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Article / 종설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의과·한의과 의료 이용 현황 분석 : 2010-2016년 청구 데이터 분석

류지인1https://orcid.org/0000-0001-9763-5413, 김정훈2https://orcid.org/0000-0002-6263-6309, 강채영3https://orcid.org/0000-0001-8587-7765, 황진섭4,*https://orcid.org/0000-0002-3805-1546, 이동효5,*https://orcid.org/0000-0002-4503-9270
Ji-In Ryu1https://orcid.org/0000-0001-9763-5413, Jeong-Hun Kim2https://orcid.org/0000-0002-6263-6309, Chae-Yeong Kang3https://orcid.org/0000-0001-8587-7765, Jin-Seub Hwang4,*https://orcid.org/0000-0002-3805-1546, Dong-Hyo Lee5,*https://orcid.org/0000-0002-4503-9270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한양대학교 의학연구지원센터 의학통계지원실(석사)
2우석대학교 근거중심보건의료연구협력센터(연구원)
3대구대학교 통계학과(석사)
4대구대학교 수리빅데이터학부(교수)
5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교수)
1Biostatistical Consulting and Research Lab, Medical Research Collaborating Center, Hanyang University
2Evidence-based Healthcare Research Collaborating Center, Woosuk University
3Department of Statistics, Daegu University
4Division of Mathematics and big data science, Daegu University
5Department of Op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Jin-Seub Hwang, Division of Mathematics and big data science, Daegu University, Gyeongbuk, 38453, Korea. (Tel : 053-850-6420, E-mail : hjs0409@daegu.ac.kr).
*Corresponding author : Dong-Hyo Lee, Department of Opthalmology,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46, Eoeun-ro, Wansan-gu, Jeonju-si, Jeollabuk-do, 54987, Korea. (Tel : 063-220-8611, drleedh@naver.com)

© 202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ShareAlike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pr 02, 2021 ; Revised: Apr 23, 2021 ; Accepted: Apr 30, 2021

Published Online: May 31, 2021

Abstract

Objectives : Allergic rhinitis(AR) is a common chronic disease that accounts for 10-40% of the world's 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claims, prevalence, and medical utilization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using representative patients sample data.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Patients Sample(HIRA-NPS)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or 7 years(2010-2016). And we defined AR patients as all statements including J30 or a subcategory of J30 as the main disease, using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KCD-7). The trend of AR patients by year was divided into Western medicine(WM) and Korean medicine(KM), and analyzed by subgroup analysis such as inpatient/outpatient, gender, age, insurance type, and care institution.

Results : Patients with AR were mainly claimed for first sub diagnosis in WM and major diagnosis in KM, and the number of claims increased about 1.3 times and 1.4 times compared to 2010 in WM and K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otal annual medical expenses in 2016 increased 1.3 times and 1.7 times compared to 2010, respectively.

Conclusions : Both WM and KM are showing a steadily increasing trend in medical use due to allergic rhinitis. Further research is needed by considering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linking with additional data.

Keywords: Allergic rhinitis; HIRA-NPS; Claims data; Western medicine; Korean medicine

Ⅰ. 서 론

알레르기 비염은 비점막의 염증으로 맑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가려움증 중 2가지 이상의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1-3). 전 세계 인구의 10-40%를 차지할 만큼 흔한 만성 질환으로4) 장기간 지속될 경우 피로, 집중력 감소, 수면 장애, 업무 장애 등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온다5,6).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7)에서 제공하는 다빈도 질병(외래) 통계에서 2017년 기준 질병코드 J30(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은 의과의 경우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의과의 경우 19위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진료 인원과 진료비에서는 의과의 경우 2010년 5,564,179명, 약 1,649억 원에서 2017년 6,835,565명, 약 2,603억 원으로 증가하였고, 한의과의 경우 2010년 111,890명, 75억 원에서 2017년 147,964명, 약 151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국내 이차 자료원을 활용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7년 전체 환자 데이터셋(HIRA-NPS) 자료를 토대로 급·만성 기관지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의 국내 의료 이용 현황 분석을 보고한 연구8)가 있었으며, 2011년 한국과 대만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 DB(National Health Insurance cohort database)를 이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전통 의학 의료 이용 현황을 비교 분석한 사례가 있었다9).

본 연구에서는 7년간(2010-2016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을 기반으로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의과·한의과 의료 이용 현황을 살펴보고, 알레르기 비염 질환의 예방 관리 및 이차 자료원 활용 성과 연구(Outcomes research)를 위한 기초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자료원

국내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청구 현황, 유병률 및 의료 이용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청구 자료를 활용하였다. 건강보험 청구 자료는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한 후 국민건강보험이 부담하는 비용을 심평원에 청구함으로써 생성된 자료로10), 진단명, 진료 내역, 환자 인구 특성, 환자 부담금, 보험자 지급 비용, 요양기관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환자 추출 비율 3%(약 140만 명)인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ational Patients Sample, HIRA-NPS)을 활용하였다7).

