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과제 | 1. 제공된 학습과제 설정 가이드는 안이비인후피부과의 자기주도학습에 유용하였다. |
2. 학습과제의 설정과 분석은 안이비인후피부과의 전문직업성 역량개발에 유용하였다. |
3. 그룹학습과제는 팀별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데 유용하였다. |
진료환경 분석 | 1. 진료실 및 진료인력에 대한 사전 정보는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
2. 나의 학습은 진료를 크게 방해가 되지 않았다. |
3. 의료인력(전공의, 간호사, 직원 등)과의 접촉이 한의학 임상에 도움이 되었다. |
학습자원 및 지원 | 1. 제공된 학습자료 및 교육자료는 효과적인 안이비인후피부과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
2. 제공된 학습성찰 표준은 안이비인후피부과 임상 경험을 보다 면밀하게 하는데 필요했다 |
상호작용 학습환경 | 1. 본 실습에서는 비교적 환자를 가까이 경험할 수 있었다. |
2. 이전 교육성의 정보는 학습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
3. 진료시의 내 위치는 진료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학습하기에 바람직한 곳이었다. |
4. 학습 성찰 분석은 나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
학습활동 | 1. 준비단계의 학습은 안이비인후피부과 임상실습을 준비하는데 유용하였다. |
2. 학습성찰 분석은 이전과 비교하여 한의사의 진료를 보다 세밀하게 관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
3. 진료참여(보조)의 구체적 내용과 수준을 미리 알고 있어 진료참여가 보다 용이하였다. |
4. 임상실습 후 성찰을 통한 추가학습은 한의사로서 역량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