽經이며 行間은 足厥陰肝經의 滎火穴이다6). 肝經은 表裏 관계인 膽經과 관련된 病證을 치료할 수 있고, 臟腑相通 관계인 手陽明大腸經과 관련된 病證도 치료할 수 있다7). 行間은 淸泄肝火, 淸利頭目하며12), 이는 柴胡의 退熱 작용과 유사하다. 또한 行間은 疏肝解鬱하여 胸脇滿痛, 月經不調 등을 치료하며 淸肝健脾하여 嘔逆, 泄瀉 등을 치료하는데10), 이는 柴胡가 肝氣를 조달시켜 肝氣鬱結을 치료하고, 中氣不足으로 인한 證을 치료하는 효능과 통한다.

그러므로 行間은 안구 주위에 홍반, 구진 등이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 적당하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 중 肝脾不和證이 동반된 경우에 활용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5) 葛根 - 足三里(ST36)

葛根은 脾, 胃經으로 歸經하고, 解肌發汗하여 表證에 項背가 강한 症에 응용한다5). 胃氣를 鼓舞시켜 生津하므로 口渴을 치료하고, 痲疹初期의 透發不暢을 치료한다19).

足三里는 足陽明胃經의 合土穴이고 四總穴 중 肚腹을 주관하여 健脾胃하고, 泄瀉, 痢疾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6). 下氣 작용으로 胃中之熱을 瀉하여 蕁麻疹을 치료하고, 舒筋通絡止痛하여 근골격계 질환도 다스린다12). 임상 실험을 통해서 足三里가 알러지 접촉피부염25), 아토피 피부염26) 등의 피부질환에도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足三里는 淸熱하는 작용이 足三里의 효능과 유사하여 서로 配伍할 수 있다. 淸熱, 下氣하는 작용으로 미루어 볼 때, 인체 상부에 홍반, 구진, 삼출, 소양감 등이 심한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足三里를 瀉하면 좋을 것이다.

6) 牛蒡子 - 魚際(LU10)

牛蒡子의 消散風熱, 淸熱解毒, 宣肺透疹하는 효능으로 痲疹初期, 風熱로 인한 癮疹瘙痒을 치료한다5).

牛蒡子는 肺, 胃經으로 歸經하고19), 魚際는 手太陰肺經의 滎火穴로 淸瀉肺熱, 消腫止痛하는 효능이 있다6). 전 등27)의 보고에 따르면, 魚際 자침을 통해 복부 체온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魚際의 淸熱 효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魚際는 和胃降逆의 효능이 있으며, 『靈樞·經脈』28)에 따르면 魚際 부위의 絡脈 분포를 통해 胃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고 하여, 魚際는 胃經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魚際는 肺經과 胃經에 入하며 淸熱하는 효과가 큰데, 이것은 牛蒡子의 歸經, 穴性과 매우 유사하여 風熱로 인한 피부질환에 魚際를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3. 淸熱 - 淸熱瀉火
1) 梔子 - 神門(HT7)

梔子는 心肺와 胸膈의 熱을 瀉하고, 淸熱利濕, 凉血止血 한다5). 梔子의 歸經은 心, 肝, 肺, 胃, 三焦經이고19), 神門은 手少陰心經의 兪土穴으로 手太陽小腸經의 氣를 조절하여 淸熱瀉火, 淸利咽喉, 通絡止痛한다6). 心主血하므로7) 神門은 淸心凉血止血하여 吐血, 嘔血, 大便膿血을 치료한다12). 神門은 胸膈에 熱이 맺힌 것을 풀어주어 甚欲得冷飮, 面赤, 目黃脇痛, 身熱 등을 치료하며29), 心熱로 인한 심장 질환에 대해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다는 여러 보고30-32)를 통해 梔子와 유사하다고 판단했다.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급성 단계에서 홍반과 열감이 심할 경우에 神門으로 淸熱하면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2) 天花粉(瓜蔞根) - 少商(LU11)

『本草滙言』에서 “瓜蔞根은 退五臟鬱熱한다. … 모두 火熱이 鬱結한 所致이다. 이러한 경우 瓜蔞根은 開鬱結하고 降痰火하여 치료한다. … 治渴의 要藥이 된다.”라고 하였다5).

瓜蔞根은 肺, 胃經으로 歸經하며19) 少商은 手太陰肺經의 井木穴로 淸泄肺熱, 宣散風熱하므로 淸熱解毒, 利咽消腫하고6), 陰虛火旺으로 인한 질환에 淸咽止痛한다12). 瓜蔞根은 淸火熱, 開鬱結, 降痰火하여 渴을 치료하는데5), 구강건조증을 치료하는 데에 少商이 유효하다는 연구33)가 있었다. 또한 少商은 開竅, 淸熱解毒시키는 효능이 있어29) 瓜蔞根과 유사하다.

井穴은 주로 點刺出血하여 泄熱, 開鬱하므로 少商은 火熱이 鬱結된 아토피 피부염의 홍반, 소양감에 瀉血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3) 知母 - 復溜(KI7)

知母는 肺, 腎, 胃經으로 歸經하고 淸熱瀉火, 滋陰潤燥하므로 潮熱傷陰에 응용할 수 있다5).

復溜는 足少陰腎經의 經金穴로 皮毛를 주관하는 肺, 大腸과 通하고, 補腎氣, 滋腎陰, 健脾止瀉, 利水消腫하여 腎虛證을 치료한다6). 虛熱로 인한 구강건조증33), 고혈압34,35) 등을 復溜를 자침하여 치료하였다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知母는 淸熱하나 潤燥에 더 좋은 효능19)이 있고, 復溜 또한 滋陰降火하여 津液을 보충하는 효과가 있어12) 서로 配伍할 수 있다.

따라서 復溜는 태선화가 주된 만성 아토피 피부염에서 소양감이 심한 경우 응용하면 滋潤하며 淸熱하므로 효과가 있을 것이다.

4) 石膏 - 合谷(LI4)

石膏는 肺, 胃經으로 歸經하며 淸肺胃之火, 退熱生津하여 肺胃氣分의 實熱을 淸解하고5), 發疹을 치료한다19).

手陽明大腸經과 手太陰肺經은 서로 表裏가 되며, 合谷은 手陽明大腸經에 속하여 肺氣를 조절하므로 石膏와 合谷은 通할 수 있다. 合谷은 疎風散寒, 解表散邪의 효능으로 表證을 치료하며, 『鍼灸聚英』10)에 따르면 風疹, 痂疥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한다. 合谷은 曲池와 더불어 소양감 제어에 탁월한 효능이 있었으며36), 전침 자극으로 통증 및 어지럼증을 제어하며 소양감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37).

특히 手陽明大腸經은 面部를 循行하며, 合谷은 四總穴 중에서 口面을 주관하므로6) 鬱熱로 頭面에 생긴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의 전 단계에서 소양감이 심할 경우에 合谷으로 능히 제어 가능할 것이다.

4. 淸熱 - 淸熱燥濕
1) 黃芩 - 曲池(LI11)

黃芩은 肺, 膽, 胃, 大腸, 小腸經으로 歸經하며, 淸熱燥濕하여 濕熱諸症에 사용하는데, 肺經의 熱을 瀉하는데 더욱 우수하다5).

手陽明大腸經은 手太陰肺經과 表裏가 되며, 曲池는 大腸經의 合土穴로 疎散風熱, 解表散邪한다6). 大腸經은 肌膚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散風熱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고, 淸肺熱하면서 肌膚와 全身에 通達하여 凉血潤燥한다12). 실제로 曲池는 소양감을 억제하는 작용26,38,39)과 淸泄陽明, 淸熱利濕의 효능으로 腹痛, 吐瀉, 痢疾 등을 치료하므로10) 黃芩과 通하게 된다.