2. 연구 대상

한국 표준질병사인분류(KCD-7) 기준으로 진단 코드가 J30(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에 해당하는 모든 명세서를 대상으로 하였고, J30의 하위 상병(J30.0, J30.1, J30.2, J30.3, J30.4)을 포함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심평원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을 활용하여,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 분석의 경우 주상병 또는 모든 부상병에서 해당 진단 코드가 있는 모든 명세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청구 현황, 유병률 및 의료 이용 현황 분석의 경우 주상병만을 고려하였다. 연구 대상의 선정 과정은 아래 그림과 같다(Fig. 1). 본 연구는 우석대학교 부속 한방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승인번호 H-1709-02).

jkmood-34-2-21-g1
Fig. 1. Flow Chart for Selecting the Study Sample(2016)
Download Original Figure
3. 분석 방법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에서 명세서 일반 내역(200 Table), 상병 내역(400 Table), 원외 처방 내역(530 Table), 요양기관 현황 정보(YKIH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훈 대상자, 서면 청구, 포괄수가(Diagnosis Related Group, DRG), 약국과 조산원은 제외하였으며, 심결요양급여비용총액의 비용이 ‘0’원인 명세서는 중복 또는 삭감 청구로 가정하고 본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연령은 10세 미만의 경우 5세 단위, 10세 이상의 경우 10세 단위로 구분하였고, 보험자 종별 구분은 건강보험, 의료급여로 하였다. 의과, 한의과의 방문과 입원/외래를 구분하기 위해 서식 구분 코드를 이용하였다.

요양기관 대체키가 중복인 경우에는 최종 청구월이 빠른 요양기관 대체키를 선택하였고, 요양기관 종별 변수의 경우 19개로 구분된 항목 중 정신요양병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모자보건센터, 보건의료원, 한약방은 ‘기타’로 재범주화 하였다. 시도의 경우 ‘세종’은 ‘충남’으로 분류해 16개 시도로 구분하였다.

유병률 분석 시 동일 환자의 당일 명세서가 2건 이상인 경우에는 요양기관, 시도, 외래 진료 순으로 우선 순위를 두어 중복 명세서를 제거하였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의료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간 의료비 총액에 원외 처방 약제비를 포함하였고, 일부 고비용 환자들에 의해 의료 비용 평균값이 과대 추정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관찰 기간인 1년 동안 주상병 또는 부상병 전체에 암(C*,D*), 뇌내출혈(I60-I62), 뇌경색증(I63), 출혈 또는 경색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중(I64), 기타 뇌혈관 질환(I65-I69), 신부전증(N17-N19)으로 한 번이라도 방문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은 확률 표본 설계에 의해 수집된 자료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자료에서 제공되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 분석은 SAS program version 9.4(SAS Institute, Inc., Cary, NC)를 사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알레르기 비염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 분석

7년간(2010-2016년)의 심평원 자료를 이용한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를 의과, 한의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의과의 경우 2순위인 제 1부상병의 비율이 40.41%로 가장 높은 반면, 한의과의 경우 1순위인 주상병이 78.44%로 높게 나타나 청구 상병 순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Table 1).

Table 1. Top 10 Most Commonly Used Insurance Claims in Allergic Rhinitis(2016) (Unit: N, weighted %)
Rank Total *WM **KM
Total N 3,947,013 3,918,648 28,365
% 100.00 100.00 100.00
1 N 520,846 498,596 22,250
% 13.20 12.72 78.44
2 N 1,587,979 1,583,497 4,482
% 40.23 40.41 15.80
3 N 978,478 977,329 1,149
% 24.79 24.94 4.05
4 N 432,867 432,518 349
% 10.97 11.04 1.23
5 N 192,266 192,191 75
% 4.87 4.90 0.26
6 N 90,341 90,306 35
% 2.29 2.30 0.12
7 N 47,436 47,425 11
% 1.20 1.21 0.04
8 N 29,792 29,786 6
% 0.75 0.76 0.02
9 N 19,862 19,856 6
% 0.50 0.51 0.02
10 N 12,963 12,962 1
% 0.33 0.33 0.00

* WM : Western Medicine,

** KM : Korean Medicine

Download Excel Table
2.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청구 현황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의과, 한의과 청구 현황(2010 vs 2016)을 비교분석한 결과(Table 2), 의과, 한의과의 전체 명세서 건수는 2010년 대비 2016년, 각각 약 1.3배, 약 1.4배 증가하였다. 의과와 한의과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외래가 99% 이상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의 경우 의과는 10대에서, 한의과는 10대-30대에서 감소를 나타냈다. 의과와 한의과 모두 건강보험 가입자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요양기관의 경우 의원과 한의원이 청구 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0년 대비 2016년 각각 약 1.3배, 약1.4배 증가를 보였다.

