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endix 3. Evaluation on Elements of Environmental Support of Clilnical Practice

구성요소 설문문항
학습과제 1. 제공된 학습과제 설정 가이드는 안이비인후피부과의 자기주도학습에 유용하였다.
2. 학습과제의 설정과 분석은 안이비인후피부과의 전문직업성 역량개발에 유용하였다.
3. 그룹학습과제는 팀별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데 유용하였다.
진료환경 분석 1. 진료실 및 진료인력에 대한 사전 정보는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2. 나의 학습은 진료를 크게 방해가 되지 않았다.
3. 의료인력(전공의, 간호사, 직원 등)과의 접촉이 한의학 임상에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원 및 지원 1. 제공된 학습자료 및 교육자료는 효과적인 안이비인후피부과 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2. 제공된 학습성찰 표준은 안이비인후피부과 임상 경험을 보다 면밀하게 하는데 필요했다
상호작용 학습환경 1. 본 실습에서는 비교적 환자를 가까이 경험할 수 있었다.
2. 이전 교육성의 정보는 학습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3. 진료시의 내 위치는 진료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학습하기에 바람직한 곳이었다.
4. 학습 성찰 분석은 나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학습활동 1. 준비단계의 학습은 안이비인후피부과 임상실습을 준비하는데 유용하였다.
2. 학습성찰 분석은 이전과 비교하여 한의사의 진료를 보다 세밀하게 관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3. 진료참여(보조)의 구체적 내용과 수준을 미리 알고 있어 진료참여가 보다 용이하였다.
4. 임상실습 후 성찰을 통한 추가학습은 한의사로서 역량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었다.