즉, 曲池는 淸熱利濕, 疏散風熱하고 주로 인체 상부에 작용하여 黃芩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며, 소양감이 있는 아토피 피부염의 모든 단계에서 효과적일 것이다.

2) 黃連 - 足三里(ST36)

黃連은 心, 脾, 胃, 肝, 膽, 大腸經으로 歸經하며 瀉火燥濕의 효능으로 心火를 瀉하고 腸胃의 濕熱을 淸하여 濕火가 鬱結된 것을 치료한다5). 또한 疔毒癰腫, 口舌赤爛에 효과적이다19).

足三里는 足陽明胃經의 合土穴로 四總穴 중 肚腹을 주관하여 運化失調로 인한 脾胃疾患을 치료한다6). 脾胃는 水濕運化를 담당하며7) 合穴은 逆氣而泄을 주관하고, 足三里는 健脾祛濕, 利水의 효능이 있어 胃中濕熱을 瀉하고 蕁麻疹을 치료한다12). 黃連 역시 中焦의 熱을 담당하므로 足三里에 짝지을 수 있다. 足三里는 알러지성 접촉 피부염으로 인한 소양증25), 캡사이신으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에 효능26)이 있다는 보고가 있어 黃連과 함께 피부염 치료에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足三里는 소양감, 삼출, 홍반 등이 주요 증상인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3) 黃柏 - 委中(BL40)

黃柏의 歸經은 腎, 膀胱, 大腸經으로, 沈降하여 腎火를 瀉하고 下焦를 淸熱燥濕시켜 濕熱을 치료한다5).

委中은 足太陽膀胱經의 合土穴로 四總穴 중 腰背에 속하며, 六腑下合穴에서 膀胱을 주관한다6). 足太陽膀胱經은 五行配屬 중 水에 속하여 寒涼하고, 委中은 淸熱瀉火한다. 『類經圖翼』40)에 따르면, 委中은 血郄이라고 하여 血氣가 깊게 모이는 곳이고, 血中의 邪毒을 瀉하여 丹毒, 疔瘡을 치료한다. 委中은 『鍼方六集』에서 “癰疽發背”를 치료하고6), 『鍼灸大成』29)에서 合谷, 曲池, 足三里와 배합하여 “治疔瘡”이라 하였다. 委中은 下氣시키는 작용이 있어 봉약침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었는데39), 이는 黃柏이 瀉火시키는 작용과 유사하다. 또한 委中은 健脾祛濕和胃하고 膀胱濕熱을 淸하며, 腰背部 질환을 치료하므로12) 黃柏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인체 하부에 下焦濕熱로 인한 삼출, 홍반, 소양감이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는 委中이 효과적일 것이다.

4) 苦蔘 - 蠡溝(LR5)

苦蔘의 歸經은 心, 肝, 胃, 大腸, 膀胱經이며 燥濕淸熱, 祛風殺蟲하여 止痒하는 효능이 있어 피부질환을 치료한다5).

蠡溝는 足少陰肝經의 絡穴로서 肝膽二經을 조절하여 肝膽의 濕熱을 淸利하고 解毒殺蟲, 祛濕止痒으로 濕熱을 치료한다6). 祛風殺蟲하는 효능으로 피부질환 및 濕熱證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苦蔘과 蠡溝를 짝지을 수 있다.

따라서 蠡溝는 濕熱下注하여 생식기 등의 부위에 삼출, 홍반, 소양감, 미란 등이 심화된 아토피 피부염에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5. 淸熱 - 淸熱凉血
1) 生地黃 - 行間(LR2)

生地黃은 心, 肝, 腎經으로 歸經하는데, 腎經에 들어가 滋腎陰하여 潤燥시키고, 心肝의 血分에 들어가 淸營凉血하여 泄熱한다5).

피부질환에서 生地黃은 凉血작용으로 소양감, 발적 등을 치료한다. 心經은 安神에, 腎經은 과로 및 면역질환 치료에 주로 응용되기 때문에, 生地黃의 歸經 중에서 肝經의 經穴을 고려하였다. 足厥陰肝經의 滎火穴인 行間은 淸泄肝火, 淸利頭目, 疏肝解鬱하여 胸脇滿痛, 月經不調 등을 치료한다6).

따라서 뚜렷한 홍반과 함께 열감, 소양감이 주된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行間을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赤芍藥 - 中都(LR6)

赤芍藥은 肝經血分에 들어가 淸熱, 凉血祛瘀하므로 일체의 血熱과 血瘀에 모두 응용한다5).

中都는 足少陰肝經의 郄穴로 血症을 주로 치료한다6). 中都는 淸肝泄熱, 凉血止血, 消肝解鬱시켜 氣血을 순환시키고, 체온 조절에도 유의한 효과가 있다41).

그러므로 中都를 赤芍藥과 유사하게 血瘀證에도 응용할 수 있으며, 홍반 또는 색소침착이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6. 淸熱 - 淸熱解毒
1) 連翹 - 少海(HT8)

連翹는 淸熱瀉火, 消腫散結하여 瘡瘍腫毒, 瘰癧結核을 치료하고, 散上焦風熱하여 煩熱, 血熱發斑에 多用한다5).

連翹는 心, 肺, 膽經으로 歸經한다19). 少海는 手少陰心經의 合水穴로 心臟經氣가 주입하는 곳이며 淸熱疎風, 通絡止痛한다. 少海는 『千金翼方』20), 『勝玉歌』, 『鍼灸大成』29)에 따르면 益火瀉水, 淸熱凉血의 효능으로 虛損, 水虧火熾, 肝鬱血熱로 인한 瘰癧을 치료한다. 連翹 또한 血熱을 淸解하여 瘰癧을 치료하는 聖藥이라는 점에서 少海와 유사하다.

따라서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서 부종, 삼출이 심한 경우에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瘰癧을 치료한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아토피 피부염에서 부종이 심화되어 압진 시 단단하여 반발감이 있는 경우에 少海를 통해 軟堅散結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2) 金銀花 - 尺澤(LU5)

金銀花는 淸熱解毒하여 熱毒瘡癰을 치료하고, 歸經인 心, 肺, 胃經에서 특히 肺經에 들어가 宣散風熱한다5).

尺澤은 手太陰肺經의 合水穴로서 ‘實則瀉其子’의 원칙에 따라 瀉本臟之熱하여 泄肺熱, 凉血止血, 滋肺陰하는데6), 이는 金銀花의 散表熱과 유사하다. 그리고 尺澤은 消腫시키는 작용으로 咽喉腫痛, 乳癰을 치료하며10) 金銀花가 消腫祛膿시켜 血分의 毒을 解하는 것19)과 비슷하다. 또한 尺澤을 點刺出血하면 和中止瀉하여 吐瀉를 치료하는데12), 金銀花 또한 表熱을 淸解하지만 성질이 甘緩하여 胃를 상하지 않는 다는 것5)이 유사하다.

그러므로 심한 열감, 赤色의 환부, 단단한 부종이 있는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尺澤을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7. 瀉下 - 攻下
1) 大黃 - 足三里(ST36)

大黃은 脾, 胃, 大腸, 肝, 心包經으로 歸經하는데, 脾胃積滯를 치료하고, 淸熱瀉火, 活血逐瘀한다5).