Table 2. Insurance Claims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Depending o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2010 vs. 2016) (Unit: N, weighted %)
Classification 2010 2016
*WM **KM *WM **KM
N % N % N % N %
Total 379,231 100.00 16,333 100.00 498,596 100.00 22,250 100.00
Treatment Type Inpatient 210 0.06 4 0.02 270 0.05
Outpatient 379,021 99.94 16,329 99.98 498,326 99.95 22,250 100.00
Gender Male 176,887 46.64 9,344 57.21 239,972 48.13 12,404 55.75
Female 202,344 53.36 6,989 42.79 258,624 51.87 9,846 44.25
Age 0-4 years 59,288 15.63 1,897 11.61 113,565 22.78 5,717 25.69
5-9 years 50,835 13.40 4,377 26.80 76,106 15.26 6,542 29.40
10-19 years 59,509 15.69 4,309 26.38 57,014 11.44 3,893 17.50
20-29 years 32,700 8.62 1,120 6.86 33,279 6.67 1,021 4.59
30-39 years 50,279 13.26 1,614 9.88 53,422 10.71 1,296 5.82
40-49 years 45,055 11.88 1,277 7.82 51,692 10.37 1,527 6.86
50-59 years 36,440 9.61 899 5.50 46,989 9.42 1,048 4.71
60-69 years 25,158 6.63 504 3.09 34,814 6.98 724 3.25
70-79 years 16,499 4.35 301 1.84 23,997 4.81 372 1.67
80-89 years 3,325 0.88 35 0.21 7,224 1.45 76 0.34
90-99 years 142 0.04 491 0.10 34 0.15
≥100 years 1 0.00 3 0.00
Insurance Type Health Insurance 365,480 96.37 15,965 97.75 483,765 97.03 21,937 98.59
Medical Benefits 13,751 3.63 368 2.25 14,831 2.97 313 1.41
Care Institution Advanced General Hospital 4,311 1.14 3,144 0.63
General Hospital 9,221 2.43 2 0.01 13,628 2.73 8 0.04
Hospital 10,790 2.85 33,876 6.79 8 0.04
Convalescent Hospital 372 0.10 10 0.06 513 0.10 10 0.04
Clinic 352,440 92.94 445,234 89.30
KM Hospital 8 0.00 202 1.24 138 0.03 380 1.71
KM Clinic 15,965 97.75 21,834 98.13
Other 2,089 0.55 154 0.94 2,063 0.41 10 0.04
Missing
City Seoul 76,756 20.24 3,561 21.80 91,746 18.40 4,315 19.39
Busan 26,533 7.00 1,583 9.69 30,346 6.09 1,458 6.55
Incheon 21,261 5.61 444 2.72 31,877 6.39 1,207 5.42
Daegu 19,163 5.05 958 5.87 25,001 5.01 980 4.40
Gwangju 10,018 2.64 713 4.37 13,984 2.80 788 3.54
Daejeon 13,722 3.62 791 4.84 15,559 3.12 964 4.33
Ulsan 8,695 2.29 443 2.71 11,664 2.34 663 2.98
Gyeonghi 91,389 24.10 4,136 25.32 134,773 27.03 6,115 27.48
Gangwon 8,749 2.31 163 1.00 12,601 2.53 518 2.33
Chungbuk 9,582 2.53 385 2.36 13,589 2.73 485 2.18
Chungnam 15,839 4.18 404 2.47 24,907 5.00 928 4.17
Jeonbuk 12,833 3.38 415 2.54 17,038 3.42 616 2.77
Jeonnam 13,375 3.53 425 2.60 14,073 2.82 285 1.28
Gyeongbuk 17,741 4.68 755 4.62 21,564 4.32 745 3.35
Gyeongnam 27,690 7.30 998 6.11 32,691 6.56 2,030 9.12
Jeju 5,885 1.55 159 0.97 7,183 1.44 153 0.69
Missing

* WM : Western Medicine

** KM : Korean Medicine

Download Excel Table
3.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 분석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의 연도별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령 표준화 유병률(인구 10만 명당)과 주민등록 연앙 인구의 전년도 대비 증가율을 의과, 한의과로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Fig. 2). 의과의 경우 2016년 6.87%, 한의과의 경우 2014년 15.43%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jkmood-34-2-21-g2
Fig. 2. Age-standardized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by Year(Increased Rat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ownload Original Figure

2010년과 2016년 의과, 한의과의 10만 명당 유병률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Table 3), 의과와 한의과의 전체 유병률은 2010년 대비 각각 약 1.2배, 약 1.3배 증가하였다. 의과보다 한의과의 상승폭이 더 높았고, 의과와 한의과 외래 모두 증가하였다. 의과는 여성의 유병률이 높은 반면 한의과는 남성이 높았고, 의과와 한의과 모두 남성의 유병률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나 타났다. 의과, 한의과 모두 대체적으로 10세 미만에서 유병률 상승이 높았으나, 한의과의 유병률 상승이 더 높았다. 지역의 경우 의과는 충남, 한의과는 강원에서 유병률 상승이 가장 높았다.