足三里는 足陽明胃經의 合土穴로서 瀉胃中之熱, 宣通氣機, 導氣下行한다6). 그리고 足三里는 消腫散結의 효능으로 乳癰 등의 질환도 다스리며29), 알러지성 접촉 피부염25), 아토피 피부염26)을 치료한다. 이처럼 足三里는 大黃의 瀉火, 逐瘀하는 효능과 유사한 下氣 작용이 있어 서로 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 환자 중 積滯가 있는 경우 또는 熱結로 홍반, 부종이 심한 경우에 大黃의 의미를 가진 足三里를 활용할 수 있다.

8. 芳香化濕
1) 蒼朮 - 陰陵泉(SP9)

蒼朮의 歸經은 脾, 胃, 肝經이며, 祛風濕, 燥濕健脾하여19), 濕邪로 인한 모든 證에 사용한다5).

陰陵泉은 足太陰脾經의 合水穴로서 健脾化濕, 通利三焦, 淸熱利尿하고, 濕을 치료한다6). 足太陰脾經은 手太陰肺經과 通하여 관련된 질병을 다스릴 수 있고, 肺經은 肌表를 主하므로7) 表에 있는 風濕을 제거할 수 있어 蒼朮과 陰陵泉을 짝지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삼출이 주된 급성 또는 아급성 아토피 피부염에 陰陵泉을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2) 厚朴 - 太白(SP3)

厚朴은 脾, 胃, 肺, 大腸經으로 歸經하고, 下氣平喘, 行氣消脹하여, 腸胃氣滯를 行氣化濕한다5).

太白은 足太陰脾經의 兪穴, 原穴이며 土穴이 되어 健脾益氣, 祛濕止瀉하여 祛風濕, 止痺痛, 降逆止嘔하여 下氣시키는 작용이 있어10) 厚朴과 유사하다.

따라서 부종이 심한 아토피 피부염 또는 脾胃運化가 원활치 않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증상 완화에 太白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9. 利水滲濕
1) 赤茯苓 - 少府(HT8)

赤茯苓은 行水, 泄利濕熱하여, 小便不利와 淋濁, 泄瀉를 치료한다5).

赤茯苓의 歸經은 心, 脾, 膀胱經이며19), 少府는 手少陰心經의 滎火穴, 自性穴이다6). 心과 小腸은 서로 表裏가 되며, 少府는 心小腸의 火를 淸할 수 있으므로 淸利下焦濕熱의 효능이 있다12).

그러므로 赤茯苓이 다스리는 질환을 少府로 치료할 수 있는데,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홍반, 삼출이 주된 급성 단계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 木通 - 少府(HT8)

木通은 淸心降火, 利水泄熱하여 濕熱邪를 小便으로 배출하므로 濕熱內盛症에 사용한다19).

木通은 心, 小腸, 膀胱經으로 歸經하는데5), 手少陰心經의 少府를 配伍하였다. 少府는 淸心除煩하고, 手少陰心經은 下絡小腸하므로 導火下行, 通利小便할 수 있어29) 木通과도 通한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의 홍반 및 삼출 완화에 少府가 효과적일 것이다.

10. 理氣
1) 陳皮 - 公孫(SP4)

陳皮의 歸經은 脾, 肺經으로, 發散, 行滯, 燥濕祛寒한다19).

公孫은 足太陰脾經의 絡穴로서 聯脾胃二經하여 淸熱利濕, 理脾和胃, 祛濕利水시킨다29). 公孫이 生痰之原인 脾臟을 건강하게 하여 자연스레 淸熱化痰시키는 효능이 있다는 측면에서 陳皮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만성 단계에서 고착화된 주름, 색소 침착 등에 行氣하여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의미에서 公孫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枳殼 - 公孫(SP4)

枳殼의 歸經은 肺, 脾, 大腸經이며 行氣貫中을 主로 하고, 胸脇脹痛, 脘腹脹滿에 적용하여 치료한다19).

公孫은 足太陰脾經의 絡穴이자 八脈交會穴로 衝脈과 通한다. 衝脈은 배꼽 옆으로 上行하여 胸中에 이르러 흩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公孫은 淸心諸煩하여 脹痛, 脹滿을 치료할 수 있으며6), 이러한 점에서 枳殼과도 유사하다.

따라서 枳殼에서의 公孫은 주로 導滯하는 의미를 가지며, 만성 아토피 피부염의 과각화된 피부에 효과적일 것이다.

11. 活血祛瘀
1) 川芎 - 足臨泣(GB41)

川芎은 上下左右表裏 전체를 走行하여 活血行氣, 祛風止痛하고, 肝氣鬱滯, 瘡瘍腫毒, 風濕痺痛에 常用하여 疼痛을 치료한다19).

川芎의 歸經은 肝, 膽, 心包經이며5), 足臨泣은 足少陽膽經의 兪木穴로 體重節痛을 치료하며 膽經이 지나는 부위를 다스린다12). 足少陽膽經은 인체의 측면을 流主하여 全身에 분포하는데, 川芎이 上下左右로 行하여 氣血을 순환시키고 祛風시켜 痛症을 제어하는 것과 유사하다. 또한 足臨泣은 表裏經인 肝經과 관계되어 疎肝解鬱시켜 胸脇部의 병증을 치료하는데6) 이 또한 川芎의 효능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活血行氣에 주안점을 두어 足臨泣은 심한 홍반 또는 색소 침착이 있는 아토피 피부염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12. 淸火熱痰
1) 桔梗 - 經渠(LU8)

桔梗은 肺經으로 歸經하여 宣通上焦, 升提肺氣하고, 咳嗽痰多, 咽痛失音을 치료한다5).

經渠는 手太陰肺經의 經金穴로, 咳喘寒熱을 주관하며 肺經의 自性穴로 肺虛證을 補하는 작용이 있는데6), 이는 桔梗과 유사하다. 肺虛證을 치료한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經渠는 아토피 피부염의 ‘itch-scratch cycle’ 방지를 위한 피부장벽 강화 효능을 가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심한 소양감으로 爪痕이 남은 환자 또는 그럴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經渠를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13. 補氣
1) 甘草 - 百會(GV20)

甘草는 生用하면 瘡瘍腫毒을 解毒하고, 心, 肺, 脾, 胃經으로 歸經하지만 調和諸藥하는 효능이 있어 通行十二經하는 약물이다5).

督脈은 陽經之海이며 百會는 督脈에 속하는 諸陽之會이고 三才穴 중 天才이다6). 甘草가 十二經 전체를 아우르면서 解毒, 消風散邪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頭頂部에 위치하여 太陽의 대표가 되는 百會를 짝지었다.

百會는 解表, 淸熱하므로 급성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甘草가 調和諸藥하는 것처럼, 다른 經穴과 함께 百會를 자침하여 經氣 흐름을 원활히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2) 黃芪 - 太淵(LU9)

黃芪는 肺, 脾經으로 歸經하며5) 補氣固表하여 止汗하고, 溫運陽氣하여 利水消腫하며, 正氣를 鼓舞시켜 托毒生氣시킨다19).

이처럼 黃芪는 補氣가 주된 작용이기 때문에, 手太陰肺經과 연결지어야 한다. 그 중 肺經의 原穴이자 八會穴의 하나인 太淵이 가장 적합하다. 太淵은 補益肺氣, 淸肺熱, 調氣血, 理腸和胃하는 작용이 있는데7), 黃芪가 溫運陽氣, 托毒生氣하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黃芪는 삼출물과 태선화, 가피가 공존하는 아급성 및 만성 아토피 피부염에 濕熱을 제거하고, 搔爬로 인한 상처 등에 托毒生氣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3) 人蔘 - 太淵(LU9)

人蔘의 脾, 肺, 心經으로 歸經하며, 補原氣, 生津止渴, 安神益智하는 補氣의 대표 本草이다5).

人蔘은 補氣 작용이 아주 뛰어나므로 人蔘의 歸經 중에서 肺經을 선택하였다. 肺는 肺朝百脈하고, 心과 함께 營衛를 다스린다7). 太淵은 肺經의 原穴으로 肺臟의 原氣가 머무는 곳이기 때문에 心을 도와서 인체혈액순환을 보조하는 작용을 증진시킨다6).

그러므로 太淵은 만성 아토피 피부염에서 상처가 남아 잘 아물지 않는 경우, 피부장벽의 회복이 더딘 경우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白朮 - 足三里(ST36)

白朮은 歸經은 肝胃經으로, 中焦에 들어가 脾胃를 補益한다5). 脾氣가 健運하면 水濕代謝를 촉진하여 肌表를 堅固히 할 수 있기 때문에 白朮은 固表止汗하며7), 임신 중의 足腫이나 胎動不安에도 응용되는 安胎要藥이다19).

足三里는 足陽明胃經의 合土穴로서 健脾胃하여 祛濕利水하는데6), 이는 白朮이 健脾化濕하는 것과 유사하다. 뿐만 아니라 足三里는 足太陽膀胱經의 至陰穴(BL67)과 함께 胎位不定 등의 임신 중 치료혈로 사용되며29), 이는 白朮의 胎動不安 작용과 비슷하다. 따라서 足三里는 健脾化濕, 固表하는 작용에 주목하여 白朮과 配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토피 피부염에서 삼출물, 부종, 소양감 등이 주요 증상인 초기에 적용 가능하며, 脾胃虛弱者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14. 補血
1) 當歸 - 三陰交(SP6)

當歸는 心, 肝, 脾經으로 歸經하고, 心主血, 肝藏血, 脾統血하고, 腫瘍期의 散瘀消腫과 潰瘍期의 排膿生氣 및 外傷의 瘀腫疼痛에 사용한다5).

三陰交는 足太陰脾經, 足厥陰肝經, 足少陰腎經의 交會穴이자 回陽九鍼穴에 속하며 健脾益氣, 溫中補虛의 효능이 있다29). 三陰交는 調脾胃, 益肝腎, 補氣血하며 부인과 질환에 많이 사용되어 血病을 다스린다6). 따라서 補血 작용이 뛰어난 當歸와 짝지을 수 있다. 한편 三陰交는 아토피 피부염20)과 소양감 완화를 위한 침술 치료42,43)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도 있어 소양증이 있는 피부염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三陰交는 만성 아토피 피부염에서 색소침착을 活血去瘀하고, 건강한 피부로 회복할 수 있도록 補血할 수 있을 것이다.

2) 白芍藥 - 太衝(LR3)

白芍藥은 肝, 脾經의 血分으로 歸經하여 養血斂陰, 柔肝止痛, 平肝抑揚하여 諸痛을 치료한다19). 그러므로 血虛, 營陰不固, 肝鬱不舒 등으로 인한 病證에 모두 응용한다5).

肝은 風木의 臟으로 化火生風하고 위로 神明을 어지럽히기 쉽다7). 太衝은 平肝瀉火, 熄風止痙의 효능이 있으며6), 이는 當歸 뿐만 아니라 白芍藥과도 통하는 점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서 白芍藥의 收斂, 補血하는 효과에 주목할 때, 太衝은 만성 단계에서 소양감으로 인해 搔爬하여 생긴 상처를 유합하고 깊어진 주름 및 태선화를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Appendix 4-8과 같이 정리하였다.

Ⅴ. 考 察

한의학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奶癬, 四彎風 등과 유사하며, 크게 다음 3가지로 辨證한다. 風濕熱浸淫肌膚症에는 淸熱利濕, 消風止痒하는 龍膽瀉肝湯加減, 消風散을 사용하고, 脾虛濕熱內蘊症에는 健脾除濕하는 除濕胃笭湯加減 처방을, 陰傷血燥濕戀症에는 滋陰養血, 除濕止痒하는 滋陰除濕湯 처방을 사용한다44). 침치료는 合谷(LI4), 曲池(LI11), 足三里(ST36) 등이나 肺正格 또는 大腸正格이 사용된다45).

한방 임상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를 위해 辨證施治를 사용하여 한약을 처방하고 있으나 침구처방은 그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진다. 『韓醫皮膚外科學』44)에서는 脾兪(BL20), 胃兪(BL21), 大椎(GV14), 合谷(LI4), 曲池(LI11), 足三里(ST36), 委中(BL40), 豊隆(ST40) 등을 침구처방으로 제시하였으나, 변증에 따른 구분은 없었다. 임상에서 변증별 침구처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를 뒷받침할 근거가 필요하지만 아토피 피부염의 침술 치료에 관련된 RCT 연구는 미미한 실태이다3).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本草學』5), 『大學經絡經穴學各論』6),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Appendix 1-3)를 기본 문헌으로 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한약 처방을 연구하여 常用된 本草를 추출하였고, 이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 經穴을 탐구하였다.

五輸穴, 原絡郄慕兪 등의 特定穴 위주로 탐구한 이유는 먼저 주요 特定穴이 임상응용 시에 의사와 환자 모두 용이할 수 있도록 肘膝關節 이하에 위치한 經穴이기 때문이다. 또한 經穴이 소속된 經絡, 臟腑 자체의 主治 뿐만 아니라 特定穴로서의 효능이 함께 작용하여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阿是穴 등의 體鍼을 사용하기에 피부병은 환부가 국소에서 전신까지 범위가 다양하여 시술 면적과 소요 시간이 막연하다. 그리하여 五輸穴, 原絡郄募兪 중에서 經穴을 살펴보는 것이 효율적이라 생각하였다.