Table 3. Prevalence in Allergic Rhinitis Patients Depending o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2010 vs. 2016) (Unit: person)
Classification 2010 2016
*WM **KM *WM **KM
N Prevalence
(per100,000)
N Prevalence
(per100,000)
N Prevalence
(per100,000)
N Prevalence
(per100,000)
Total 168,673 12,907 2,909 3,187 206,695 15,007 3,628 4,027
Treatment Type Inpatient 140 725 2 406 150 577
Outpatient 168,533 13,089 2,907 3,202 206,545 15,284 3,628 4,073
Gender Male 76,274 12,007 1,543 3,601 95,891 14,211 1,976 4,783
Female 92,399 13,757 1,366 2,820 110,804 15,770 1,652 3,387
Age Mean(SE) 30.60(0.05) 21.77(0.35) 31.67(0.05) 20.55(0.32)
Median(IQR) 29.04(10.33-46.29) 13.17(6.23-34.40) 30.62(8.66-49.43) 11.16(4.75-.33.48)
0-4 years 19,689 25,343 407 43,068 29,946 39,101 752 76,347
5-9 years 17,893 24,028 654 46,649 23,049 34,455 845 73,542
10-19 years 27,668 15,518 670 10,086 26,820 17,775 679 13,583
20-29 years 18,984 10,834 281 2,294 19,843 11,311 289 2,823
30-39 years 25,897 12,487 324 1,773 28,219 14,227 349 2,352
40-49 years 22,242 10,235 262 1,214 26,176 11,637 307 1,644
50-59 years 17,208 9,940 166 1,087 23,162 10,478 233 1,297
60-69 years 11,077 9,979 89 1,039 16,402 11,764 103 936
70-79 years 6,587 9,628 46 907 9,934 11,561 59 772
80-89 years 1,356 6,270 10 844 2,939 8,749 10 417
90-99 years 71 3,097 203 4,810 2 1,047
≥100 years 1 4,714 2 4,467 0
City Seoul 33,557 11,614 692 3,201 39,285 13,220 754 3,770
Busan 11,556 12,408 216 3,208 12,723 13,430 267 4,293
Incheon 9,404 13,889 107 2,566 12,368 16,853 161 3,592
Daegu 8,339 12,244 174 3,363 9,843 13,981 201 4,111
Gwangju 4,926 12,036 116 4,179 6,078 13,963 97 3,238
Daejeon 5,855 14,132 118 3,681 6,896 15,569 176 5,260
Ulsan 4,131 14,011 60 3,128 5,144 16,237 101 5,164
Gyeonghi 40,491 14,082 726 3,823 53,344 16,743 931 4,785
Gangwon 4,107 10,644 37 1,410 5,454 13,774 72 2,818
Chungbuk 4,438 11,307 90 2,968 5,511 13,453 91 3,002
Chungnam 6,723 12,978 70 1,940 9,750 16,929 131 3,191
Jeonbuk 5,975 12,257 103 3,214 7,160 14,572 134 3,983
Jeonnam 6,160 13,119 68 2,351 6,378 13,881 51 1,808
Gyeongbuk 8,148 12,370 139 2,858 9,307 14,123 129 2,776
Gyeongnam 12,404 14,821 164 2,990 14,417 16,430 294 5,657
Jeju 2,459 16,728 29 2,927 3,037 18,225 38 3,726
Missing

* WM : Western Medicine

** KM : Korean Medicine

Download Excel Table

2016년 표본자료 중 처음 방문한 병원을 기준으로 의과, 한의과를 구분하고, 처음 방문한 달의 환자 수를 %로 나타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Fig. 3). 의과와 한의과 모두 1월에 각각 15.08%, 2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7월에 4.13%, 5.07%로 가장 낮으며, 9월에 환자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jkmood-34-2-21-g3
Fig. 3. Monthly Allergic Rhinitis Patients Depending o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2016)
Download Original Figure
4. 알레르기 비염 유병환자의 의료 이용 현황