먼저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을 선출하기 위하여, 피부염 치료에 관한 연구 중, 2개 이상의 本草로 구성된 한약으로 실험한 논문을 살펴보았다. 검색어는 크게 3가지 Group으로 분류하였는데 Group 1은 ‘아토피 피부염’, Group 2는 ‘항알러지,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아나필락시스’, Group 3은 ‘피부염’으로 설정하였다. 3가지 Group 모두에서 사용된 本草를 선별한 뒤, 그 중 사용된 총 횟수가 5회 이상인 本草를 ‘常用 本草’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피부염’이라는 검색어를 설정한 이유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과 교집합이 되는 증상이 그 외 피부염에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의학뿐만 아니라 현대의학에서도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법을 다른 피부염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검색어의 범위를 넓혀서 연구 대상을 추출하였다. 실험 논문에 한정하여 검토한 이유는 증례 보고는 발표된 case의 수가 적으며, 대조군의 설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한약의 효과에 대한 결과가 실험 논문에 비하여 유의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실험 논문에 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常用 本草 중에서 發散風寒藥이 5개, 發散風熱藥이 6개로 解表藥이 총 11개이고, 淸熱藥은 淸熱瀉火藥 4개, 淸熱燥濕藥 4개, 淸熱凉血藥 2개, 淸熱解毒藥 2개로 총 12개이다. 즉, 38가지 常用 本草 중에서 解表와 淸熱을 主로 하는 本草가 23개로 약 61%를 차지하였다. 이는 五臟六腑 중에서 피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부가 皮毛를 주관하는 肺라는 것에 기인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즉 手太陰肺經은 外感風寒邪를 解表하며 濁毒한 邪氣를 淸熱透發하는 성질이 있으며, 解表藥, 淸熱藥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常用 本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常用 本草의 歸經을 빈도순으로 정리하였을 때, 역시 手太陰肺經이 가장 많은 횟수인 23회로 나왔다(Appendix 5). 肺臟이 解表와 淸熱을 주로 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38가지의 常用 本草와 配伍한 經絡과 經穴의 빈도를 Appendix 6과 같이 정리하였다. 經絡은 총 10개이며, 經穴은 28개로 선출하였다. 그 중, 手太陰肺經이 6개의 經穴로 가장 다빈도로 나타났다. 이는 常用 本草의 歸經에 의거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을 선출하였기 때문에 肺經의 經穴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 중에서 五輸穴의 운용과 빈도를 Appendix 7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特定穴이란 十四經脈의 經穴 중에서 특수한 작용이 있어서 특정한 이름을 붙여 분류한 經穴을 말한다. 그 중에서 五輸穴은 『靈樞·九鍼十二原』28)에서 “所出爲井, 所溜爲滎, 所注爲兪, 所行爲經, 所入爲合.”이라 소개하였다. 十二經脈의 肘膝關節 이하에 위치하여, 인체의 사지말단에서 肘膝 방향으로 經氣의 흐름이 점차 깊어지고 커지는 곳으로, 『難經·第六十八難』43)에서 “…井主心下滿, 滎主身熱, 兪主體重節痛, 經主喘咳寒熱, 合主逆氣而泄.…”이라 하여 五輸穴의 主治를 논하였다. 井穴은 神志昏迷 등 응급질환에 주로 활용하고 구급처치에 특효가 있고, 諸經脈의 起始處로서 모든 병증의 발병 초기에 다용된다10). 滎穴은 發熱病을 다스리며 주로 身熱 등의 병증에 유효하다. 兪穴은 關節질환에 사용되며, 주로 體重節痛, 風濕痺痛을 다스린다. 經穴은 咳喘 등 호흡기 질환에, 合穴은 六腑病證, 만성질환에 주로 활용한다46). Appendix 7에서 井穴은 1회였으나, 經穴은 4회, 滎, 兪穴은 각각 7, 8회, 合穴이 11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五輸穴의 主治 중 井穴은 주로 응급질환을 다스린다고 하였기 때문에,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井穴 이외의 五輸穴에 좀 더 주안점을 두어 살펴보게 되었다.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 중에서 五輸穴을 제외한 特定穴의 운용과 빈도를 Appendix 8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原穴은 臟腑, 經絡의 原氣가 經過, 留止하는 곳으로, 腕踝關節 부근에 위치하여 十二經의 근본이 된다12). 絡穴은 經脈에서 絡脈이 별도로 갈라지는 곳으로, 表裏가 되는 두 經脈을 연결한다. 郄穴은 대개 肘膝關節 이하에 위치하여 소속 經絡 및 臟腑의 급성 병증, 血症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29). 腹慕穴은 臟腑의 經氣가 胸腹部에 結聚되는 곳이며, 背兪穴은 臟腑의 經氣가 腰背部 즉, 足太陽膀胱經의 제 1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腹慕穴, 背兪穴은 모두 임상에서 진단과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46). Appendix 8에서 原絡郄募兪 중 腹慕穴, 背兪穴은 아예 언급되지 않았는데, 이는 임상에서 용이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肘膝關節 이하의 經穴 위주로 찾아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原穴이 가장 많은 이유는 五臟의 五輸穴 중 兪穴이 原穴에 해당되어 중복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常用 本草와 經穴 사이의 연관성을 좀 더 두텁게 하기 위하여 MEDLINE에서 經穴과 관련된 실험연구를 진행한 문헌을 추가로 살펴보아 經穴의 생화학적인 역할, 임상시험에서의 효력 등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검색식은 經穴의 국제번호와 ‘acupuncture’와 and 수식어로 연결한 것을 기본 형식으로 하였고, 30건 이상으로 검색될 경우에는 ‘and atopy’, ‘and dermatitis’, ‘and eczema’, ‘and pruritus’를 추가로 붙여 논문을 선별하였다.

常用 本草 중에서 解表藥, 淸熱藥과 연결된 經穴은 아토피 피부염, 소양감, 습진 등과 관련된 보고가 다수 검색되었고8,9,13-19,21-26,31-40,42-44), 그 중 침술치료가 소양감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많았다. 그리하여 『本草學』5), 『大學經絡經穴學各論』6)의 내용과 연관지어 아토피 피부염에서 각 經穴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다.

반면 芳香化濕, 利水滲濕, 理氣, 活血祛瘀, 淸火熱痰, 補藥과 연결된 經穴은 피부염과 관련된 연구가 적어42,43)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로서의 직접적인 근거로 제시하기 어려웠고, 『本草學』5), 『大學經絡經穴學各論』6)를 바탕으로 經穴의 운용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經穴은 여러 문헌을 참고하였으나 저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하여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經穴 하나하나의 성질에 입각하여 本草와 연계하였으나, 經穴의 큰 틀인 經絡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本草와 經穴에 대하여 1:1 配伍에 대해서만 설계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穴位를 함께 配伍하는 五行鍼 등의 鍼處方에 대하여 고안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비롯하고 본 연구는 향후 아토피 피부염의 침술치료와 관련된 RCT 등의 임상 연구에서 選穴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임상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변증별, 증상별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Ⅵ. 結 論

『本草學』5), 『大學經絡經穴學各論』6),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Appendix 1-3)를 기본 문헌으로 하여 선별된 常用 本草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을 탐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8가지 常用 本草 중에서 解表와 淸熱을 主로 하는 本草가 23개로 약 61%를 차지하였고, 常用 本草의 歸經 역시 手太陰肺經이 가장 많은 횟수인 23회로 나왔다. 이는 五臟六腑 중에서 피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부가 皮毛를 주관하는 肺라는 것에 기인한 결과이며, 手太陰肺經 또한 外感風寒邪를 解表하며 濁毒한 邪氣를 淸熱透發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에 운용 가능한 經穴을 선출하였기 때문에 手太陰肺經의 經穴이 가장 많이 고려되었다.

2. 임상응용 시에 의사와 환자 모두 용이할 수 있도록 肘膝關節 이하에 위치한 經穴인 五輸穴, 原絡郄의 特定穴을 탐구하였다. 예외적으로 三陰交, 百會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이라 생각되어 언급하였다.

3. 常用 本草와 配伍된 經穴에 대한 연구를 MEDLINE에서 검색한 결과, 침술치료가 소양감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많았다. 그러므로 소양감을 비롯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완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언급한 經穴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은 2018년도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References)

1.

Ahn SG, Jang KH, Song JW, Cheon SH. Common Skin Diseases in Korea. 2nded.Seoul:Doctorsbook.2009:13 .

2.

Park HJ, Kwon JH, Yoo JH. Quantitiy and Quality Assessment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the Atopic Dermat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4):45-57 .

3.

Lee SE, Yoon HJ, Ko WS. Recent Trend and Proposal for Acupucture Clinical Trial on Atopic Dermat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7;30(3):76-87 .

4.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Busan:Sunwo. 2007:359-60 .

5.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Herbal Association. Text of Herbalogy. 3rded.Seoul:Younglimsa.2016 .

6.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Meridians & Acupoints Association. Details of Merdians & Acupoints;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4thed.Wonju:Euibang.2009 .

7.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Physiology Association. Text of Korean Physiology. 2nded.Seoul:Jipmoondang.2010 .

8.

Ma SX, Li XY. Increased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the gracile nucleus of brainstem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given between cutaneous hindlimb acupunctrue points BL64 & BL65 in rats. Acupuncture & electro-therapeutics Res Int J. 2002;27(3-4):157-69 .

9.

Wang ZZ, Zhang J, Li DH. Comparison of pain thresholds of acupoints on the leg in healthy volunteers. Zhen Ci Yan Jiu. 2013;38(1):68-72 .

10.

Go M. Chimguchuiyoungbalhui. Seoul: Euisungdang. 1992 .

11.

Kim KI, Noh YB. Shanghanlun. Seoul: Badabooks. 2015 .

12.

Hwang BM. Chimgugabeulgyeong(Korean). Seoul:Euisungdang. 2012 .

13.

Loskotova A, Loskotova J. The use of acupuncture in first aid of burns-Clinical report. Burns. doi:10.1016/j.burns.2017.04.025 .

14.

Ebneshahidi NS, Heshmatipour M, Moghaddami A, Eghtesadi-Araghi P. The effects of laser acupuncture on chronic tension headach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cupuncture in Medicine. 2005;23 (1):13-8 .

15.

Grillo CM, Wada RS, da Luz Rosário de Sousa M. Acupuncture in the management of acute dental pain. J Acupunct Meridian Stud. 2014;7(2):65-70 .

16.

Tang HS, Hu T. Controlled observation on combination of Shu-stream and Ying-spring acupoints for toothache. Zhongguo Zhen Jiu. 2012;32(9):794-7 .

17.

Chen ZM, Wu XT. Clinical efficacy observation on primary trigeminal neuralgia treated with joint needling method at the trigger point. Zhongguo Zhen Jiu. 2012; 32(6):499-502 .

18.

Lee DJ, Kwon K, Sun SH, Seo HS. Kaposi's Varicelliform Eruption in Atopic Dermatiti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J Pharmacopuncture. 2014;17(2):80-3 .

19.

Zhang W, Takahashi S, Miki T, Fujieda H, Ishida T. A pilot study exploring the effects of reflexology on cold intolerance. J ACUPUNCTURE MERIDIAN STUD. 2010; 3(1):43-8 .

20.

Son SM. Cheongeumyobang. Seoul:Hangrim. 1976 .

21.

Chen TY, Zhou J, Wang K, Xu JJ, Ma W, Wu YY. Electroacupuncture Intervention Combined with Anesthetics for Analgesia and Post-surgical Gastrointestinal Recovery in Pneumonectomy Patients. Zhen Ci Yan Jiu. 2015;40(6):461-4 .

22.

Shin MS, Kim JI, Lee MS, Kim KH, Choi JY, Kang KW, et al. Acupuncture for treating dry ey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cta Ophthalmol. 2010;88(8):328-33 .

23.

Che-Yi C, Wen CY, Min-Tsung K, Chiu-Ching H. Acupuncture in haemodialysis patients at the Quchi (LI11) acupoint for refractory uraemic pruritus. Nephrol Dial Transplant. 2005;20(9):1912-5 .

24.

Xu J, Lin R, Wang J, Wu Y, Wang Y, Zhang Y, et al. Effect of acupuncture anesthesia on acne vulgaris of pricking-bloodletting cupping: a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ail. J Tradit Chin Med. 2013;33(6):752-6 .

25.

Wang Z, Yi T, Long M, Gao Y, Cao C, Huang C.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 Acupoint (ST36) Suppresses Inflammation i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Via Triggering Local IL-10 Production and Inhibiting p38 MAPK Activation. Inflammation. 2017;40 (4):1351-64 .

26.

Jung DL, Lee SD, Choi IH, Na HS, Hong SU.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capsaicin-induced model of atopic dermatitis in rats. J Dermatol Sci. 2014;74(1):23-30 .

27.

Jeon MK, Kim JH, Byun KW, Do JW, Kim KS, Sohn IC.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at LU10 on Abdominal Thermography of Health Subject. Korean J of Acupuncture. 2003;20(2):1-20 .

28.

Kim DH. Hwangjenaegyung(Youngchu). Seoul:Euisungdang. 2002 .

29.

Yang GJ. Chimgudaesung. Seoul:Ilchuiwuljang. 2016 .

30.

Huang H, Zhong Z, Chen J, Huang Y, Luo J. Effect of acupuncture at HT7 on heart rate variability: an exploratory study. Acupunct Med. 2015;33(1):30-5 .

31.

Magden ER, Sleeper MM, Buchi SJ, Jones RA, Thiele EJ, Wilkerson GK. Use of an Implantable Loop Recorder in a Chimpanzee (Pan troglodytes) to Monitor Cardiac Arrhythmias and Assess the Effects of Acupuncture and Laser Therapy. Comp Med. 2016;66(1):52-8 .

32.

Cai RL, Hu L, Zhou YP, Wu ZJ, Wang KM, Tang XM, et al.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f "Shenmen" (HT 7) and "Zhizheng" (SI 7) on cardiac function and electrical activities of cardiac sympathetic nerve in acute myocardial ischemia rabbits. Zhen Ci Yan Jiu. 2007; 32(4):243-6 .

33.

Li LX, Tian G, He J. The standardization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radiation-induced xerostomia: A literature review. Chin J Integr Med. 2016;22(7):549-54 .

34.

Çevik Cemal, Íseri, Sevgin Özlem. The Effect of Acupuncture on High Blood Pressure of Patients Using Antihypertensive Drugs. Acupunture Electro Ther Res. 2013;38 (1/2):1-15 .

35.

Chen NY, Zhou Y, Dong Q, Zhou CX. Observation on therapeutic effect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German hypertension patients. Zhen Ci Yan Jiu. 2010;35(6):462-6 .

36.

Han JB, Kim CW, Sun B, Kim SK, Lee MG, Park DS, et al. The antipruritic effect of acupuncture on serotonin-evoked itch in rats. Acupunct Electrother Res. 2008;33 (3-4):145-56 .

37.

Wang H, Xie Y, Zhang Q, Xu N, Zhong H, Dong H, et al. Transcutaneous electric acupoint stimulation reduces intra-operative remifentanil consumption and alleviates postoperative side-effects in patients undergoing sinusotomy: a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BR J ANAESTH. 2014;112(6):1075-82 .

38.

Tsai KS, Chen YH, Chen HY, Shen EY, Lee YC, Shen JL, et al. Antipruritic effect of cold stimulation at the Quchi acupoint (LI11) in mic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14:341 .

39.

Sur B, Lee B, Yeom M, Hong JH, Kwon S, Kim ST, et al. Bee venom acupuncture alleviates trimellitic anhydrid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mic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6;16:38 .

40.

Jang GB. Yougyungdoik. Seoul:Iljungsa. 1992 .

41.

She YF, Zhu J, Ma LX, Xie JP, Li CH, Yuan HW. Analysis on relevance between regional acupoint skin temperature and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healthy female volunteers during menstruation. Zhen Ci Yan Jiu. 2012;37(2):145-50 .

42.

Yin Y, Zhou XY, Wang YS, Song LJ, Duan YQ. Observation of therapeutic effect on perineal, crissal and progenital pruritus treated with acupuncture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Zhongguo Zhen Jiu. 2011; 31(5):409-12 .

43.

Kilic Akca Nazan, Tasci Sultan, Karatas Nimet. Effect of acupressure on patients in Turkey receiving hemodialysis treatment for uremic pruritus. Altern Ther Health Med. 2013;19(5):12-8 .

44.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Text of Traditional Korean Dermatology & Surgery. Busan:Sunwo. 2007:355-6 .

4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MCPG - Atopic Dermatitis. Seoul:Elsvier Korea L.L.C. 2015:26 .

46.

The Text Complication Committee of Meridians & Acupoints Association. Principles of Merdians & Acupoints;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5thed,Wonju;Euibang.2010 .