의과, 한의과 알레르기 비염 유병환자의 2010년과 2016년 연간 의료비 총액, 1인당 평균 의료비, 입내원 일수 및 요양 일수에 대한 1인당 평균 일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의과는 외래로 방문하는 환자가 대부분이었으며, 의료비 총액은 2010년 대비 약 1.3배(약 770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과는 2010년 대비 약 1.7배(약 49억 원) 증가하였다. 연령의 경우 의과는 2016년 기준 의료비 총액이 0-4세가 약 632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한의과는 5-9세가 약 36억 원으로 가장 높았다. 지역별 2016년 기준 의료비 총액은 의과, 한의과 모두 경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Medical Care Utilization of Prevalence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Depending on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2010 vs. 2016) (Unit: person, ten thousand won, won, days, days)
Classification 2010
*WM **KM
N Overall Medical Expenditure Per Person Medical Expenditure Median(IQR) Visit Days Recuperation Days N Overall Medical Expenditure Per Person Medical Expenditure Median(IQR) Visit Days Recuperation Days
Total 146,325 22,745,397 46,700 26,375
(16,654-49,860)
2.3 2.4 2,631 716,267 81,700 39,350
(19,980-94,030)
5.0 6.1
Treatment Type Inpatient 115 85,993 224,400 24,800
(8,490-349,771)
11.7 14.2 2 4,036 605,400 601,420
(601,420-609,240)
14.0 14.0
Outpatient 146,210 22,659,404 46,500 26,376
(16,657-49,845)
2.3 2.4 2,629 712,231 81,300 39,345
(19,980-93,968)
5.0 6.1
Gender Male 68,205 11,196,460 49,300 27,325
(16,860-52,402)
2.4 2.6 1,432 420,490 88,100 41,060
(20,270-98,604)
5.4 6.5
Female 78,120 11,548,937 44,400 25,550
(16,481-47,945)
2.3 2.3 1,199 295,777 74,100 37,302
(19,850-87,382)
4.5 5.5
Age 0-4 years 18,187 3,408,012 56,300 30,933
(16,508-64,502)
3.4 3.4 375 88,323 70,700 38,210
(18,510-87,450)
4.6 6.0
5-9 years 17,327 3,271,302 56,700 32,116
(17,176-63,824)
2.9 3.0 633 197,801 93,800 48,220
(20,340-113,470)
5.8 7.0
10-19 years 26,507 3,902,675 44,200 25,816
(16,480-47,976)
2.1 2.2 645 194,919 90,700 44,560
(20,600-106,798)
5.6 6.5
20-29 years 17,473 2,325,111 40,000 22,650
(16,531-41,170)
1.8 1.8 256 56,865 66,700 33,330
(20,530-71,000)
3.6 4.2
30-39 years 22,713 3,170,452 41,900 24,361
(16,750-44,530)
2.0 2.0 283 64,922 68,900 35,130
(19,180-76,270)
4.3 5.6
40-49 years 18,320 2,679,544 43,900 25,320
(16,920-46,985)
2.1 2.3 214 54,484 76,400 36,896
(20,640-86,665)
4.3 5.5
50-59 years 13,302 2,028,250 45,800 25,460
(16,708-47,707)
2.1 2.3 133 34,927 78,800 36,590
(21,010-96,310)
4.6 5.7
60-69 years 7,672 1,203,476 47,100 26,172
(16,270-49,701)
2.3 2.8 59 13,887 70,700 33,100
(18,520-77,210)
4.2 5.2
70-79 years 4,000 613,359 46,100 25,708
(15,905-48,284)
2.5 2.9 28 9,330 100,000 35,230
(19,850-89,700)
6.6 7.6
80-89 years 776 136,261 52,700 25,074
(15,584-49,732)
2.6 3.7 5 814 48,900 28,260
(26,980-69,840)
3.4 4.6
90-99 years 47 6,907 44,100 23,018
(15,770-37,285)
2.1 4.4
≥100 years 1 54 16,000 15,910
(15,910-15,910)
1.0 1.0
City Seoul 28,995 4,775,163 49,500 27,120
(16,630-52,199)
2.3 2.4 631 168,113 80,000 37,530
(19,780-86,665)
4.7 5.7
Busan 9,979 1,546,899 46,600 26,378
(16,642-49,112)
2.4 2.5 193 57,533 89,500 47,160
(21,430-99,404)
5.8 6.3
Incheon 8,335 1,295,574 46,700 26,858
(16,923-50,499)
2.3 2.4 98 20,563 63,000 37,450
(19,390-78,172)
3.6 4.8
Daegu 7,068 1,117,179 47,500 26,772
(16,745-49,824)
2.4 2.6 156 40,274 77,500 41,297
(20,600-92,460)
5.3 6.2
Gwangju 4,271 664,308 46,700 26,750
(16,474-50,220)
2.3 2.5 103 30,516 88,900 34,395
(18,650-79,362)
5.5 7.0
Daejeon 4,934 809,528 49,300 26,264
(17,115-50,910)
2.5 2.5 103 31,140 90,700 40,970
(21,010-111,720)
5.5 6.3
Ulsan 3,564 531,762 44,800 24,327
(16,242-46,561)
2.2 2.5 52 16,884 97,500 49,960
(19,000-92,917)
6.5 6.8
Gyeonghi 35,581 5,554,007 46,900 27,010
(16,785-51,247)
2.3 2.4 669 194,944 87,500 42,040
(20,600-107,140)
5.3 6.4
Gangwon 3,583 515,171 43,200 25,961
(16,810-48,260)
2.2 2.4 35 7,674 65,800 25,140
(16,910-84,800)
4.2 6.3
Chungbuk 3,791 565,483 44,800 25,869
(16,571-48,272)
2.3 2.4 82 16,250 59,500 29,910
(17,010-79,891)
3.6 4.9
Chungnam 5,861 936,525 48,000 26,240
(16,611-49,324)
2.5 2.7 63 14,754 70,300 30,370
(16,690-83,900)
4.2 4.8
Jeonbuk 5,116 744,333 43,700 23,431
(15,910-46,063)
2.2 2.4 95 21,844 69,000 29,577
(19,000-87,228)
3.8 4.9
Jeonnam 5,263 725,632 41,400 23,868
(16,066-44,482)
2.3 2.4 63 14,990 71,400 43,175
(19,180-93,110)
4.7 6.7
Gyeongbuk 6,962 1,022,243 44,100 25,125
(16,541-47,956)
2.3 2.6 113 30,365 80,700 37,603
(20,800-93,100)
5.6 6.5
Gyeongnam 10,865 1,602,445 44,300 26,134
(16,627-48,324)
2.4 2.5 147 43,637 89,100 47,460
(22,000-98,420)
5.6 6.8
Jeju 2,157 339,151 47,200 26,443
(16,880-49,841)
2.4 2.4 28 6,795 72,800 40,170
(19,230-57,470)
4.4 6.5
Missing