Appendices

Appendix 1
Appendix 1. ‘아토피 피부염’으로 검색한 결과(Group 1)
Author Title References Herbal Medicine
1 Kim KJ(2014) Oral Administration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in Balb/c Mice Sensitized by Ovalbumin 2014;27(3):72-83 HM-A*,B**
2 Eo KJ(2009) The Anti-allergy Effects of Injinho-tang on the RBL-2H3 cells 2009;22(1):89-99 茵蔯蒿湯
3 Hwang CH(2008) Effects of Galgeunhaegitang-gamibang Administration along with Samhwangseze-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of NC/Nga Mice 2008;21(2):1-18 葛根解肌湯加味方
4 Hwang CH(2008) Effects of Galgeunhaegitang-gamibang Administration along with Samhwangseze-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of NC/Nga Mice 2008;21(2):1-18 三黃洗劑加味方
5 Kim SH(2006) Effects of Tang-gwi-eum-za-gagambang along with External Spray Therapy on the Spontaneously Occurring Atopic Dermatitis Development in NC/Nga Mouse 2006;18(1):27-49 當歸飮子加味方
6 Son JM(2007) The Effects of Bangpungtongsungsan Extract to the Skin Damage on Mice Model after Atopic Dermatitis Elicitation 2007;20(1):99-114 防風通聖散
7 Yun CS(2010) The Effects of Samulsopungeum and Prednisolone on NC/Nga Atopic Mice 2010;23(1):59-74 四物消風飮
8 Kim JS(2017) Effects of SaengRyo-SaMul-tang on Atopic Dermatitis Induced by DNCB in Mice 2017;30(1):87-105 生料四物湯
9 Moon H(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aengmaeksan and Saengmaeksan-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ouse 2012;25(1):33-54 生脈散
10 Moon H(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aengmaeksan and Saengmaeksan-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ouse 2012;25(1):33-54 生脈散加味方
11 Lee HW(2003) The Effect of Saingheylyunbooeumgami Extract to Recover Function of Stratum Corneum on Mice Model after Atopic Dermatitis Elicitation 2003;16(1):112-29 生血潤膚飮加味方
12 Ryu JC(2009) Effect of Sopung-san Extracts on the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of Wistar Rats (Type I Allergic Dermatitis) 2009;22(3):1-10 消風散
13 Min YG(2005) Effects of Sopoongsangagambang Administration along with External Spray Treatment on Atopic Dermatitis Development in NC/Nga Mice 2005;18(1):116-34 消風散加減方
14 Park ES(2003) The Effect of Sopungchengyoungtanggami-bang Extract to Recover Function of Stratum Corneum on Mice Model after Atopic Dermatitis Elicitation 2003;16(3):96-115 消風淸營湯
15 Yoo JG(2007) The Experimental Study of Yeouigeumhwang-san on Antioxidant Effects 2007;20(2):102-7 如意金黃散
16 Cho JH(2009) The Effects of Yukmijihwang-tang on Atopic Dermatitis of NC/Nga Mouse 2009;22(1):120-32 六味地黃湯
17 Nam HJ(2000)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s of Leejungtang and Leejungtanggamibang 2000;13(1):60-77 理中湯
18 Nam HJ(2000)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s of Leejungtang and Leejungtanggamibang 2000;13(1):60-77 理中湯加味方
19 Ku YH(2007) Therapeutic Effects of Cheonggisan Extract on Th2 cell differentiation and NF-B p65 activation 2007;20(3):63-70 淸肌散
20 Weon YH(2011) Effect of Taklisodok-um and hwangryunhaedok-tang on Atopic Dermatitis 2011;24(1):121-41 托裏消毒飮 合 黃連解毒湯
21 Jung UR(2011) The Effects of Pyeongwi-san-gamibang on NC/Nga mice with atopic dermatitis 2011;24(2):16-27 平胃散加味方

* HM-A : 魚腥草, 覆盆子, 生地黃, 樺皮 복합 추출물

** HM-B : 魚腥草, 覆盆子, 生地黃, 當歸 복합 추출물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2
Appendix 2. ‘항알러지,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아나필락시스’로 검색한 결과(Group 2)
Author Title References Herbal Medicine
1 Park MC(2008) The Effects of Sunbanghwalmyung-eum Extract on Anti-oxidant,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ability in mouse cell 2008;21(2):46-53 仙方活命飮
2 Lee SM(2007) The Effects of Taglisodog-eum Extract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bility in mouse cell 2007;20(3):43-50 托裏消毒飮
3 Moon YH(2001) Inhibitory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Alleric Reaction by Anal Therapy of Gamiseunggal-tang 2001;14(1):117-28 加味升葛湯
4 Tsung PY Effect of Gamiokyaek-tang on Immediate Type Hypersensitivity 2006;19(3):13-21 加味玉液湯
Effect of Gamiokyaek-tang on Allergic Reaction 2007;20(1):38-50
5 Lim IH(2010) Anti-inflammaory effects of the Gamroeum in vivo and in vitro 2010;23(2):13-26 甘露飮
6 Lee YS(2015)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Remedy Prescripted with Lonicera japonica and Scutellaria baicalensis Radix in U937 cells 2015;28(3):1-13 金銀花와 黃芩 추출물
7 Son DB(2005) A Study on the Anti-microbacterial Activity,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f mixture of Rheum coreanum Scutelleria baikalensis Phellodenron amurense 2005;18(1):154-71 大黃, 黃芩, 黃柏 복합 추출물
8 Hwang JM(2015) Studies on Immunoregulatory Effects of Bowon-tang in the Immune Cells 2015;28(4):92-110 保元湯
9 Lee SH(2015) Effect of Sagunja-tang on Immune Function of Mouse Immune Cells 2015;28(3):14-29 四君子湯
10 Yeon CH(2004) Effects of SaMulTangGamibang(SMTG) on the Inflammatory Reactions 2004;17(3):18-25 四物湯加味方
11 Jung SY(2009) The Effects of Samhwangseje on Anti-Inflammation in Raw 264.7 cell 2009;22(1):108-19 三黃洗劑
12 Seo HS(2000) The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Allergy by SoPungSan 2000;13(1):22-9 消風散
13 Song SP(2004)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eungmagalgeuntanggamibang(SMG) 2004;17(2):12-30 升麻葛根湯
14 Choi EK(2004) Effects of YongdamSaganTangGamibang(YSTG) on the Inflammatory Reactions 2004;17(2):39-47 龍膽瀉肝湯加味方
15 Jeon SA(2017) Antibiotic,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Jwa Kum-Whan and Soo Ryeon-Whan 2017;30(2):100-11 左金丸
16 Jeon SA(2017) Antibiotic,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Jwa Kum-Whan and Soo Ryeon-Whan 2017;30(2):100-11 茱連丸
17 Lee JB(2001) Antianaphylactic Effect of Sinpo-tang by Anal Therapy 2001;14(1):240-7 薪浦湯
18 Lim YW(2007) Inhibitory Effects of Hwanggigunjung-tang on the secretion of PGE2, NO and Cytokines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l Cells 2007;20(2):116-31 黃芪健中湯
19 Yang HJ(2011)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wangnyeonhaedok-tang and Fermented Hwangnyeonhaedok-tang 2011;24(2):1-15 黃連解毒湯
20 Ahn JH(2004)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eiShuHuangLianTang In Experi-mental Animals 2004;17(3):8-17 內疎黃連湯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3
Appendix 3. ‘피부염’으로 검색한 결과(Group 3)
Author Title References Herbal Medicine
1 Hong SH(2007) The effects of Ohbaesangami(OBSGM) on the mucosa and skin diseases 2007;20(2):10-35 五倍散加味
2 Kim SH(2010)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Bojeasodok-um subtracted Scrophulariae Radix, Lasiosphaera seu Calvatia, Isatidis Radix added indigo Naturalis, Lithospermi Radix 2010;23(3):1-10 普濟消毒飮加減方
3 Yang TK(200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s, anti-inflammatory action, anti-pyretic action and analgesic action of Galgeun-tang, Gamigalgeun-tang and Geomahwanggalgeun-tang 2002;15(1):76-95 葛根湯
4 Lee JS(2001) The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 of SoPungSan-Gami 2001;14(2):9-20 消風散加味
5 Jun SK(2006)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eunggaltang(升葛湯) in the BV2 cells 2006;19(2):118-29 升葛湯
6 Yim HS(2000) The Experimental Study of Gagambipachungpe-Eum on Acne 2000;13(1):1-21 加減枇杷淸肺飮
7 Seo ES(2008) Experimental study of Gagam-Cheongsang BangPungTang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2008;21(2):54-70 加減淸上防風湯
8 Tak MJ(2010) The Inhibitory Effects of Yang Geouk San Hwa-Tang on LPS-stimulated inflammation in RAW264.7 macrophage cells 2010;23(1):118-34 凉膈散火湯
9 Yoo JG(2007) The Effects of yeouigeumhwang-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2007;20(2):77-88 如意金黃散
10 Kim SB(2002) Effect of the addition temperament drugs of Yeongyopaedock-san(連翹敗毒散) on acne in the state of inflammation 2002;15(1):50-62 連翹敗毒散
11 Seo HS(2010) The Comparative Study of Anti-inflammation and Anti-oxidation in Accodance with Extraction Solvents of Jeondo-san 2010;23(2):69-80 顚倒散
Choi KH(2007) The Effects of Jeondo-san on Anti-Inflammation and Anti-Propionibacterium acnes 2007;20(2):89-101
12 Hong SH(2002) The Study On The Effect Of Chungsang bangpungtang and Lonicerae Flos, Coicis Semen (CBTLC) On Acnes 2002;15(1):315-35 淸上防風湯加味
13 Kim SH(2010) The Effects of Gyejijakyakjimo-Tang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DNCB 2010;23(1):8-22 桂枝芍藥知母湯
14 Kim JJ(2009) The effects of Naetakchunkeum-san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duced by DNCB 2009;22(1):46-61 內托千金散
15 Kim YB(2005) Effects of Chogam-Tang on Rat Skin Induced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2005;18(3):44-54 椒甘湯
16 Park YG(2016) Effects of Bojungikgi-tang on Trimellitic Anhydride-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in BALB/c Mice 2016;29(1):16-32 補中益氣湯
17 Nam BS(2005) The Effects of Sanpunggosamhwan on the Allergic Contanct Dermatitis 2005;18(2):10-27 散風苦蔘丸
18 Kim CH(2005) The Effects of Yanghyulsamultanggamibang to Allergic Contact Dermatitis 2005;18(1):13-26 凉血四物湯加味方
19 Kim NH(2006)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ooBangHaeGiTang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2006;19(2):59-70 牛蒡解肌湯
20 Jeon YK(2016) Effects of Haedoksamul-tang on Trimellitic Anhydride-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in a Mouse Model 2016;29(2):65-81 解毒四物湯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4
Appendix 4. 常用 本草와 經穴의 配伍
1. 解表 3. 瀉下 4. 芳香化濕
1) 發散風寒
① 防風 - 束骨(BL65)
② 荊芥 - 列缺(LU7)
③ 白芷 - 內庭(ST44)
④ 桂枝 - 崑崙(BL60)
⑤ 生薑 - 尺澤(LU5)
2) 發散風熱
① 薄荷 - 魚際(LU10)
② 蟬退 - 陽鷄(LI5)
③ 升麻 - 曲池(LI11)
④ 柴胡 - 行間(LR2)
⑤ 葛根 - 足三里(ST36)
⑥ 牛蒡子 - 魚際(LU10)