* WM : Western Medicine

** KM : Korean Medicine

Download Excel Table
(Unit: person, ten thousand won, won, days, days)
Classification 2016
*WM **KM
N Overall Medical Expenditure Per Person Medical Expenditure Median(IQR) Visit Days Recuperation Days N Overall Medical Expenditure Per Person Medical Expenditure Median(IQR) Visit Days Recuperation Days
Total 172,343 30,449,431 53,100 30,151
(19,496-57,420)
2.4 2.6 3,229 1,202,166 111,700 54,420
(26,940-129,290)
5.4 6.7
Treatment Type Inpatient 113 99,612 264,500 90,740
(16,282-459,520)
2.8 9.9
Outpatient 172,230 30,349,819 52,900 30,145
(19,497-57,376)
2.4 2.6 3,229 1,202,166 111,700 54,420
(26,940-129,290)
5.4 6.7
Gender Male 82,586 15,223,201 55,400 31,005
(19,779-59,916)
2.5 2.7 1,814 674,515 111,600 54,876
(27,110-131,330)
5.4 6.7
Female 89,757 15,226,231 50,900 29,353
(19,272-55,188)
2.4 2.4 1,415 527,652 111,900 53,440
(26,300-125,760)
5.4 6.7
Age 0-4 years 27,117 6,323,848 70,000 40,008
(20,205-84,051)
4.0 4.0 686 340,770 149,100 89,186
(38,600-195,784)
7.1 7.9
5-9 years 22,039 4,727,271 64,400 37,589
(20,372-76,618)
3.1 3.2 812 364,515 134,700 68,590
(29,490-163,800)
6.6 7.8
10-19 years 25,382 4,006,521 47,400 28,280
(19,105-51,250)
2.1 2.1 638 212,493 100,000 45,980
(24,950-106,270)
5.0 6.2
20-29 years 18,051 2,655,923 44,200 25,874
(19,285-45,069)
1.7 1.8 266 61,973 69,900 37,360
(23,230-71,730)
3.2 4.3
30-39 years 24,179 3,734,059 46,400 27,427
(19,729-48,885)
1.9 2.0 306 72,495 71,100 37,720
(24,920-71,940)
3.3 4.2
40-49 years 20,745 3,292,182 47,700 28,232
(19,861-51,230)
2.0 2.2 236 66,296 84,300 45,470
(26,290-87,650)
3.8 6.3
50-59 years 17,142 2,792,445 48,900 28,600
(19,511-52,654)
2.0 2.3 176 49,453 84,300 42,260
(23,670-98,790)
4.1 5.4
60-69 years 10,533 1,704,504 48,600 27,407
(18,565-51,624)
2.1 2.2 72 24,338 101,500 51,330
(29,630-115,770)
5.6 7.8
70-79 years 5,533 939,428 51,000 27,591
(17,614-52,423)
2.3 2.5 32 7,137 67,000 33,840
(24,140-97,040)
3.3 10.2
80-89 years 1,508 248,684 49,500 26,325
(17,350-50,927)
2.4 2.9 3 226 22,600 15,150
(14,830-37,690)
1.0 2.0
90-99 years 112 24,370 65,300 26,928
(18,124-63,620)
2.3 5.4 2 2,475 371,300 371,210
(16,090-726,330)
16.5 35.5
≥100 years 2 202 30,300 28,365
(28,365-32,061)
1.5 1.5
City Seoul 32,344 5,808,696 53,900 29,960
(19,438-56,679)
2.4 2.4 655 233,010 106,800 57,750
(27,290-132,386)
5.0 5.9
Busan 10,404 1,846,837 53,300 28,648
(19,073-55,984)
2.4 2.4 238 78,041 98,400 49,650
(26,290-105,840)
4.8 5.4
Incheon 10,529 1,980,120 56,500 31,830
(20,110-62,240)
2.6 2.7 147 61,922 126,400 71,720
(28,950-148,447)
6.1 7.6
Daegu 7,899 1,425,760 54,200 31,670
(19,417-61,439)
2.6 2.7 184 52,682 85,900 39,190
(25,480-97,320)
4.5 5.8
Gwangju 5,062 866,451 51,400 29,717
(19,274-55,254)
2.3 2.5 91 31,177 102,800 54,849
(23,890-112,231)
4.7 7.6
Daejeon 5,683 927,065 49,000 27,950
(19,230-52,935)
2.3 2.3 148 49,214 99,800 53,146
(26,290-129,120)
4.4 5.4
Ulsan 4,212 758,473 54,100 30,796
(19,842-55,555)
2.3 2.6 86 30,553 106,600 53,650
(26,960-129,290)
5.4 6.3
Gyeonghi 45,790 8,343,835 54,700 31,017
(19,755-59,887)
2.6 2.7 846 350,021 124,200 57,602
(28,380-151,870)
5.9 7.2
Gangwon 4,552 777,382 51,300 29,746
(19,768-55,944)
2.3 2.5 67 39,877 178,600 83,560
(46,999-241,030)
8.0 9.5
Chungbuk 4,639 820,049 53,100 29,580
(19,537-55,776)
2.5 2.5 82 23,388 85,600 43,770
(22,910-91,111)
4.4 5.9
Chungnam 8,175 1,447,166 53,200 31,494
(19,815-60,345)
2.5 2.7 120 47,684 119,300 57,050
(25,090-147,710)
6.5 8.5
Jeonbuk 5,852 982,825 50,400 28,876
(18,991-55,114)
2.4 2.5 122 34,138 84,000 41,291
(22,220-86,840)
4.1 6.1
Jeonnam 5,101 780,763 46,000 27,534
(18,802-49,082)
2.2 2.4 43 15,240 106,400 47,390
(31,020-143,920)
5.3 7.8
Gyeongbuk 7,489 1,249,367 50,100 28,698
(19,106-54,800)
2.3 2.6 108 39,538 109,900 43,940
(26,070-112,150)
6.1 9.0
Gyeongnam 12,063 1,983,685 49,400 29,372
(19,228-54,646)
2.3 2.4 258 107,135 124,600 62,290
(27,970-124,460)
6.0 6.9
Jeju 2,549 450,963 53,100 29,756
(19,873-58,154)
2.4 2.4 34 8,553 75,500 44,848
(22,970-86,480)
3.7 5.7
Missing

* WM : Western Medicine

** KM : Korean Medicine

Download Excel Table

2016년 기준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의과의 경우 53,100원이었으며, 한의과는 111,700원으로 의과의 약 2.1배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대비 한의과의 1인당 평균 의료비 상승이 의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의과의 경우 1인당 평균 의료비는 0-4세가 70,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2010년 대비 80대를 제외한 전 연령의 1인당 평균 의료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과의 경우 2016년 기준 90대가 371,300원으로 가장 많았고, 2010년 대비 0-4세에서 가장 높게 증가했으며, 70대와 80대는 1인당 의료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대비 지역별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의과의 경우 인천, 한의과의 경우 강원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은 상승을 보였다.

입내원 일수는 의과의 경우 2016년 기준 2.4일이었으며, 한의과의 경우 5.4일로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2016년 기준 의과는 0-4세가 가장 길었으며, 2010년 대비 0-9세, 90세 이상은 증가하였고, 20대-80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의과는 2016년 기준 90대가 가장 길었고, 2010년 대비 0-4세, 60대, 5-9세는 증가하였으나 10대-50대, 70대-80대는 감소를 보였다. 지역의 경우 2010년 대비 의과는 인천과 경기, 한의과의 경우 강원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의과와 한의과 모두 대전이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요양 일수는 의과의 경우 2016년 기준 2.6일, 한의과의 경우 6.7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2010년 대비 의과는 0-9세, 90세 이상은 증가하였으나 10대, 40대, 60대-80대는 감소를 보였다. 한의과는 60대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10대, 30대, 50대, 80대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경우 2010년 대비 의과는 인천과 경기, 한의과의 경우 충남이 가장 많이 증가한 반면 의과는 대전, 한의과는 대전과 부산의 요양 일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고 찰

현재 우리 나라는 국민의 97% 이상이 국민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건강보험 청구 자료는 실제 의료 환경을 반영하고 있어 일반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표본 자료의 구축으로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높아졌으며 정책 및 보건의료 관련 연구에서의 활용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7년간(2010-2016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을 이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 명세서 청구 현황, 유병률 및 의료 이용 현황을 의과와 한의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알레르기 비염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에서는 의과의 경우 제 1부상병에서, 한의과의 경우 주상병에서 가장 많이 청구되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청구되는 상병 순위 분포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5년과 200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활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 변화를 조사한 성 등11)의 연구에서는 주상병만의 유병률에 비해 부상병을 포함하였을 때 유병률이 더 높은 증가를 보인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는 알레르기 비염의 청구 상병이 대부분 부상병에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연구의 의과 청구 상병 순위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분석 결과는 추후 이차 자료원 활용 연구 수행 시 연구 대상 선정 등에 있어서 기초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알레르기 비염 청구 현황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본 결과, 2010년 대비 2016년 의과의 경우 약 1.3배, 한의과의 경우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6년 기준 20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청구 건수가 50%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분석 결과12)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진료 인원이 2010년 5,557,000명에서 2015년 6,341,000명으로 14.1% 증가하였고, 연령대별로는 2015년 기준 12세 이하가 30.0%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환자 중 20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비율이 38.9%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청구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2010년 대비 2016년 의과의 경우 약 1.2배, 한의과의 경우 약 1.3배 증가하였고, 의과보다 한의과의 상승폭이 더 높았다. 월별 유병환자는 의과, 한의과 모두 1월에 가장 많았으며, 7월에 가장 적어지다가 9월에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12)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가 2010년 11,363명에서 2015년 12,559명으로 10.5% 증가하였고, 2015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환자 수는 12세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2010년부터 2015년 평균치로 보았을 때 환절기인 9월에 가장 많은 것으로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과, 한의과 모두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이 2010년 대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2016년 기준 10만 명당 환자 수 또한 10세 미만에서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알레르기 비염 유병환자의 연간 의료비 총액은 의과, 한의과 각각 2010년 약 2,275억 원, 약 72억 원에서 2016년 약 3,045억 원, 약 120억 원으로 약 1.3배, 약 1.7배 증가하였다. 연간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의과, 한의과 각각 2016년 기준 53,100원, 111,700원으로 2010년 대비 각각 약 1.1배, 약 1.4배 증가하였고, 한의과의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의과의 약 2.1배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12)이 2010년 대비 2015년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전체 진료비가 30.5% 증가하였고, 연간 1인당 진료비가 14.4% 증가했다고 발표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 유병환자의 입내원 일수는 의과, 한의과 각각 2016년 기준 2.4일, 5.4일로 나타났으며, 요양 일수는 의과, 한의과 각각 2016년 기준 2.6일, 6.7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의 청구 현황, 유병률과 비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의과, 한의과 의료 이용 현황의 특성을 고려하여 알레르기 비염 치료 및 관리 기준을 개발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비용 절감과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0년과 2010년 국내 알레르기 비염 진단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20.4%에서 37.0%, 중학생의 경우 13.6%에서 29.8%로 증가하였다13,14). 또한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민 건강 영양 조사15)에서 알레르기 비염 의사 진단 경험률(분율)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약 10-20% 사이로 조사되었다. 장 등16)은 2009-2014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하여 총 면역글로불린 E와 항원특이 면역글로불린 E의 검사건수를 분석한 결과 2009년 19만 건, 8만 건에서 2014년 35만 건, 13만 건으로 증가하였고, MAST법에 의한 면역글로불린 E와 혈액호산구수는 각각 20만 건에서 43만 건, 28만 건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한 의료 비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부담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및 관리에 매년 큰 비용이 지출되고 있고, 기후·환경 변화의 영향으로 유병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큰 알레르기 비염의 효율적인 예방·관리 및 이차 자료원 활용 성과 연구(Outcomes research)를 위한 기초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고 있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와 관련된 일련의 모든 과정을 수집한 데이터베이스의 표본 추출 자료를 활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의료 이용 현황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를 한국 표준질병사인분류(KCD-7)를 기준으로 J30(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 J30.0(혈관운동성 비염), J30.1(화분에 의한 앨러지비염), J30.2(기타 계절성 앨러지비염), J30.3(다년성 앨러지비염), J30.4(상세불명의 앨러지비염)로 정의하고, 의료 비용 평균값이 과대 추정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일부 고비용 환자군을 제외하는 등 이차 자료원 활용 연구 수행 시 고려해야 할 임상적 상황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의과와 한의과를 구분한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 분석, 청구 현황, 유병률, 비용을 포함한 의료 이용 현황 분석 결과는 추후 이차 자료원을 활용한 성과 연구(Outcomes research) 수행 시 기초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관련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분석 결과 간의 구체적 비교가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둘째, 사용한 데이터는 청구 자료로서 우리나라 전체 인구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지만, 직접 의무 기록 및 진찰 등을 통해 확보된 자료가 아닌 건강보험 청구 기록을 바탕으로 한 자료이기 때문에 임상 실제를 그대로 반영했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즉 청구 상병 코드가 실제 임상 진단과 다를 수도 있으며, 이에 분석 결과가 실제에 비해 과소 또는 과대 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비급여 항목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의료 비용 분석 시 과소 추정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추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의 정확도 및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알레르기 비염의 유전적, 환경적 요인, 개인별 특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 설계 및 자료 연계를 통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Ⅴ. 결 론