1) 功下

① 大黃 - 足三里(ST36)

① 蒼朮 - 陰陵泉(SP9)
② 厚朴 - 太白(SP3)
5. 利水滲濕 6. 理氣
① 赤茯苓 - 少府(HT8)
② 木通 - 少府(HT8)
① 陳皮 - 公孫(SP4)
② 枳殼 - 公孫(SP4)
7. 活血祛瘀 8. 淸化熱痰
① 川芎 - 足臨泣(GB41) ① 桔梗 - 經渠(LU8)
2. 淸熱 9. 補氣 10. 補血
1) 淸熱瀉火
① 梔子 - 神門(HT7)
② 瓜蔞根 - 少商(LU11)
③ 知母 - 復留(KI7)
④ 石膏 - 合谷(LI4)
2) 淸熱燥濕
① 黃芩 - 曲池(LI11)
② 黃連 - 足三里(ST36)
③ 黃柏 - 委中(BL40)
④ 苦蔘 - 蠡溝(LR5)
① 甘草 - 百會(GV20)
② 黃芪 - 太淵(LU9)
③ 人蔘 - 太淵(LU9)
④ 白朮 - 足三里(ST36)
① 當歸 - 三陰交(SP6)
② 白芍藥 - 太衝(LR3)
3) 淸熱凉血
① 生地黃 - 行間(LR2)
② 赤芍藥 - 中都(LR6)
4) 淸熱解毒
① 連翹 - 少海(HT8)
② 金銀花 - 尺澤(LU5)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5
Appendix 5. 常用 本草의 歸經 빈도
歸經 빈도
手太陰肺經 23
手陽明大腸經 9
足陽明胃經 18
足太陰脾經 16
手少陰心經 13
手太陽小腸經 2
足太陽膀胱經 6
足少陰腎經 3
手厥陰心包經 2
手少陽三焦經 1
足少陽膽經 5
足厥陰肝經 15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6
Appendix 6. 常用 本草와 配伍된 經絡과 經穴의 빈도
手太陰肺經 列缺 尺澤 魚際 少商 經渠 太淵
(LU7) (LU5) (LU10) (LU11) (LU8) (LU9)
1 2 2 1 1 2
手陽明大腸經 陽谿 曲池 合谷
(LI5) (LI11) (LI4)
1 2 1
足陽明胃經 內庭 足三里
(ST44) (ST36)
1 4
足太陰脾經 陰陵泉 太白 公孫 三陰交
(SP9) (SP3) (SP4) (SP6)
1 1 2 1
手少陰心經 神門 少海 少府
(HT7) (HT3) (HT8)
1 1 2
足太陽膀胱經 束骨 崑崙 委中
(BL65) (BL60) (BL40)
1 1 1
足少陰腎經 復溜
(KI7)
1
足少陽膽經 足臨泣
(GB41)
1
足厥陰肝經 行間 蠡溝 中都 太衝
(LR2) (LR5) (LR6) (LR3)
2 1 1 1
督脈 百會
(GV20)
1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7
Appendix 7. 五輸穴의 운용과 빈도
經穴 빈도
少商(LU11) 1
魚際(LU10), 內庭(ST44), 少府(HT8), 行間(LR2) 7
太淵(LU9), 太白(SP3), 神門(HT7), 束骨(BL65), 7
足臨泣(GB41), 太衝(LR3)
經渠(LU8), 陽谿(LI5), 崑崙(BL60), 復溜(KI7) 4
尺澤(LU5), 曲池(LI11), 足三里(ST36), 陰陵泉(SP9), 11
少海(HT3), 委中(BL40)
Download Excel Table
Appendix 8
Appendix 8. 五輸穴을 제외한 特定穴의 운용과 빈도
經穴 빈도
合谷(LI4), 太白(SP3), 神門(HT7), 太衝(LR3) 4
列缺(LU7), 公孫(SP4), 蠡溝(LR5) 4
中都(LR6) 1
그 외 三陰交(SP6), 百會(GV20) 2
Download Excel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