  1. 7년간(2010-2016년)의 알레르기 비염 청구 상병 다빈도 순위를 살펴본 결과, 의과의 경우 제 1부상병의 비율(40.41%)이, 한의과의 경우 주상병의 비율(78.4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2010년 대비 2016년 전체 청구 건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의과와 한의과 각각 약 1.3배, 약 1.4배 증가하였다.

  3. 2010년 대비 2016년 인구 10만 명당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의과와 한의과 각각 약 1.2배, 약 1.3배 증가하였다.

  4.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연간 의료비 총액은 2010년 대비 2016년 의과와 한의과 각각 약 1.3배(약 770억 원), 약 1.7배(약 49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 2016년 기준 1인당 평균 의료비는 의과의 경우 53,100원, 한의과는 111,700원으로 나타났으며, 입내원 일수는 의과의 경우 2.4일, 한의과의 경우 5.4일로 나타났고, 요양 일수는 의과의 경우 2.6일, 한의과의 경우 6.7일로 나타났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통해 보건복지부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의 재정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HB16C0009).

References

1.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Clinical diagnostic guidelines for allergic rhinitis. Seoul:MEDrang. 2015:70.

2.

Jang BH, Choi IH, Kim KS, Kim HT, Kim KJ, Kim MH, et al. Current status of allergic rhinitis patients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 Exploratory study based on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3 hospital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1):117-29. .

3.

Kim YH, Yang HJ, Choi JH, Kim DK, Yoo Y, Lee BR, et al. Clinical diagnostic guidelines for allergic rhinitis: diagnosis. J Korean Med Assoc. 2017;60(1):81-8. .

4.

Brożek JL, Bousquet J, Agache L, Agarwal A, Bachert C, Bosnic-Anticevich S, et al.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ARIA) guidelines-2016 revision. J Allergy Clin Immunol. 2017;140(4):950-8. .

5.

Lee DH. A Review of Economic Evaluations in Acupuncture for Allergic Rhiniti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and Dermatol. 2016;29(2):1-11. .

6.

Lee HS, Park EO.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llergic Rhinitis-Specific Quality of Life(ARSQOL) Scale fo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5):675-86. .

7.

Healthcare Bigdata Hub. 2018[cited 2018 Apr 26]. Available from: URL:http://opendata.hira.or.kr/op/opc/selectPatDataAplInfoView.do

8.

Jung YJ, Yang WM. Analysis of Korean Medical status of Acute Bronchitis, Chronic Bronchitis and Allergic Rhinit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ine. 2019;40(3): 87-98. .

9.

Huang CW, Hwang IH, Yun YH, Jang BH, Chen FP, Hwang SJ, et al. Population-based comparison of traditional medicine use in adult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between South Korea and Taiwan. Journal of the Chinese Medical Association. 2018;81(8):708-13. .

10.

10. Kim LY, Sakong J, Kim Y, Kim SR, Kim SK, Tchoe BH, et al. Developing the Inpatient Sampl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2):152-61. .

11.

Seong HU, Cho SD, Park SY, Yang JM, Lim DH, Kim JH, et al. Nationwide Survey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ccording to Region and Age.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12;22(3):224-31. .

1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cited 2018 May 14]. Available from: URL: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9459

13.

Hong SJ, Ahn KM, Lee SY, Kim KE. The Prevalences of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in Korean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8;18(1):15-25. .

14.

Lee YH, Choi JH, Park MR, KIM JH, Kim WK, Park YM, et al. Analysis of regional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n Korean school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1):62-9. .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eion Service. 2018[cited 2018 Mar 13]. Available from: URL: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

16.

Jang KC, Jeong IH, Jin JH, Choi JK. A Study about Test and Cost on Allergic Disease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Goyang:NHIS Ilsan Hospital Institute of Health Insurance & Clinical Research. 201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